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안에게 진 이스라엘 자손은 어디에 살게 되었는가(삿 6:1-3)?

산에 구멍과 굴을 파고 산성을 만들어 그곳에 살았음.
이스라엘이 하나님께 순종했을때는 이방 민족들이 이스라엘을 피해 달아나거나 숨어 살았었는데, 이제는 상황이 바뀌어 이스라엘이 이방인을 피해 숨어 살아야 했던 것입니다.


거듭되는 죄의 대가는(삿 6:4, 5)?

죄인의 소산이 하나도 남김없이 다 멸하게 됨.
사람이 소유하고 있는 모든 것은 하나님의 축복으로 이루어진 것입니다. 사람이 계속해서 죄를 지으면 하나님은 그 죄인의 손에서 복을 거두시고 곤핍함과 어려움을 겪게 하십니다.
하나님 앞에서 자신을 돌아보는 삶을 살아야 합니다.


죄인들을 교훈하시는 하나님의 방법은(삿 6:7-10)?

과거에 하나님께서 베푸신 은혜를 상기시킴.
하나님은 죄인들을 단번에 벌주시지 않고 먼저 회개할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십니다. 그런 연후에도 계속 죄를 지으면 죄를 용서하지 않고 형벌을 주십니다.


하나님께 쓰임받는 사람의 기준은(삿 6:12)?

하나님의 마음에 합당한 사람.
하나님의 선택은 인간의 외모나 그가 가지는 장점에 있는 것이 아닙니다. 하나님은 중심을 보시는 분이기에 그의 뜻을 따르는 사람을 선택하여 사용하십니다.


소명받은 사람이 취할 태도는(삿 6:14-16)?

겸손하게 하나님의 뜻을 확인해야 함.
자신의 무능을 진솔하게 시인하는 것은 하나님의 은총을 힘입기 위한 전초전과 같습니다(렘1:6). 하나님께서는 겸손한 자를 쓰시며 그에게 복 주시기를 기뻐하십니다(삼상9:21).


예물의 의미와 예물을 드릴때에 취할 태도는(삿 6:18)?

예물은 하나님께서 베푸신 은혜에 감사함으로 드리는 물질을 말함.
하나님께 예배할때는 헌신적으로 우리의 모든 것을 바쳐야 합니다(롬12:1).
하나님은 또한 우리의 중심을 보시기 때문에 억지로나 인색함으로 드리지 말고 자원함으로 드리는 것을 기뻐하시며 그런 사람에게 복을 주십니다(고후9:7).

 
하나님께서 이적을 베푸시는 목적은(삿 6:19-21)?

당신의 뜻을 확실하게 보여주시기 위해.
이적은 하나님의 전능하심을 보여주는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이것은 때때로 성도의 믿음을 성장시키는 좋은 도구가 되기도 합니다.

 
은혜받은 성도가 해야할 일은(삿 6:24)?

하나님께 온전한 경배와 예배를 드려야 함.
예배는 구원받은 성도가 하나님의 은혜에 감사하여 드리는 기쁨과 환희의 제사입니다. 하나님은 그런 예배를 통하여 성도에게 확신과 약속과 은혜를 베푸십니다.


‘여호와 샬롬’의 뜻은(삿 6:24)?

평강의 하나님.
주님은 평강의 왕이십니다(사9:6). 하나님은 선을 행하는 사람에게 평강을 주시며(롬2:10), 그가 통치하시는 하나님 나라 또한 평강의 나라입니다(롬14:17).


구원받기 위한 전제 조건은(삿 6:25-27)?

하나님외에 섬겼던 우상을 버려야 함.
구원은 하나님께로서만 가능한 일입니다. 세상의 어떤 신도 우리를 우리의 죄에서 구원할수 없습니다.

 
죄를 깨닫지 못하는 자들의 행동은(삿 6:28-30)?

자기들을 구원할 자를 도리어 죽이려 함.
죄많은 사람들은 자기들의 구원자를 올바로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수님의 죽으심도 결국은 당시 사람들이 예수님께서 구원자시라는 것을 깨닫지 못한 결과로 일어난 것입니다.


‘여룹바알’의 뜻은(삿 6:32)?

‘바알에게 대항하다’.
성도의 삶은 사단과의 싸움입니다. 그리스도의 군사된 자(딤후2:3,4)들로서 성도의 이름은 구원받은 자들이라는 뜻이지만 또한 사단과 싸워 이기는 자들이라는 이름도 가져야 합니다.


선택된 지도자에 대한 자세는(삿 6:33-35)?

하나님의 뜻을 지도자의 결정에 맡기고 순종해야 함.
지도자는 하나님께서 세우십니다. 그러므로 그의 뜻을 따르는 것은 하나님의 뜻을 따르는 결과가 됩니다.


인간은 얼마나 연약한가(삿 6:36-40)?

하나님의 뜻을 알면서도 계속 확인하고 싶어함.
하나님은 우리의 연약함을 책망하시는 분이 아닙니다. 오직 당신의 사랑과 은총과 자비로 연약한 인간을 도우시는 분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의심의 구름이 걷히지 않아 하나님의 뜻을 확신하지 못했을때는 자신의 사정을 정직하게 하나님께 말씀드려 확신을 구해야 합니다.

 

 

출처 : 갓피플


'사사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 QA자료] 사사기 8장  (0) 2012.06.28
[성경 QA자료] 사사기 7장  (0) 2012.06.28
[성경 QA자료] 사사기 5장  (0) 2012.06.28
[성경 QA자료] 사사기 4장  (0) 2012.06.28
[성경 QA자료] 사사기 3장  (0) 2012.06.2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