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하드락 땅에 임한 경고 (피영민 목사)

 

[스가랴 9장 1절~10절]

1절 - 여호와의 말씀이 하드락 땅에 내리며 다메섹에 머물리니 사람들과 이스라엘 모든 지파의 눈이 여호와를 우러러봄이니라

2절 - 그 접경한 하맛에도 임하겠고 두로와 시돈에도 임하리니 그들이 매우 지혜로움이니라

3절 - 두로는 자기를 위하여 요새를 건축하며 은을 티끌 같이, 금을 거리의 진흙 같이 쌓았도다

4절 - 주께서 그를 정복하시며 그의 권세를 바다에 쳐넣으시리니 그가 불에 삼켜질지라

5절 - 아스글론이 보고 무서워하며 가사도 심히 아파할 것이며 에그론은 그 소망이 수치가 되므로 역시 그러하리라 가사에는 임금이 끊어질 것이며 아스글론에는 주민이 없을 것이며

6절 - 아스돗에는 잡족이 거주하리라 내가 블레셋 사람의 교만을 끊고

7절 - 그의 입에서 그의 피를, 그의 잇사이에서 그 가증한 것을 제거하리니 그들도 남아서 우리 하나님께로 돌아와서 유다의 한 지도자 같이 되겠고 에그론은 여부스 사람 같이 되리라

8절 - 내가 내 집을 둘러 진을 쳐서 적군을 막아 거기 왕래하지 못하게 할 것이라 포학한 자가 다시는 그 지경으로 지나가지 못하리니 이는 내가 눈으로 친히 봄이니라

9절 - 시온의 딸아 크게 기뻐할지어다 예루살렘의 딸아 즐거이 부를지어다 보라 네 왕이 네게 임하시나니 그는 공의로우시며 구원을 베푸시며 겸손하여서 나귀를 타시나니 나귀의 작은 것 곧 나귀 새끼니라

10절 - 내가 에브라임의 병거와 예루살렘의 말을 끊겠고 전쟁하는 활도 끊으리니 그가 이방 사람에게 화평을 전할 것이요 그의 통치는 바다에서 바다까지 이르고 유브라데 강에서 땅 끝까지 이르리라

 

성경은 사람의 강한 것이 사실은 약한 것이요, 약한 것이 사실은 강한 것이라는 역설적인 진리를 말한다.

고린도후서 12:10 그러므로 내가 그리스도를 위하여 약한 것들과 능욕과 궁핍과 박해와 곤고를 기뻐하노니 이는 내가 약한 그 때에 강함이라

스가랴 1~8장은 묵시적인 언어로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9~14장은 시적인 서술 형식으로 기록되어 있다. 선지자는 하나님이 주시는 계시의 형식대로 기록할 뿐이다.

어떤 문장형식으로 기록되어도 하나님은 성도들에게 그 의미를 깨닫게 해주신다.

  - 마태복음 13:34 예수께서 이 모든 것을 무리에게 비유로 말씀하시고 비유가 아니면 아무 것도 말씀하지 아니하셨으니

  - 마태복음 13:10~11 제자들이 예수께 나아와 이르되 어찌하여 그들에게 비유로 말씀하시나이까 대답하여 이르시되 천국의 비밀을 아는 것이 너희에게는 허락되었으나 그들에게는 아니되었나니 (믿지않는 자에게는 진리를 안가르쳐 주신다)

스가랴 9:1은 하드락 땅에 대한 경고요, 12:1은 이스라엘에 관한 경고이다. 경고란 선포하기 어려운 부담, 짐과 같은 메세지라는 의미이다.

 

1. 하드락 땅이란 무슨 의미인가?

  1) 스가랴 9:1에 단 한번 나오는 지명이다. 많은 주석들은 시리아 땅의 북쪽에 있는 한 도시라고 한다. 그러나 이 땅은 다른 문헌에는 나오지 않고, 지금도 그 위치를 모른다.

  2) 하드락의 어원적 의미를 밝힌 사람은 4~5세기에 성경을 라틴어로 번역한 제롬이다. 제롬은 하드락이란 스가랴만 사용한 상징적 언어라고 했다. 하드란 강한 혹은 날카로운이란 의미이고, 락이란 약한 혹은 무딘이란 의미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하드락은 세가지 의미가 있다는 것이다.

    - 강하기도 하고 약하기도 한 나라.

    - 강한 자는 약해지고, 약한 자는 강해진다.

    - 오실 메시야는 약하지만 강한 분이시다.  

  3) 스가랴가 예언하던 시대는 강하면서도 약한 나라인 메대와 바사가 지배하고 있었다.

    - 다니엘 7:5 다른 짐승 곧 둘째는 곰과 같은데 그것이 몸 한쪽을 들었고 그 입의 잇사이에는 세 갈빗댁 물렸는데 그것에게 말하는 자들이 있어 이르기를 일어나서 많은 고기를 먹으라 하였더라

    - 다니엘 8:3 내가 눈을 들어 본즉 강 가에 두 뿔 가진 숫양이 섰는데 그 두 뿔이 다 길었으며 그 중 한 뿔은 다른 뿔보다 길었고 그 긴 것은 나중에 난 것이더라

  스가랴는 메대 바사가 헬라의 알렉산더 대왕에게 멸망 당할 것을 예언하는 것이다.

 

2. 강한 자는 약해지고 약한 자는 강해진 구체적인 실례들

  1) 메대 바사의 도시국가들을 강한자로 보고, 유다 백성들을 약한 자로 보고 있다.

  2) 그러나 강한 자는 더 강한 자가 와서 멸망시킴으로써 약해진다는 것이다.

    ① 시리아에 속한 도시들 - 다메섹과 하맛이 멸망하게 된다.

    ② 페니키아에 속한 도시들 - 두로와 시돈도 난공불락의 요새이나 BC 333년 알렉산더 대왕에게 멸망했다. (2~4절)

    ③ 블레셋의 도시들 - 아스글론, 가사, 에그론, 아스돗은 우상 숭배로 인하여 노예로 팔리게 되었다. (5절)

  3) 그러나 약한 자인 유다 백성은 하나님이 친히 보호하심으로 강한 자가 되었도다. (8절)

 

3. 메시야는 약하나 강한 분이시다

  1) 스가랴 9:9은 마태복음 2:1~11에 실현되었다. 메시야는 나귀 새끼를 타고 입성하는 약하게 보이는 왕이실 것이라는 예언이다.

  2) 그러나 스가랴 9:10은 그의 정권은 전세계적이고 범우주적이 될 것이다.

  3) 메시야의 통치는 무력에 의한 정복이 아니라, 평화의 복음에 의한 정복이다. (9~10절)

  4) 메시야는 유대인 뿐아니라, 이방인에게도 구원을 베푸신다.

     

오늘날 세계는 하나님을 대적하는 자가 강해 보이고, 하나님을 섬기는 자는 약해 보인다.

그러나 강한 자는 멸망할 것이며, 약한 자는 강해질 것이다.

하나님은 하드락의 하나님, 역전의 하나님이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