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적 정결을 위해서는 외적 정결이 필수입니다
[레위기 14장 33절~57절]
33절 - 여호와께서 모세와 아론에게 말씀하여 이르시되
34절 - 내가 네게 기업으로 주는 가나안 땅에 너희가 이를 때에 너희 기업의 땅에서 어떤 집에 나병 색점을 발생하게 하거든
35절 - 그 집 주인은 제사장에게 가서 말하여 알리기를 무슨 색점이 집에 생겼다 할 것이요
36절 - 제사장은 그 색점을 살펴보러 가기 전에 그 집안에 있는 모든 것이 부정을 면하게 하기 위하여 그 집을 비우도록 명령한 후에 들어가서 그 집을 볼지니
37절 - 그 색점을 볼 때에 그 집 벽에 푸르거나 붉은 무늬의 색점이 있어 벽보다 우묵하면
38절 - 제사장은 그 집 문으로 나와 그 집을 이레 동안 폐쇄하였다가
39절 - 이레 만에 또 가서 살펴볼 것이요 그 색점이 벽에 퍼졌으면
40절 - 그는 명령하여 색점 있는 돌을 빼내어 성 밖 부정한 곳에 버리게 하고
41절 - 또 집 안 사방을 긁게 하고 그 긁은 흙을 성 밖 부정한 곳에 쏟아버리게 할 것이요
42절 - 그들은 다른 돌로 그 돌을 대신하며 다른 흙으로 집에 바를지니라
43절 - 돌을 빼내며 집을 긁고 고쳐 바른 후에 색점이 집에 재발하면
44절 - 제사장은 또 가서 살펴볼 것이요 그 색점이 만일 집에 퍼졌으면 악성 나병인즉 이는 부정하니
45절 - 그는 그 집을 헐고 돌과 그 재목과 그 집의 모든 흙을 성 밖 부정한 곳으로 내어 갈 것이며
46절 - 그 집을 폐쇄한 날 동안에 들어가는 자는 저녁까지 부정할 것이요
47절 - 그 집에서 자는 자는 그의 옷을 빨 것이요 그 집에서 먹는 자도 그의 옷을 빨 것이니라
48절 - 그 집을 고쳐 바른 후에 제사장이 들어가 살펴보아서 색점이 집에 퍼지지 아니하였으면 이는 색점이 나은 것이니 제사장은 그 집을 정하다 하고
49절 - 그는 그 집을 정결하게 하기 위하여 새 두 마리와 백향목과 홍색 실과 우슬초를 가져다가
50절 - 그 새 하나를 흐르는 물 위 질그릇 안에서 잡고
51절 - 백향목과 우슬초와 홍색 실과 살아 있는 새를 가져다가 잡은 새의 피와 흐르는 물을 찍어 그 집에 일곱 번 뿌릴 것이요
52절 - 그는 새의 피와 흐르는 물과 살아 있는 새와 백향목과 우슬초와 홍색 실로 집을 정결하게 하고
53절 - 그 살아 있는 새는 성 밖 들에 놓아 주고 그 집을 위하여 속죄할 것이라 그러면 정결하리라
54절 - 이는 각종 나병 환부에 대한 규례니 곧 옴과
55절 - 의복과 가옥의 나병과
56절 - 돋는 것과 뾰루지와 색점이
57절 - 어느 때는 부정하고 어느 때는 정함을 가르치는 것이니 나병의 규례가 이러하니라
집에 나병 색점이 생기면 제사장은 그 집을 살핍니다. 푸르거나 붉고 우묵한 색점이면 7일 동안 폐쇄합니다. 색점이 퍼졌으면 색점 있던 돌과 사방을 긁어 나온 흙을 성 밖에 버립니다. 이후 색점이 재발하면 악성 나병이니 집을 허물어야 합니다. 색점이 퍼지지 않았으면 제사장은 정결례를 합니다.
1. 집에 생긴 곰팡이 (33~47절)
내적 정결은 외적 정결 상태와 무관하지 않습니다. 본문은 이스라엘 자손이 거주하는 집에 나병 색점이 발견될 경우에 대한 조치입니다. '나병 색점'은 '악성 피부병'과 동일한 히브리어(차라아트)로, 전염성 있는 악성 곰팡이를 가리킵니다. 집의 부정함과 정결함을 진단하는 것도 제사장일입니다. 집을 살펴 색점이 푸르거나 붉고 벽보다 우묵하면, 7일 동안 폐쇄하고 살펴봅니다. 7일 후 색점이 퍼졌으면 색점 있는 부분의 돌과 흙을 내버리고 새로운 돌과 흙으로 채웁니다. 그러고도 색점이 재발하면 그 집을 헐어야 합니다. 이는 가정과 공동체를 질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함입니다. 작은 부정함을 방관하지 않는 것이 정결함을 유지하는 비결입니다.
* 집에 푸르고 붉은 색점(악성 곰팡이)이 재발했을 때 어떤 조치를 취해야 했나요? 곰팡이가 나거나 더러워진 곳은 없는지 우리 집 안팎을 살펴보세요.
2. 집을 위한 정결 의식 (48~57절)
정결 의식의 절차는 청결한 관리의 중요성을 일깨웁니다. 색점이 있던 곳에 새로운 돌과 흙을 채운 후 색점이 퍼지지 않았다면, 제사장은 '정하다'고 선언하고 정결 의식을 행합니다. 집의 정결 의식은 사람의 정결 의식과 비슷합니다(14:4~7, 49~53). 새 두 마리 중 한 마리를 잡고, 살아 있는 새와 함께 백향목.홍색 실.우슬초를 죽은 새의 피와 생수에 담갔다가 그 집에 일곱 번 뿌립니다. 살아 있는 새를 들로 날려 보내는 것은 그 집에서 부정이 떠났음을 상징하는 의식입니다. 사람의 정결 의식 후에는 제사를 드리지만, 집의 경우에는 드리지 않습니다. 사람은 하나님과 교제하는 존재지만, 집은 그렇지 않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거하는 처소도, 성전 된 우리 몸도 거룩하신 하나님이 거하길 기뻐하시는 곳이 되어야 합니다.
* 집을 정결하게 하는 의식에서 살아 있는 새를 놓아주는 것은 어떤 의미가 있나요? 집 안을 청결하게 하는 것은 나와 가족에게 어떤 영향을 끼칠까요?
오늘의 기도
하나님과 친밀함을 누리는 백성은 거하는 곳도 늘 정결해야 함을 깨닫습니다. 제가 머무는 곳과 가정에 죄로 더럽혀진 부분은 없는지 세밀히 점검하게 하소서. 썩은 것들을 말씀으로 도려내고 어그러진 것들을 보수해 하나님의 거룩한 전으로 견고히 세워지게 하소서.
출처 : 생명의 삶 (큐티)
'레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결법을 주신 목적, 부정함에서 떠난 삶 (레 15:19~33) (0) | 2019.09.09 |
---|---|
거룩한 성을 선물하신 거룩하신 하나님 (레 15:1~18) (0) | 2019.09.08 |
하나님 사랑의 배려, '힘이 미치는 대로' (레 14:21~32) (0) | 2019.09.06 |
공동체에서 정결함과 존귀함을 인정받는 날 (레 14:1~20) (0) | 2019.09.05 |
몸에 닿는 모든 것을 청결하게 관리하십시오 (레 13:47~59) (0) | 2019.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