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리아와 엘리사벳의 만남

 

[누가복음 1장 39절~56절]
39절 - 이 때에 마리아가 일어나 빨리 산골로 가서 유대 한 동네에 이르러
40절 - 사가랴의 집에 들어가 엘리사벳에게 문안하니
41절 - 엘리사벳이 마리아가 문안함을 들으매 아이가 복중에서 뛰노는지라 엘리사벳이 성령의 충만함을 받아
42절 - 큰 소리로 불러 이르되 여자 중에 네가 복이 있으며 네 태중의 아이도 복이 있도다
43절 - 내 주의 어머니가 내게 나아오니 이 어찌 된 일인가
44절 - 보라 네 문안하는 소리가 내 귀에 들릴 때에 아이가 내 복중에서 기쁨으로 뛰놀았도다
45절 - 주께서 하신 말씀이 반드시 이루어지리라고 믿은 그 여자에게 복이 있도다
46절 - 마리아가 이르되 내 영혼이 주를 찬양하며
47절 - 내 마음이 하나님 내 구주를 기뻐하였음은
48절 - 그의 여종의 비천함을 돌보셨음이라 보라 이제 후로는 만세에 나를 복이 있다 일컬으리로다
49절 - 능하신 이가 큰 일을 내게 행하셨으니 그 이름이 거룩하시며
50절 - 긍휼하심이 두려워하는 자에게 대대로 이르는도다
51절 - 그의 팔로 힘을 보이사 마음의 생각이 교만한 자들을 흩으셨고
52절 - 권세 있는 자를 그 위에서 내리치셨으며 비천한 자를 높이셨고
53절 - 주리는 자를 좋은 것으로 배불리셨으며 부자는 빈 손으로 보내셨도다
54절 - 그 종 이스라엘을 도우사 긍휼히 여기시고 기억하시되
55절 - 우리 조상에게 말씀하신 것과 같이 아브라함과 그 자손에게 영원히 하시리로다 하니라
56절 - 마리아가 석 달쯤 함께 있다가 집으로 돌아가니라

 

[배경 이해하기]
누가복음의 저자 누가는 헬라인 출신의 의사로 그는 완전한 인간으로 오신 예수 그리스도를 제시하기 위해 예수님의 탄생 과정을 객관적으로 묘사하면서 복음서를 시작합니다. 이 사건을 통해 누가는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과 세례 요한의 탄생은 별개의 사건이 아니라 메시아의 도래라는 큰 관점에서 이해해야 함을 말합니다. 마태는 요셉의 관점에서 예수님의 탄생을 기록한 반면, 누가는 마리아의 관점에서 기록합니다. “주의 여종이오니 말씀대로 내게 이루어지이다”(1:38)라고 고백했지만 처녀로 잉태한 마리아는 몇 가지 위험을 감수해야만 했을 것입니다. 첫째는 처녀가 아이를 낳음으로 부정한 여인으로 낙인찍힐 수 있었습니다. 당시 율법에 의하면 부정한 여인은 돌로 쳐서 죽임을 당했습니다. 둘째, 마리아는 정혼자인 요셉으로부터 파혼을 당하리라는 점을 각오해야 했습니다. 셋째, 마리아는 태중의 자녀를 안전하게 지키는 것에 대한 불안감이 있었을 것입니다. 이처럼 마리아의 마음 한편에는 불안과 두려움, 의심이 있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가브리엘 천사가 언급한 엘리사벳의 임신 소식은 보이지 않는 언약 실현에 대한 보이는 증거였습니다. 이에 마리아는 엘리사벳을 방문합니다.

