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님 뜻에 순종하는 삶

 

[사사기 1장 1절~10절]
1절 - 여호수아가 죽은 후에 이스라엘 자손이 여호와께 여쭈어 이르되 우리 가운데 누가 먼저 올라가서 가나안 족속과 싸우리이까
2절 - 여호와께서 이르시되 유다가 올라갈지니라 보라 내가 이 땅을 그의 손에 넘겨 주었노라 하시니라
3절 - 유다가 그의 형제 시므온에게 이르되 내가 제비 뽑아 얻은 땅에 나와 함께 올라가서 가나안 족속과 싸우자 그리하면 나도 네가 제비 뽑아 얻은 땅에 함께 가리라 하니 이에 시므온이 그와 함께 가니라
4절 - 유다가 올라가매 여호와께서 가나안 족속과 브리스 족속을 그들의 손에 넘겨 주시니 그들이 베섹에서 만 명을 죽이고
5절 - 또 베섹에서 아도니 베섹을 만나 그와 싸워서 가나안 족속과 브리스 족속을 죽이니
6절 - 아도니 베섹이 도망하는지라 그를 쫓아가서 잡아 그의 엄지손가락과 엄지발가락을 자르매
7절 - 아도니 베섹이 이르되 옛적에 칠십 명의 왕들이 그들의 엄지손가락과 엄지발가락이 잘리고 내 상 아래에서 먹을 것을 줍더니 하나님이 내가 행한 대로 내게 갚으심이로다 하니라 무리가 그를 끌고 예루살렘에 이르렀더니 그가 거기서 죽었더라
8절 - 유다 자손이 예루살렘을 쳐서 점령하여 칼날로 치고 그 성을 불살랐으며
9절 - 그 후에 유다 자손이 내려가서 산지와 남방과 평지에 거주하는 가나안 족속과 싸웠고
10절 - 유다가 또 가서 헤브론에 거주하는 가나안 족속을 쳐서 세새와 아히만과 달매를 죽였더라 헤브론의 본 이름은 기럇 아르바였더라

 

[배경 이해하기]
하나님은 출애굽한 이스라엘 백성과 시내산에서 언약을 맺으시고 그들을 하나님 백성으로 삼으셨습니다. 모세를 통해 광야에서 그들을 먹이고 입히셨습니다. 모세가 죽은 후에는 또한 여호수아를 지도자로 세우시고 젖과 꿀이 흐르는 가나안 땅을 정복하게 하셨습니다. 가나안 땅에 들어간 후 여호수아는 하나님 명령에 따라 지파별로 땅을 분배했고, 각 지파는 분배받은 땅에 거주했습니다.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이 거주하는 땅에 여전히 남아 있는 가나안 이방 거류민들을 완전히 정복하라고 말씀하셨지만, 백성은 오히려 이방인과 어울리며 우상 숭배의 범죄에 빠졌습니다. 여호수아가 죽기 전까지는 신정 정치가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되었지만, 그가 죽은 후에는 지파별로 거주하는 지역의 형편에 따라 독자적, 자치적으로 운영되다 보니 선민 이스라엘로서의 민족성과 신앙적 자기 정체성이 흔들리게 되었습니다. 정치적, 신앙적으로 불안정한 상황에서 가나안 땅에 거류하던 이방 거류민들이 이스라엘 민족을 압박하기 시작했고, 이런 위기를 당할 때마다 이스라엘 민족은 하나님께 도움을 구했습니다. 이는 하나님 백성으로서의 정체성과 사명을 지키지 못한 결과입니다. 하나님은 도와 달라는 백성의 요청을 들으시고 때마다 지도자를 세워 주셨는데, 이들이 바로 사사입니다. 사사 시대는 여호수아가 죽은 후부터 이스라엘의 초대 왕 사울이 즉위할 때까지 약 350년간(BC 1390~1050) 계속되었습니다.

