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홀라’와 ‘오홀리바’는 각각 누구인가(겔 23:1-4)?

오홀라는 사마리아요, 오홀리바는 예루살렘을 가리킴.
오홀라는 ‘그녀의 장막’이라는 뜻으로 자기 마음대로 지은 장막이라는 의미를 담고있는데, 이는 여로보암이 열 지파를 이끌고 나가 북이스라엘을 세우고 이스라엘 사람들이 남유다의 예루살렘 성전으로 제사드리지 못하게 하려고 사마리아 땅에 산당을 세운 것을 빗대어 붙인 이름입니다.
오홀리바는 ‘나의 장막이 그녀에게 있다’는 뜻으로 하나님의 성소가 예루살렘에 있음을 나타내는 이름입니다.
결국 오홀라와 오홀리바 자매 비유는 신앙의 정절을 저버리고 하나님의 곁을 떠나서 이방의 우상을 섬긴 북이스라엘과 남유다의 멸망과 심판에 대한 경고 비유임을 알게 됩니다.


‘젊었을 때’라는 말이 암시하는 것은(겔 23:8)?

이스라엘이 애굽에서 종살이할 때를 가리킴.
그들은 애굽에 있을 당시 섬기던 애굽의 신들을 계속해서 섬기는 죄를 범하고 있었습니다.


두 여인이 한 길로 행한다는 표현의 의미는(겔 23:13)?

사마리아와 예루살렘, 즉 북이스라엘과 남유다가 모두 여호와 하나님을 버리고 우상 숭배의 길을 걸은 것을 뜻함.
이스라엘과 유다는 모두 하나님을 섬기면서도 한편으로는 애굽 신, 가나안 신, 블레셋 신, 앗수르 신, 바벨론 신들을 섬기는 죄를 범했습니다.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을 당신의 백성으로 삼으사 구원의 은총을 베푸신 때가 바로 이때입니다. 하지만 이스라엘은 이 은총을 망각하는 죄를 지었습니다.


심문권을 맡긴다는 구절의 의미는(겔 23:24)?

적군이 쳐들어와 이스라엘과 유다의 죄를 논할 수 있게 한다는 의미임.
이는 하나님께서 그들을 이스라엘과 유다를 심판하시는 도구로 사용한다는 것입니다.


대적이 쳐들어와 이스라엘을 유린할 수 있었던 까닭은(겔 23:25)?

하나님이 이스라엘을 향하여 투기를 발하셨기 때문.
여호와는 질투하시는 하나님이십니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은혜를 저버리고 다른 신을 섬기는 자에게는 그의 맹렬한 노를 발하시며 반드시 징계하십니다.
코와 귀를 깎아버리는 것은 간음한 자에게 가하는 형벌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의 영적 간음에 대해서, 대적에게 유린당함으로써 수치와 모욕을 갖게 하시겠다고 하셨습니다.


사마리아의 잔이란 무엇인가(겔 23:33)?

놀람과 패망의 잔.
북왕국의 수도인 이 사마리아는 그곳의 모든 왕들이 여로보암의 길을 걸어 하나님으로부터 멀리 떠났으며 백성들도 사치와 부조리와 악으로 가득찬 삶을 살았습니다.
사마리아는 B.C. 722년경 앗수르의 침입으로 멸망당했습니다.

 
‘내게 낳아 준 자식들’이란(겔 23:37)?

이스라엘의 후손들을 말함.
여호와와 믿음의 조상들과의 언약으로 인해서 이스라엘은 하나님의 자녀가 되었습니다.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사건으로 말미암아 양자의 영을 받아 하나님을 아바 아버지라고 부르게 되었으며, 우리가 그분의 자녀인 것을 성령이 친히 증거하십니다(롬8:15-17).
이스라엘이 아니라 참된 성도들이 아브라함의 영적 후사입니다(갈4:7).


종교 혼합주의의 양상을 보여주는 것은(겔 23:37-39)?

자녀를 죽여 우상에게 바친 후에 당일에 하나님의 성소를 더럽히며 안식일을 범함.
이스라엘은 여호와와 가나안 신, 모압 신 등을 함께 섬겼습니다. 그래서 여호수아, 엘리야 등은 여호와와 가나안 신 사이에서 머뭇거리는 이스라엘에게 단호한 선택을 요구했습니다(수24:14-27; 왕상18:21).


의인이란 누구를 가리키는가(겔 23:45)?

유다의 타락을 심판할 도구인 바벨론을 가리킴.
이는 바벨론이 도덕적으로 유다보다 의롭다는 것이 아니라, 지금 이 순간에 있어서는 다만 하나님의 의로운 심판을 대행하는 자가 됨을 의미합니다.

 

출처 : 갓피플


'에스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 QA자료] 에스겔 25장  (0) 2012.05.31
[성경 QA자료] 에스겔 24장  (0) 2012.05.31
[성경 QA자료] 에스겔 22장  (0) 2012.05.31
[성경 QA자료] 에스겔 21장  (0) 2012.05.31
[성경 QA자료] 에스겔 20장   (0) 2012.05.3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