[관찰과 묵상]
1. 엘리사벳은 마리아를 어떻게 맞이했나요?(41~45절)
마리아가 방문했을 때 엘리사벳의 아이가 복중에서 뛰노니 엘리사벳은 마리아와 태중의 아이를 축복합니다. 마리아를 ‘내 주의 어머니’라고 높이며, 말씀대로 이루어질 것을 믿은 마리아를 축복합니다.
가브리엘 천사로부터 엘리사벳의 임신 소식을 들은 마리아는 엘리사벳의 집으로 갑니다. 마리아가 엘리사벳에게 문안인사를 하자 엘리사벳의 태중에서 태아가 뛰놉니다. 성령으로 충만해진 엘리사벳은 마리아에게 “여자 중에 네가 복이 있으며”라고 말합니다. “여자 중에 내가 복이 있으며”라는 표현은 당시 여인의 신분이 남편과 그녀가 낳은 아이에 의해 평가되는 유대 사회의 관습을 반영한 것입니다. 즉 엘리사벳의 이 말 한마디는 유대 여인이 받을 수 있는 가장 명예로운 칭찬입니다. 엘리사벳은 마리아가 임신 사실을 알리지 않았음에도 즉각적으로 마리아가 임신한 것을 알고 태중의 아이를 축복합니다. 이는 성령의 계시에 의한 것입니다. 이에 더해 나이가 많은 엘리사벳이 마리아를 향해 ‘내 주의 어머니’라고 높여 부릅니다. 이것은 엘리사벳이 마리아의 태중에 있는 예수님을 ‘내 주’로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 줍니다. 성령께서 엘리사벳을 감동시켜 마리아에게서 메시아가 나실 것을 알게 한 것입니다. 마리아를 향한 엘리사벳의 말과 태도로 인해 가브리엘 천사의 예언의 성취를 확신한 마리아는 북받치는 감사와 기쁨에 사로잡혀 하나님께 찬양을 올립니다.
적용과 나눔
어렵고 힘든 일을 만났을 때 누군가의 위로와 격려로 회복을 경험한 적이 있나요?
두려움과 불안함, 그리고 의심이 있던 마리아는 엘리사벳과의 만남을 통해 회복을 경험합니다. 우리는 어떤 사람을 만날 때 위로와 격려를 경험할까요? 첫째, 성령 충만한 사람을 만날 때입니다. 하나님은 엘리사벳을 성령 충만하게 하셨습니다. 엘리사벳은 성령의 충만함으로 마리아가 메시아를 잉태했음을 알았고, 크게 기뻐했습니다. 둘째, 축복해 주는 사람을 만날 때입니다. 엘리사벳은 기뻐하며 마리아와 태중의 아이를 축복했습니다. 엘리사벳의 축복으로 마리아는 자신의 임신이 하나님이 하신 일임을 확신했을 것입니다. 그리고 마음의 불안감이 해소되었을 것입니다. 셋째, 엘리사벳은 마리아를 ‘내 주의 어머니’라 부르며 높였습니다. 이처럼 자존감을 높여 주는 사람을 만날 때 회복됩니다. 여기서 ‘주’는 유대인들이 대망하는 메시아를 가리키는 표현으로, 마리아 태중의 예수님이 메시아심을 의미합니다. 엘리사벳은 마리아를 단순한 친척 이상으로 대합니다. 넷째, 말씀을 확신시켜 주는 사람을 만날 때입니다. 엘리사벳은 마리아를 축복하면서 “주께서 하신 말씀이 반드시 이루어지리라고 믿은 그 여자”라고 말합니다. 이 말은 동정녀 탄생이라는 약속의 말씀에 대한 의심을 떨쳐 버리게 했을 것입니다. 마리아를 향한 엘리사벳의 말은 성령의 역사로 인한 말입니다. 마리아는 엘리사벳을 만남으로 불안과 의심, 두려움이 사라졌고, 자연스럽게 하나님을 향한 찬양이 흘러 나왔습니다.