[관찰과 묵상]
1. 하나님은 가장 먼저 어느 지파가 가나안 족속과 싸우도록 명령하셨나요?(1~2절)
하나님은 유다 지파가 먼저 올라가 가나안 족속과 브리스 족속과 싸워 가나안 땅을 정복하라고 명령하셨습니다.
사사기의 배경은 ‘여호수아가 죽은 후’(1절), 즉 가나안 땅 정복 바로 직후입니다. 하나님은 모세를 통해 이스라엘 백성을 출애굽시키시고, 여호수아를 통해 가나안 땅을 정복하게 하셨습니다. 여호수아의 죽음 이후, 가나안 땅에 정착해야 하는 사명이 출애굽 2세대에게 부여됩니다. 그들은 가나안 땅을 정복했지만 여전히 그곳에는 이방 민족이 남아 있고, 이스라엘 백성은 이방 거류민들을 완전히 몰아낸 후에 정착할 수 있는 상황입니다. 지파별로 정복 전쟁을 치르기 전에 백성은 먼저 하나님께 묻습니다. 가나안에 온전히 정착하기 위해 백성은 ‘누가 먼저 올라가 싸우리이까’ 하고 하나님의 뜻을 구했습니다(1절). 여호수아를 리더십으로 했던 가나안 정복 전쟁이 이스라엘 모든 지파가 함께 싸운 전쟁이었다면, 여호수아 사후 가나안 정착을 위한 전쟁은 땅을 분배받은 곳에서 지파별로 치러야 하는 전쟁입니다. 이스라엘 백성이 하나님께 여쭈었다는 것은 전쟁의 승패가 온전히 하나님께 있으며, 가나안 땅을 정복하게 하신 하나님이 온전히 정착하게 하실 것이라는 고백적 질문입니다. 하나님은 하나님께 뜻을 구한 백성에게 말씀하십니다. 하나님의 말씀에 따라 첫 번째로 싸워야 할 지파는 유다 지파이고, 싸워야 할 대상은 가나안 족속과 브리스 족속입니다(4절). 가나안 족속은 블레셋 중부 지방과 요단 서편의 계곡과 평원에 사는 거류민들입니다.
적용과 나눔
어떤 일을 결정할 때 하나님 뜻을 구하나요, 나의 판단대로 결정하나요? 하나님 뜻을 구하고 일을 진행한 경험을 나누어 보세요.
신앙적 삶이란 하나님의 뜻을 따르는 삶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하나님의 뜻을 따르기 위해서는 하나님께 묻는 것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하나님께 묻는다는 것은 인간의 무지함과 연약함을 고백하는 것입니다. 전지전능하신 하나님이 언제나 옳고 정의로우시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입니다. 인간의 경험과 판단, 여러 가지 데이터가 물론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인간적인 모든 것은 전지전능하신 하나님 앞에서 제한적이고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또한 하나님께 묻는다는 것은 하나님의 주권을 인정한다는 고백입니다. 하나님의 주권을 인정하는 사람은 자신의 뜻과 경험을 잠시 내려놓고 하나님의 뜻을 구합니다. 하나님이 우리 개인의 삶뿐만 아니라 온 우주의 주인이심을 인정하기에 주인의 뜻대로 이루어지길 소망합니다. 하나님의 뜻을 구하는 신앙 고백의 절정은 우리의 순종에 있습니다. 순종은 하나님을 온전히 바라보는 사람이 할 수 있는 행동입니다. 하나님의 뜻을 묻고 그 뜻에 순종할 때 비로소 불가능해 보이는 일들이 기적처럼 이루어집니다.

