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약을 어긴 자들의 최후
[예레미야 34장 8절~22절]
8절 - 시드기야 왕이 예루살렘에 있는 모든 백성과 한 가지로 하나님 앞에서 계약을 맺고 자유를 선포한 후에 여호와께로부터 말씀이 예레미야에게 임하니라
9절 - 그 계약은 사람마다 각기 히브리 남녀 노비를 놓아 자유롭게 하고 그의 동족 유다인을 종으로 삼지 못하게 한 것이라
10절 - 이 계약에 가담한 고관들과 모든 백성이 각기 노비를 자유롭게 하고 다시는 종을 삼지 말라 함을 듣고 순복하여 놓았더니
11절 - 후에 그들의 뜻이 변하여 자유를 주었던 노비를 끌어다가 복종시켜 다시 노비로 삼았더라
12절 - 그러므로 여호와의 말씀이 여호와께로부터 예레미야에게 임하니라 이르시되
13절 - 이스라엘 하나님 여호와께서 이와 같이 말씀하시니라 내가 너희 선조를 애굽 땅 종의 집에서 인도하여 낼 때에 그들과 언약을 맺으며 이르기를
14절 - 너희 형제 히브리 사람이 네게 팔려 왔거든 너희는 칠 년 되는 해에 그를 놓아 줄 것이니라 그가 육 년 동안 너를 섬겼은즉 그를 놓아 자유롭게 할지니라 하였으나 너희 선조가 내게 순종하지 아니하며 귀를 기울이지도 아니하였느니라
15절 - 그러나 너희는 이제 돌이켜 내 눈 앞에 바른 일을 행하여 각기 이웃에게 자유를 선포하되 내 이름으로 일컬음을 받는 집에서 내 앞에서 계약을 맺었거늘
16절 - 너희가 돌이켜 내 이름을 더럽히고 각기 놓아 그들의 마음대로 자유롭게 하였던 노비를 끌어다가 다시 너희에게 복종시켜 너희의 노비로 삼았도다
17절 - 그러므로 여호와께서 이와 같이 말씀하시니라 너희가 나에게 순종하지 아니하고 각기 형제와 이웃에게 자유를 선포한 것을 실행하지 아니하였은즉 내가 너희를 대적하여 칼과 전염병과 기근에게 자유를 주리라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내가 너희를 세계 여러 나라 가운데에 흩어지게 할 것이며
18절 - 송아지를 둘로 쪼개고 그 두 조각 사이로 지나매 내 앞에 언약을 맺었으나 그 말을 실행하지 아니하여 내 계약을 어긴 그들을
19절 - 곧 송아지 두 조각 사이로 지난 유다 고관들과 예루살렘 고관들과 내시들과 제사장들과 이 땅 모든 백성을
20절 - 내가 그들의 원수의 손과 그들의 생명을 찾는 자의 손에 넘기리니 그들의 시체가 공중의 새와 땅의 짐승의 먹이가 될 것이며
21절 - 또 내가 유다의 시드기야 왕과 그의 고관들을 그의 원수의 손과 그의 생명을 찾는 자의 손과 너희에게서 떠나간 바벨론 왕의 군대의 손에 넘기리라
22절 -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보라 내가 그들에게 명령하여 이 성읍에 다시 오게 하리니 그들이 이 성을 쳐서 빼앗아 불사를 것이라 내가 유다의 성읍들을 주민이 없어 처참한 황무지가 되게 하리라
[배경 이해하기]
히브리 동족을 종으로 삼은 경우에 대해 하나님이 주신 율법이 있습니다. “네가 히브리 종을 사면 그는 여섯 해 동안 섬길 것이요 일곱째 해에는 몸값을 물지 않고 나가 자유인이 될 것이며”(출 21:2), “네 동족 히브리 남자나 히브리 여자가 네게 팔렸다 하자 만일 여섯 해 동안 너를 섬겼거든 일곱째 해에 너는 그를 놓아 자유롭게 할 것이요”(신 15:12). 하나님이 동족 노비를 7년째에는 자유롭게 하라고 명령하신 이유는 공동체 유지를 위해 꼭 필요한 조치였기 때문입니다. 동족이 동족을 노비 삼는 것은 공동체의 연합에 치명적인 위해가 됩니다. 그러나 실상 이스라엘 백성은 동족을 노비 삼은 지 7년이 지나도 그들을 풀어 주지 않았습니다. 그러다가 나라가 망할 위기에 처하자 시드기야왕과 예루살렘 거민은 히브리 노비 해방을 서둘러 선언합니다. 이는 바벨론 군대에 포위당한 위기 상황에서 하나님의 자비와 긍휼을 기대하는 마음에서 한 행동입니다. 그러나 다급한 문제가 해결되자 백성은 마음이 변해 자유롭게 해 주었던 이들을 다시 끌어다가 도로 종으로 삼았습니다. 하나님은 이 같은 계약 파기를 그분의 이름을 더럽힌 행위라고 말씀하십니다(16절). 그들 마음에는 전심으로 율법을 지키고자 하는 마음이 없었습니다.
