구원의 성취에 드러나는 불의한 사람, 순종의 사람
[누가복음 22장 1절~13절]
1절 - 유월절이라 하는 무교절이 다가오매
2절 - 대제사장들과 서기관들이 예수를 무슨 방도로 죽일까 궁리하니 이는 그들이 백성을 두려워함이더라
3절 - 열둘 중의 하나인 가룟인이라 부르는 유다에게 사탄이 들어가니
4절 - 이에 유다가 대제사장들과 성전 경비대장들에게 가서 예수를 넘겨 줄 방도를 의논하매
5절 - 그들이 기뻐하여 돈을 주기로 언약하는지라
6절 - 유다가 허락하고 예수를 무리가 없을 때에 넘겨 줄 기회를 찾더라
7절 - 유월절 양을 잡을 무교절날이 이른지라
8절 - 예수께서 베드로와 요한을 보내시며 이르시되 가서 우리를 위하여 유월절을 준비하여 우리로 먹게 하라
9절 - 여짜오되 어디서 준비하기를 원하시나이까
10절 - 이르시되 보라 너희가 성내로 들어가면 물 한 동이를 가지고 가는 사람을 만나리니 그가 들어가는 집으로 따라 들어가서
11절 - 그 집 주인에게 이르되 선생님이 네게 하는 말씀이 내가 내 제자들과 함께 유월절을 먹을 객실이 어디 있느냐 하시더라 하라
12절 - 그리하면 그가 자리를 마련한 큰 다락방을 보이리니 거기서 준비하라 하시니
13절 - 그들이 나가 그 하신 말씀대로 만나 유월절을 준비하니라
유월절이 다가온 때, 사탄이 들어간 가룟 유다가 대제사장들과 성전 경비대장들에게 돈을 받고 예수님을 넘겨주기로 약속합니다. 예수님은 베드로와 요한에게 유월절 식사 준비를 지시하십니다. 말씀대로 그들이 물동이를 가지고 가는 사람을 만나, 그 집 다락방에 유월절 식사를 준비합니다.
1. 불의한 권력과 유다의 배반 (1~6절)
인류가 죄와 사망에서 해방되는 완전한 구원의 때가 과거 출애굽의 구원을 기념하는 때와 겹쳐 있습니다. 즉, 옛 언약이 실현된 유월절 절기와 맞물려 새 언약이 실현됩니다. 새 언약의 실현은 불의한 권력의 가해로 시작됩니다. 타락한 인간의 의지가 극대화된 것이 불의한 권력의 횡포입니다. 예수님 당시 악이 극대화된 모습은 종교 지도자들과 빌라도로 나타납니다. 그리고 타락한 인간 의지의 극점에 사랑에 대한 배반이 있습니다. 사탄이 돈에 취약한 유다에게 들어간 것입니다. 스승이요 주님이신 예수님을 유다가 팔아넘긴 것은 인간 타락의 극치입니다. 하나님은 권력의 횡포와 배반이라는 악함을 선용해 인류 구원의 선한 역사를 성취하십니다.
* 유다를 무너뜨린 사탄의 도구는 무엇이었나요? 내가 사탄의 유혹에 넘어가지 않도록 싸워서 이겨야 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2. 유월절을 준비하게 하심 (7~13절)
예수님은 인류의 죄를 대속하신 유월절 어린양이십니다. "유월절 양을 잡을 무교절 날이 이른지라"(7절)라는 구절은 출애굽 당시 양의 피를 문설주에 발라 장자 죽음의 재앙을 면했던 긴급한 구원의 순간을 상기시킵니다. 주님의 구원 사건 또한 출애굽 사건의 긴급함 이상으로 종말론적인 긴박함 속에서 진행됩니다. 예수님은 베드로와 요한을 보내 유월절을 준비하게 하십니다. 예수님이 때를 아시고 일어날 일을 아시는 분, 전지하신 주님임이 드러나는 대목입니다. 예수님의 예언적 말씀으로 준비된 장소는 다락방입니다. 주님께 쓰임받은 구원의 도구는 세상 권세와 영광이 있는 곳이 아니라, 소박한 다락방이었습니다. 주님께 기꺼이 순종한다면, 우리도 주님이 쓰시는 거룩한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 예수님과 제자들이 함께할 마지막 유월절 식사 자리는 어떻게 준비되었나요? 주님께 쓰임받는 데 필요한 덕목 중에 제일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오늘의 기도
유다를 비롯한 제자들이 모두 배반할 것을 아시고도 변함없는 사랑으로 마지막 만찬을 세심하게 준비하신 예수님의 마음을 헤아려 봅니다. 돈과 세상 권력에 눈멀어 주님을 파는 배은망덕한 죄를 저지르지 않도록, 삶의 갈피마다 주님 보혈과 은혜를 새겨 넣게 하소서.
출처 : 생명의 삶 (큐티)
'누가복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나님 뜻을 이루는 간절한 기도, 온전한 순종 (눅 22:39~53) (0) | 2019.04.17 |
---|---|
사랑의 피로 세우는 구원의 새 언약 (눅 22:14~23) (0) | 2019.04.17 |
유월절을 준비하라 (눅 22:1~13) (0) | 2019.04.13 |
오병이어 (눅 9:10~17) (0) | 2019.04.03 |
나는 잃은 양 한 마리 (눅 15:1~10) (0) | 2019.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