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언이 갖는 의미는(왕상 2:1)?
이스라엘에서 유언은 후손에 대한 축복을 할때 주로 사용됨.
대표적인 예는 모세가 여호수아에게 한것인데, 하나님께서 그를 지키실 것을 축복하고 있습니다(수1:1-8).
예수님께서는 지상 사역을 마감하시면서 제자들에게 세상 모든 족속에게 가서 제자를 삼으라는 것과 끝날까지 함께하시리라는 말씀을 남기셨습니다(마28:18-20).
세상 모든 사람의 가는 길이란(왕상 2:2)?
죽음을 의미함.
이는 여호수아가 죽기전에 이스라엘 장로들과 유사들에게 한 말입니다.
인간에게 있어 죽음은 피할수 없는 죄의 대가입니다(히9:27). 그러나 성도들은 그리스도 안에서 죽으면 영원히 사는 영생의 축복을 얻습니다.
권력자의 뜻을 거스린 사람의 결과는(왕상 2:5, 6)?
그의 삶이 평안하지 못하고, 그에 상응하는 대가를 꼭 받게 됩니다.
죄인에 대한 하나님의 징계는 그분의 공의로운 성품과 연관이 되어서 실행됩니다(렘2:19). 하나님께서는 자기의 뜻을 거스린 사람을 징벌하십니다.
다윗이 바실래의 아들들에 대해서 부탁한 것은(왕상 2:7)?
왕의 상에서 먹는 자가 되게 하라.
이것은 존귀한 신분을 가진 자로 대우하라는 의미입니다(삼하9:11).
장차 우리도 신분의 고하를 막론하고 어린양의 혼인 잔치에 초청되어서 주님과 함께 한상에서 식사를 하게될 것입니다(마26:29).
용서받았음에도 불구하고 회개하지 않은 죄인의 특징은(왕상 2:13-18)?
사함받은 것에 감사하지 않고 다른 죄를 계획함.
하나님께서는 자기의 죄를 깨닫고 통회하는 사람에게는 가까이 하시지만 용서받은 은혜를 잊고 죄에서 돌이키기를 거부하는 사람에게는 영원한 벌을 주십니다(시34:18).
아도니야가 수넴 여자 아비삭을 아내로 취하려 한 이유는(왕상 2:17)?
제2의 반역을 위한 무서운 음모를 꾸미기 위해서.
아비삭은 다윗의 마지막 첩이었습니다(왕상1:3,4). 고대에는 선왕의 첩을 아내로 삼음으로 왕위를 인정받는 풍습이 있었습니다.
아도니야는 은연 중에 자신을 다윗의 후계자로 부각시키려 했습니다.
죄에 대한 밧세바의 태도는(왕상 2:19-22)?
하나님의 뜻을 생각하기보다는 인간적인 생각을 가지고서 그 죄에 동참함.
죄는 한번 용납하게 되면 계속적으로 우리를 괴롭히고 우리 안에서 우리를 주장하게 됩니다.
진실을 위해 살지않는 자는 세상의 흐름에 떠밀려 살다가 진리편에 선 자에게 책망을 받게 됩니다.
형제 살인은 정당한 것인가(왕상 2:23-25)?
성경은 원칙적으로 형제 살인을 포함한 모든 살인을 금하고 있습니다(출20:13). 왜냐하면 살인은 하나님의 창조 사역에 대항하는 것이며 인간의 생명을 귀하게 여기시는 하나님의 뜻을 외면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형제라할지라도 하나님의 뜻을 거스릴때는 혈연 관계를 초월하여 엄중히 다스려야 합니다.
성직자에 대한 권징은 가능한가(왕상 2:26, 27)?
성직자라도 하나님의 뜻을 거스릴때는 하나님께서 직접 징계하심.
그러나 교회에서의 징계는 타인을 비판, 정죄하려는 목적이 아니라 공동체의 화합과 하나님의 뜻을 이루기 위한 치유의 목적에서 행해져야 합니다. 더우기 하나님께서 택하신 사람을 징계할때는 더욱더 신중을 기해야 합니다.
엘리 가문에 대한 하나님의 말씀은 어떻게 응했는가(왕상 2:27)?
과거에 엘리에게 말씀하신대로 엘리 가문의 아비아달이 파면됨(삼상2:27-36).
하나님의 말씀은 일점일획의 오차도 없습니다(마5:18). 그래서 약속하신 하나님의 말씀은 언젠가는 확실하게 이루어집니다.
또한 신실하신 하나님의 말씀은 신앙 생활을 하는 우리에게 좋은 안내자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묵상하며 그대로 지켜 행하여야 합니다(딤후3:16,17).
피가 의미하는 것은(왕상 2:31-33)?
피는 생명의 근원임.
구약에서 피는 종교적인 의미에서 희생 제물을 드릴때의 본질적인 요소였습니다. 한편 이스라엘 민족은 무죄한 피를 흘리게 한 자에게는 하나님의 저주가 임한다고 믿었습니다(수2:19).
신약에서는 주로 예수님의 대속적 죽음을 피로 말하고 있습니다(롬5:9).
우리는 예수님께서 십자가에서 흘린 그 피로 하나님과 화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약속을 어긴 자의 결과는(왕상 2:39-46)?
약속 파기로 죽음을 당함.
구약에서의 약속은 주로 하나님과 사람의 약속, 사람과 사람간의 약속으로 나누어지는데 하나님께서는 구원을 전제로 약속을 하시며, 그것을 확실히 성취하십니다. 이처럼 사람 사이의 약속도 신실하게 이행되어야 하는데 그렇지 않으면 파멸을 가져오게 됩니다.
신약에서의 약속은 예수님께 집중되어 있는데 하나님의 모든 약속들은 신실합니다. 예수님께서 친히 그 증거가 되셨습니다(고후1:20).
출처 : 갓피플
'열왕기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 QA자료] 열왕기상 4장 (0) | 2012.06.15 |
---|---|
[성경 QA자료] 열왕기상 3장 (0) | 2012.06.15 |
[성경 QA자료] 열왕기상 1장 (0) | 2012.06.15 |
[연구자료] 분열된 왕국 (열왕기상 12~22장) - 2 (0) | 2012.06.15 |
[연구자료] 분열된 왕국 (열왕기상 12~22장) - 1 (0) | 2012.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