2. 유다 지파에 진멸당한 아도니 베섹의 마지막 고백은 무엇이었나요?(5~7절)
아도니 베섹은 엄지손가락과 엄지발가락이 잘렸고, ‘하나님이 내가 행한 대로 내게 갚으심이로다’라고 말하며 죽었습니다.
유다 지파는 형제 시므온 지파와 함께 가나안 족속과 브리스 족속을 진멸하고, 도망하는 아도니 베섹을 붙잡아 그의 엄지손가락과 엄지발가락을 끊어 버립니다. 아도니 베섹은 가나안 족속, 브리스 족속과 전쟁을 치르기 위해 통과해야 하는 가나안의 한 성읍 베섹의 왕입니다. 기록에 따르면 아도니 베섹은 그가 정복한 성읍들을 다스리던 왕 70명의 엄지손가락과 엄지발가락을 끊어 버렸는데, 유다 지파와 시므온 지파에 의해 행한 그대로 갚음을 받게 되었습니다(7절). 왕의 엄지손가락과 엄지발가락을 절단하는 것은 고대 근동 지역에서 전쟁에 패한 적군에게 엄청난 수치를 안겨 주는 행동이었습니다. 엄지손가락이 끊어지면 전쟁에서 사용할 칼이나 창, 활 등의 무기를 손에 쥘 수 없고, 엄지발가락이 없으면 걷는 것이 불가능해 전투를 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아도니 베섹은 그가 70명의 왕에게 행했던 수치를 그대로 당하면서 ‘하나님이 내가 행한 대로 내게 갚으심이로다’라고 고백합니다. 유다 지파와 시므온 지파는 예루살렘과 헤브론을 정복하고 그 땅에 거주하게 됩니다.
적용과 나눔
하나님은 내가 행한 모든 일을 기억하시는 분임을 언제 경험했나요? 하나님 앞에서 사는 삶은 어떤 태도를 요구하나요?
“스스로 속이지 말라 하나님은 업신여김을 받지 아니하시나니 사람이 무엇으로 심든지 그대로 거두리라”(갈 6:7). 하나님은 우리가 기억하지 못하는 것까지 전부 기억하시는 전능하신 분입니다. 하나님은 무소부재하시기에 그분 앞에 숨길 수 있는 것은 단 한 가지도 없습니다. 하나님 앞에서는 모든 것이 벌거벗은 것같이 드러나게 됩니다. 하나님은 심는 대로 거두게 하시는 분이기에 우리 죄를 절대 간과하지 않으십니다. 우리는 매 순간 하나님 앞에서 살아가고 있음을 의식해야 합니다. 그러나 하나님을 의식하며 살아간다 해도 우리 안에는 원죄로 인한 죄성이 있기에 여전히 죄의 문제는 해결되지 않습니다. 이를 아시는 하나님은 예수 그리스도의 대속을 통한 죄 사함을 약속하셨습니다. 따라서 그리스도인은 하나님 앞에서의 삶, 즉 코람데오의 삶을 살아야 하며, 또한 자신의 연약함을 인정하고 철저히 예수 그리스도를 의지함으로써 구속의 은혜를 날마다 구해야 합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피를 의지하고 구하는 사람은 구원의 은혜를 누릴 수 있습니다. 나아가 죄로부터 온전히 자유로울 수 있습니다.

 

* 하나님 뜻을 따르기 위해서는 하나님께 묻는 것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하나님께 묻는 행위는 자신의 무지함과 연약함을 알고 전지전능하신 하나님이 언제나 옳으심을 인정하는 것입니다. 하나님께 묻는 것은 그분의 의견을 듣고 내 뜻과 비교해 어느 것이 나은지 가늠하는 것이 아니라, 그분 뜻만이 온전함을 고백하며 그분을 신뢰하는 것입니다. 때로는 하나님 뜻에 순종할 때 어려움이 따를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모든 것이 합력해 선을 이루게 하시는 하나님이 결국 승리의 길로 인도하십니다. 그런 하나님을 소망하도록 성령께서 도우시고 힘을 주십니다.

 

[말씀으로 기도하기]
모든 상황 속에서 하나님 뜻을 구하고 전심을 다해 따르길 원합니다. 언제 어디서나 하나님 앞에 있음을 의식하는 코람데오(Coram Deo)의 삶을 신실하게 살아가도록 이끌어 주소서. 

 

 

출처 : 생명의 삶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