[관찰과 묵상]
1. 시드기야왕과 예루살렘 백성은 하나님 앞에서 어떤 계약을 맺었나요?(8~10절) 이후 백성은 어떻게 행동했나요?(11절)
시드기야왕과 유다 백성이 하나님과 맺은 계약은 동족 노비들을 자유롭게 하고 동족 유다인을 종으로 삼지 않겠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뜻이 변한 백성이 풀어 준 노비들을 다시 데려와 재차 노비로 삼습니다.
시드기야왕과 예루살렘 모든 백성은 노비들을 해방시키는 계약을 맺습니다. 하나님은 율법을 통해, 가난이나 빚으로 불가피하게 노비가 된 자라 할지라도 노비 된 지 7년째에는 그를 놓아주어 자유를 주라고 명하셨습니다. 하지만 유다 백성은 7년이 지나도 동족을 해방시키지 않고 계속 노비 삼았습니다. 그러다 바벨론 군대에 의해 예루살렘 성읍이 포위되자 이 위기가 하나님의 법을 제대로 지키지 않은 데서 비롯되었음을 깨닫고 악한 행위에서 돌이킵니다. 그들은 여호와의 성전 앞에서 엄숙하게 맹세하고 동족 노비들을 풀어 줍니다. 하지만 얼마 후 마음이 변해 그들을 다시 노비 삼습니다. 본문에서 사용한 ‘뜻이 변하였다’는 말의 어원은 ‘되돌아가다’라는 의미입니다.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이 애굽 군대와 맞서기 위해 예루살렘 포위를 풀고 군대를 철수시키자, 유다 백성은 위기에서 벗어났다고 생각해 하나님과의 맹세를 저버리고 다시 이전 모습으로 되돌아간 것입니다.
적용과 나눔
하나님 말씀이 마음을 찌를 때 어떻게 반응하나요? 회개하고 다시 죄의 자리로 돌아가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회개하고서도 같은 죄를 반복해 짓는 것은 진정으로 회개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유다 백성이 하나님과의 언약을 깨뜨린 이유는 첫째, 마음으로부터의 회개가 없었기 때문입니다. 시드기야왕과 예루살렘 거민이 동족 노비를 해방시키기로 한 것은 예루살렘성 포위와 멸망의 위기로 인한 절박함 때문으로, 내면의 깊은 각성이 없었습니다. 이런 회개로는 위기가 사라지면 다시 본래 자리로 돌아가게 됩니다. 둘째, 그들은 대가 지불을 원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진정한 회개는 대가 지불을 동반합니다. 노비를 자유롭게 하는 것은 필연적으로 경제적 대가를 치러야 하는 일입니다. 하지만 백성은 머리로는 회개했지만 현실에서 감당해야 할 재산상의 손해는 각오하지 않았습니다. 셋째, 회복에 대한 조급함이 앞섰기 때문입니다. 회개 후 회복되는 데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유다 백성은 바벨론 군대의 공격에 너무 조급했고, 현실적으로 노비들의 노동력이 필요해지자 언약을 깨뜨리고 그들을 다시 데리고 왔습니다. 회개에는 진심 어린 마음, 대가 지불을 감당할 마음이 수반되어야 하며, 회개 후 하나님의 사람으로 온전히 세워지도록 회복의 시간을 잘 견뎌야 합니다.
2. 하나님은 약속을 파기한 시드기야왕과 백성에게 어떤 심판을 선언하시나요?(17~22절)
하나님은 유다 백성이 언약을 파기하고 종 됨에서 해방시킨 이들을 다시 종 삼았기에 칼과 염병과 기근을 내려 그들을 흩으실 것입니다.
