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족하는 마음이 세상 유혹을 이깁니다

 

[디모데전서 6장 1절~10절]
1절 - 무릇 멍에 아래에 있는 종들은 자기 상전들을 범사에 마땅히 공경할 자로 알지니 이는 하나님의 이름과 교훈으로 비방을 받지 않게 하려 함이라
2절 - 믿는 상전이 있는 자들은 그 상전을 형제라고 가볍게 여기지 말고 더 잘 섬기게 하라 이는 유익을 받는 자들이 믿는 자요 사랑을 받는 자임이라 너는 이것들을 가르치고 권하라
3절 - 누구든지 다른 교훈을 하며 바른 말 곧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말씀과 경건에 관한 교훈을 따르지 아니하면
4절 - 그는 교만하여 아무 것도 알지 못하고 변론과 언쟁을 좋아하는 자니 이로써 투기와 분쟁과 비방과 악한 생각이 나며
5절 - 마음이 부패하여지고 진리를 잃어 버려 경건을 이익의 방도로 생각하는 자들의 다툼이 일어나느니라
6절 - 그러나 자족하는 마음이 있으면 경건은 큰 이익이 되느니라
7절 - 우리가 세상에 아무 것도 가지고 온 것이 없으매 또한 아무 것도 가지고 가지 못하리니
8절 - 우리가 먹을 것과 입을 것이 있은즉 족한 줄로 알 것이니라
9절 - 부하려 하는 자들은 시험과 올무와 여러 가지 어리석고 해로운 욕심에 떨어지나니 곧 사람으로 파멸과 멸망에 빠지게 하는 것이라
10절 - 돈을 사랑함이 일만 악의 뿌리가 되나니 이것을 탐내는 자들은 미혹을 받아 믿음에서 떠나 많은 근심으로써 자기를 찔렀도다

 

종은 상전을 공경해야 하며, 믿는 상전을 둔 종은 더욱 잘 섬겨야 합니다. 그리스도의 말씀과 교훈을 따르지 않으면 진리를 잃어버리고, 경건을 이익의 수단으로 여기는 자들 사이에 다툼이 일어납니다. 자족하는 마음을 가지면 경건은 큰 이익이 되지만, 돈을 사랑하면 파멸에 이릅니다.

 

1. 종들에 대한 교훈 (1~2절)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은 이 세상의 형식과 틀을 초월합니다. 그러나 그것이 전부는 아닙니다. 바울은 이 세상 질서 또한 존중해야 한다고 가르칩니다. 예수 그리스도를 믿기 전에 주인과 종의 관계였던 사람들은 그 관계를 여전히 인식하며 상대방을 대하라는 것입니다. 바울 당시에 종들이 그리스도 안에서 한 형제자매임을 내세우며 주인에게 함부로 대하는 것은 사회 질서 면에서 덕스럽지 않았습니다. 만약 그랬다면 믿지 않는 자들이 교회와 성도를 이상히 여겨 비방할 가능성이 컸습니다. 오늘날에도 우리는 천국의 시민임과 동시에 이 땅의 시민이라는 이중적 정체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성도는 믿지 않는 자들과 믿는 자들 사이에 오해가 없도록 말과 행동에 늘 신중해야 합니다.

* 종은 믿는 상전을 어떻게 대해야 하나요? 천국 시민이자 이 땅의 시민이라는 정체성을 기억하고 내가 겸손히 순종할 대상은 누구인가요?

 

2. 자족하는 마음 (3~10절)

삶과 분리된 가르침은 거짓입니다. 당시 에베소 교회에는 거짓 교훈을 전하는 자들이 있었습니다. 그들은 변론과 말다툼에 능할 뿐 하나님이 원하시는 경건과는 거리가 멀었습니다. 바울은 삶과 분리된 가르침의 위험성을 말하며, 거짓 교사들처럼 가르침이 물질을 얻는 수단으로 전락해서는 안된다고 강조합니다. 물질에 대한 애착을 버리고 '자족하는 마음'으로 감사할 때 물질의 유혹을 멀리할 수 있습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물질의 힘은 대단합니다. 물질은 사람들 앞에서 자기를 드러내는 수단이 되고 안란한 삶을 가능하게 합니다. 그러나 물질이 결코 우리에게 참된 평안과 만족을 주지 못한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합니다.

* 부자가 되길 갈망하는 사람이 맛보게 될 결말은 어떠한가요? 내가 자족하는 마음으로 감사할 일은 무엇인가요?

 

오늘의 기도

가진 것이 많든 적든 자족하며 감사하는 마음이 제 안에 흔들림 없이 자리하게 하소서. 돈만 있으면 무엇이든 원하는 것을 할 수 있다는 세상의 외침에 속지 않기 원합니다. 탐욕을 채우려고 믿음에서 떠나는 어리석은 사람이 아니라, 경건의 능력을 나타내는 참신앙인이 되게 하소서.

 

 

출처 : 생명의 삶 (큐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