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자가에 못 박히신 만왕의 왕

 

[마태복음 27장 27절~44절]
27절 - 이에 총독의 군병들이 예수를 데리고 관정 안으로 들어가서 온 군대를 그에게로 모으고
28절 - 그의 옷을 벗기고 홍포를 입히며
29절 - 가시관을 엮어 그 머리에 씌우고 갈대를 그 오른손에 들리고 그 앞에서 무릎을 꿇고 희롱하여 이르되 유대인의 왕이여 평안할지어다 하며
30절 - 그에게 침 뱉고 갈대를 빼앗아 그의 머리를 치더라
31절 - 희롱을 다 한 후 홍포를 벗기고 도로 그의 옷을 입혀 십자가에 못 박으려고 끌고 나가니라
32절 - 나가다가 시몬이란 구레네 사람을 만나매 그에게 예수의 십자가를 억지로 지워 가게 하였더라
33절 - 골고다 즉 해골의 곳이라는 곳에 이르러
34절 - 쓸개 탄 포도주를 예수께 주어 마시게 하려 하였더니 예수께서 맛보시고 마시고자 하지 아니하시더라
35절 - 그들이 예수를 십자가에 못 박은 후에 그 옷을 제비 뽑아 나누고
36절 - 거기 앉아 지키더라
37절 - 그 머리 위에 이는 유대인의 왕 예수라 쓴 죄패를 붙였더라
38절 - 이 때에 예수와 함께 강도 둘이 십자가에 못 박히니 하나는 우편에, 하나는 좌편에 있더라
39절 - 지나가는 자들은 자기 머리를 흔들며 예수를 모욕하여
40절 - 이르되 성전을 헐고 사흘에 짓는 자여 네가 만일 하나님의 아들이어든 자기를 구원하고 십자가에서 내려오라 하며
41절 - 그와 같이 대제사장들도 서기관들과 장로들과 함께 희롱하여 이르되
42절 - 그가 남은 구원하였으되 자기는 구원할 수 없도다 그가 이스라엘의 왕이로다 지금 십자가에서 내려올지어다 그리하면 우리가 믿겠노라
43절 - 그가 하나님을 신뢰하니 하나님이 원하시면 이제 그를 구원하실지라 그의 말이 나는 하나님의 아들이라 하였도다 하며
44절 - 함께 십자가에 못 박힌 강도들도 이와 같이 욕하더라

 

총독의 군병들이 예수님께 홍포를 입히고 가시관을 씌워 희롱한 후 그분을 끌고 나갑니다. 골고다에 이르러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 박고 유대인의 왕 예수라 쓴 죄 패를 붙입니다. 지나가는 사람들과 종교 지도자들은 예수님을 향해 하나님의 아들이거든 자기를 구원하고 내려오라며 조롱합니다.

 

1. 로마 군인들의 조롱 (27~31절)

유대인에게 버림받으신 예수님은 이방인으로부터도 조롱과 멸시를 당하십니다. 이방인인 로마 군인들은 잠시 후면 십자가에서 죽게 될 유대인 죄수에게 조롱조의 즉위식을 거행합니다. 예수님의 옷을 벗기고 자주색 망토를 입힙니다. 가시 면류관을 머리에 씌우고 오른손에 갈대를 쥐어 줍니다. 그런 후 무릎을 꿇고 "만세, 유대인의 왕!"이라며 희롱합니다. 예수님께 침을 뱉고 갈대로 머리를 칩니다. 예수님은 이 모든 조롱을 묵묵히 감당하십니다(사 50:6). 영광과 존귀의 관을 씀이 합당하신 만왕의 왕이 우리의 죄 사함을 위해 멸시와 천대를 당하십니다. 무지하고 완악한 인간과 그들을 인내와 사랑으로 품으시는 예수님이 대조됩니다.

* 로마 군인들이 예수님을 조롱하는 데 사용한 물품들은 무엇을 상징하나요? 힘이 있지만 자기방어를 하시지 않은 예수님의 본을 어떻게 따를까요?

 

2. 만일 하나님의 아들이거든 (32~44절)

인류의 죄 문제를 단번에 해결할 이는 죄 없으신 하나님뿐입니다. 예수님이 공생애를 시작하실 때 마귀의 시험 중 하나는 "네가 하나님의 아들임을 입증하라."라는 것이었습니다. 예수님은 "하나님을 시험하지 말라."라며 마귀의 유혹을 물리치셨습니다. 십자가 위에서도 이 시험은 계속됩니다. 지나가는 사람들과 종교 지도자들이 "네가 만일 하나님의 아들이어든 자기를 구원하고 십자가에서 내려오라"(40절)라며 조롱합니다. 사람들은 고난당하시는 예수님을 보며 하나님이 함께하시지 않는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끝까지 하나님을 신뢰하며 인류 구원을 향한 하나님 뜻에 죽기까지 순종하십니다. 십자가는 예수님이 수치를 당하심으로 우리의 모든 수치가 굴러가게 된 구원의 현장입니다.

* 십자가에 달리신 예수님을 보며 사람들은 무슨 말로 희롱했나요? 하나님이 계시지 않는 듯한 괴로운 상황에서 나의 말과 행실은 어떠한가요?

 

오늘의 기도

참을 수 없는 수치와 조롱 속에서도 하나님 뜻을 신뢰하며 묵묵히 순종하신 주님을 바라봅니다. 주님을 왕으로 인정하지 않고 믿음을 비웃는 세상에서 때론 무기력하게 보일지라도 주님이 걸으신 십자가의 길을 따라 꿋꿋이 걸어가게 하소서.

 

 

출처 : 생명의 삶 (큐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