시드기야왕과 예루살렘 백성은 노비를 해방하기로 언약을 채결할 때 언약 절차에 따라 짐승을 둘로 쪼개어 그 사이를 지나면서 맹세했을 것입니다. 이 절차는 맹세를 어길 경우에 둘로 쪼개진 희생 제물처럼 자신도 그렇게 죽임 당할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언약 파기는 스스로 언약의 저주 조항을 불러들이는 것입니다. 하나님은 언약을 깨고 동족을 다시 노비 삼은 유다 백성에게 크게 진노하십니다. 언약이란 쌍방의 성실한 준수가 전제되는데, 유다 백성이 먼저 언약을 저버렸기에 하나님도 유다의 보호자 의무를 버리겠다고 선언하신 것입니다. 그 결과 왕과 백성에게 다음 일들이 임할 것입니다. 첫째, 칼과 염병입니다. 이는 전쟁과 재앙을 의미합니다. 둘째, 세계 열방 중에 흩어짐입니다. 백성은 바벨론에 포로로 붙잡혀 갈 것입니다. 셋째, 생명이 원수의 손에 붙습니다. 결국 시드기야왕과 백성은 바벨론에 붙잡히거나 죽임당합니다. 넷째, 시체가 공중의 새와 땅 짐승의 먹이가 됩니다. 시체가 제대로 매장되지 못할 정도로 비참한 불행을 맞게 되는 것입니다.
적용과 나눔
하나님의 징계를 경험한 적이 있나요? 그때 무엇을 깨닫고 어떻게 행동했나요?
하나님의 심판을 예고받은 인간이 보일 수 있는 반응은 네 가지로 나눠 볼 수 있습니다. 첫 번째 반응은 심판의 말씀을 그대로 수용하는 것입니다. 다윗은 사무엘하 12장에서 나단 선지자가 자신의 간음죄와 살인죄를 고발하자 부인하지 않고 그대로 인정했습니다. 두 번째 반응은 거절 또는 회피하는 것입니다. 출애굽기 8:25~32절에서 바로는 애굽을 향해 계속되는 하나님 심판에도 마음을 완강하게 해 이스라엘 백성을 보내는 것을 거부했습니다. 세 번째 반응은 말씀 앞에서 회개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적극적인 믿음의 태도입니다. 하나님의 심판을 수용할 뿐 아니라 심판을 초래한 죄악 된 행동에서 돌이키는 것입니다. 에스라 10:12~14절에서 에스라는 바벨론 포로지에서 돌아온 유다 백성에게 회개할 것과 우상 숭배의 원인이 되었던 이방 여인들을 끊어 버리는 결단을 촉구했고, 백성은 회개하고 그 행위를 돌이켰습니다. 네 번째는 반항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하나님의 심판의 말씀뿐 아니라 심판하시는 하나님을 거부하는 행동입니다. 하나님이 심판하실 때 우리가 할 일은 하나님 앞에 진정으로 회개하며, 죄악으로부터 완전히 돌이키는 것입니다. 하나님은 심판하시지만, 돌이키는 자를 용서하시고 회복시켜 주십니다.
* 하나님은 언약에 신실하십니다. 그러나 이스라엘은 언약에 신실하지 않았습니다. 어려움이 생기면 회개하고 돌이켰지만, 하나님이 긍휼을 베푸셔서 문제가 해결되면 쉽사리 죄의 길로 들어섰습니다. 하나님이 율법을 주신 이유는 그것을 지켜 생명과 복을 얻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그러나 언약을 저버리고 율법을 경홀히 여기면 진노의 심판이 임합니다. 하나님이 죄를 지적하시는 때가 아직 돌이킬 수 있는 기회입니다. 기회를 주실 때 입으로만 회개할 것이 아니라, 죄지음을 온전히 애통하며 돌이켜야 합니다. 그럴 때 이전 삶으로 돌아가지 않고 바른길로 행할 수 있습니다.
[말씀으로 기도하기]
주님 말씀을 제 삶의 기준 삼고, 욕심에 흔들리지 않게 하소서. 주님을 은연중 멀리하며 죄인의 길로 들어서려 할 때 깨닫게 하시어 온전히 돌이키게 하시고, 말씀보다 제 뜻을 앞세우지 않게 하소서.
출처 : 생명의 삶
'예레미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극명하게 대조되는 순종과 불순종 (렘 35:12~19) (0) | 2020.09.23 |
---|---|
신실한 삶의 본보기가 되십시오 (렘 35:1~11) (0) | 2020.09.22 |
얄팍한 신실함은 오래가지 못합니다 (렘 34:8~22) (0) | 2020.09.21 |
진노의 심판 중에도 긍휼을 베푸시는 주님 (렘 34:1~7) (0) | 2020.09.20 |
메시아를 통해 성취되는 하나님의 언약 (렘 33:14~26) (0) | 2020.0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