2. 엘리사벳을 만난 마리아는 하나님을 향해 어떤 찬양을 했나요?(46~55절)
마리아는 하나님이 자신의 비천함을 돌아보셨고, 자신을 통해 아브라함과 그 후손에게 약속하신 위대한 구원이 이뤄졌음을 찬양합니다.
엘리사벳이 메시아를 잉태한 마리아와 태중의 아이를 축복하자, 마리아도 성령의 충만함을 입고 기쁨으로 하나님을 찬양합니다. 46~55절은 흔히 ‘마리아 찬가’로 불립니다. ‘내 영혼이 주를 찬양하며’로 시작되는 이 노래는 라틴어의 초두를 따라 ‘마그니피캇’(Magnificat)이라고 불렸는데, 여기에는 하나님의 언약 성취에 대한 소망과 이스라엘의 구원에 대한 소원이 담겨 있습니다. ‘찬양하다’로 번역된 헬라어 ‘메갈뤼노’(megalu,nw)는 ‘크게 기뻐하다’라는 뜻입니다. 찬양은 우리 마음에 기쁨과 즐거움을 가져다줍니다. 유대인들은 어릴 때부터 구약의 시편을 즐겨 암송했는데, 마리아도 이런 익숙한 성구를 자유롭게 인용해 부른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주를 찬양하며’라는 표현은 ‘크게 기뻐하다’라는 의미로, 특히 마리아 찬양 후반부에서 마리아의 개인적 기쁨과 찬양은 확장되어 이스라엘 민족에 대한 구원의 소망으로 이어집니다. 마리아는 아브라함과 그 자손에게 약속하신 언약을 메시아 잉태로 성취하셨음을 감사하며 찬양을 올립니다.
적용과 나눔
내면의 두려움과 의심이 찬양으로 바뀐 경험이 있나요? 찬양은 우리 마음에 어떤 변화를 일으키나요?
엘리사벳을 통해 마리아의 마음에 있던 불안과 의심, 두려움이 사라지자 마리아의 입에서 찬양이 자연스럽게 흘러나옵니다. 하나님은 찬양을 통해 우리 안에 많은 변화를 일으키십니다. 첫째, 찬양은 비참한 상황에서 우리를 벗어나게 합니다. 이는 우리의 비참한 상황을 돌아보시는 하나님을 바라볼 때 우리 마음에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둘째, 찬양은 우리로 하여금 하나님이 하실 일을 확신하게 합니다. 하나님이 약속하셨지만 우리는 종종 상황과 사람 혹은 대적들에 의해 하나님의 약속을 의심합니다. 마리아도 동정녀 탄생이라는 하나님의 약속을 의심 없이 붙들기는 어려웠을 것입니다. 하지만 마리아는 찬양 가운데 하나님의 능력을 확신합니다. 셋째, 찬양은 우리 영혼에 하나님의 구원에 대한 확신을 가져다줍니다. 마리아는 이스라엘을 도우시는 하나님이 메시아 탄생을 통해 아브라함과 그 자손에게 약속하신 구원을 이루시는 것을 확신했습니다. 이처럼 찬양은 우리의 영과 마음에 기쁨을 가져다줍니다. 때로는 낙심과 절망으로 인해 찬양하기 어려울 때도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을 찬양할 때 하나님이 주시는 크신 은혜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 하나님은 메시아 수태 고지를 들은 마리아를 위해 엘리사벳과의 만남을 예비하십니다. 마리아에게는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는 마음이 있었지만, 처녀로서 잉태했기에 불안감과 두려움도 있었을 것입니다. 자칫 부정하다고 낙인 찍혀 위험에 처할 수도 있었습니다. 엘리사벳은 그런 마리아와 태중의 아기를 축복합니다. 이후 마리아는 마음의 자유를 얻고 이스라엘을 향한 하나님의 구원 역사를 찬양합니다. 이처럼 성령 안에서 나누는 성도의 교제와 위로는 서로에게 힘이 되고 각자 말씀 위에 확고히 서게 합니다. 그리고 구원과 기쁨의 원천이신 하나님을 찬양하게 합니다.

 

[말씀으로 기도하기]
하나님의 말씀을 믿음으로 온전히 받아들이기 원합니다. 하나님이 주시는 평강과 담대함으로 불안과 염려를 물리치게 하소서. 주님의 약속을 신뢰함으로 임마누엘의 삶을 누리게 하소서.

 

 

출처 : 생명의 삶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