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생명이 녹아내립니다
[욥기 30장 16절~31절]
16절 - 이제는 내 생명이 내 속에서 녹으니 환난 날이 나를 사로잡음이라
17절 - 밤이 되면 내 뼈가 쑤시니 나의 아픔이 쉬지 아니하는구나
18절 - 그가 큰 능력으로 나의 옷을 떨쳐 버리시며 나의 옷깃처럼 나를 휘어잡으시는구나
19절 - 하나님이 나를 진흙 가운데 던지셨고 나를 티끌과 재 같게 하셨구나
20절 - 내가 주께 부르짖으나 주께서 대답하지 아니하시오며 내가 섰사오나 주께서 나를 돌아보지 아니하시나이다
21절 - 주께서 돌이켜 내게 잔혹하게 하시고 힘 있는 손으로 나를 대적하시나이다
22절 - 나를 바람 위에 들어 불려가게 하시며 무서운 힘으로 나를 던져 버리시나이다
23절 - 내가 아나이다 주께서 나를 죽게 하사 모든 생물을 위하여 정한 집으로 돌려보내시리이다
24절 - 그러나 사람이 넘어질 때에 어찌 손을 펴지 아니하며 재앙을 당할 때에 어찌 도움을 부르짖지 아니하리이까
25절 - 고생의 날을 보내는 자를 위하여 내가 울지 아니하였는가 빈궁한 자를 위하여 내 마음에 근심하지 아니하였는가
26절 - 내가 복을 바랐더니 화가 왔고 광명을 기다렸더니 흑암이 왔구나
27절 - 내 마음이 들끓어 고요함이 없구나 환난 날이 내게 임하였구나
28절 - 나는 햇볕에 쬐지 않고도 검어진 피부를 가지고 걸으며 회중 가운데 서서 도움을 부르짖고 있느니라
29절 - 나는 이리의 형제요 타조의 벗이로구나
30절 - 나를 덮고 있는 피부는 검어졌고 내 뼈는 열기로 말미암아 탔구나
31절 - 내 수금은 통곡이 되었고 내 피리는 애곡이 되었구나
말씀 포인트 : 본문을 통해 절박한 위기 가운데서 오직 하나님의 기적과 구원을 간구하는 사람들의 마음을 엿보게 됩니다. 누구나 고난을 당할 때면 자신의 고난이 가장 어렵고 힘들며, 외롭고 비참하다고 느끼게 마련입니다. 특히 그 고난 가운데서 영적인 가치와 의미를 발견할 수 없을 때, 영적으로 고난에 대해 해석할 수 없을 때, 고통을 대하는 힘은 더 약해집니다. 이러한 욥의 상태를 이해하고 욥과 비슷한 처지에 있는 사람들의 마음을 헤아리며 모임을 인도해 주십시오.
1) 욥이 겪는 극심한 고통과 절망감은 어떻게 표현되나요?(16~21절)
욥은 자신의 생명이 녹고, 밤이 되면 뼈가 쑤시며 아픔이 쉬지 않는다고 고백합니다. 하나님이 큰 능력으로 자신을 휘어잡으시며, 진흙 가운데 던지셨고, 티끌과 재 같게 하셨다고 울부짖습니다. 더욱이 욥이 간절히 하나님께 부르짖어도 대답하지 않으시고, 자신을 잔혹하게 다루시며 힘 있는 손으로 대적하신다고 표현합니다.
욥은 자신의 상황을 하나님으로부터 버림받은 가장 비극적인 상태로 표현합니다. 고통 가운데 하나님의 공의로운 판결을 거듭 요청했지만 현실은 전혀 변하지 않고 고통은 가중되며 하나님의 도움의 손길은 보이지 않기 때문입니다. 고난에 빠진 하나님의 백성이 유일하게 붙잡을 수 있는 소망이 기도인데, 욥은 간절히 기도했음에도 하나님께 응답받지 못하자 매우 절망합니다. 그리고 자신의 모든 억울함과 아픔을 가장 잘 이해하시는 하나님이 침묵하시는 것에 대해 항변합니다. 욥은 하나님이 자신을 매우 잔인하고 혹독하게 다루시며, 죽음으로 몰고 가신다고 생각합니다. 그는 자신이 겪는 극심한 고통에 대해 하나님이 계속 침묵하신다면 결국 고통으로 인해 죽을 수밖에 없음을 호소하며 하나님의 즉각적인 도우심을 간구합니다.
2) 지난날 어려움에 처한 사람들에게 도움의 손길을 내밀었던 욥이 하나님께 간구한 것은 무엇인가요?(24~25절)
지난날 욥은 고생하는 사람들을 위해 울고 빈궁한 사람을 위해 근심하며 도와줬던 사람입니다. 그런 욥은 “사람이 넘어질 때에 어찌 손을 펴지 아니하며 재앙을 당할 때에 어찌 도움을 부르짖지 아니하리이까”라며 하나님께 도움을 요청합니다.
이유를 알 수 없는 극심한 고통은 욥이 감당하기에는 너무 무겁습니다. 연약한 인간에 불과한 욥으로서는 고난의 억울함과 더불어 하나님의 신속한 도움을 호소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면서 욥은 전에 자신이 베푼 의로운 행실을 회상합니다. 과거 욥은 가난하고 궁핍한 자들에게 구제를 베푸는 데 인색하지 않았습니다. 그것이 하나님 앞에 바른 믿음이고 옳은 일이라 믿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정작 자신이 어려움에 처했을 때 아무런 도움을 얻지 못하자 하나님에 대한 믿음과 자신의 신앙적 논리 사이에서 몹시 갈등합니다. 욥은 하나님이 자신의 호소를 듣지 않으시고 계속 침묵하시는 모습에 탄식하며 안타까워합니다.
3) 하나님을 향한 간절한 소망에도 불구하고 욥은 자신에게 주어진 현실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나요?(26~31절)
욥은 복을 바랐더니 화가 왔고, 광명을 기다렸더니 흑암이 왔으며, 자신의 마음이 들끓고, 환난이 임했다고 말하며 한탄합니다.
믿음으로 의를 행했던 욥의 기대는 여지없이 무너져 복이 아닌 고난을 겪었습니다. 욥은 고난이 시작된 후에도 변함없이 하나님을 신뢰하고 하나님의 도우심을 기다렸으나 고난은 시간이 지날수록 더 심해졌습니다. 욥은 이러한 상황을 도무지 이해할 수 없다고 말합니다. ‘마음’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메에’(העמ)는 본래 ‘심장’을 의미하지만, 여기서는 인간의 깊은 번민과 고통을 느끼는 감정을 가리킵니다. 욥이 계속되는 육체의 고통과 마음의 근심으로 인해 참된 안식을 누리지 못하고 혼란과 두려움 속에 방황하고 있음을 보여 줍니다. ‘이리와 타조’는 울음소리 때문에 근동 지방에서 흔히 슬픔과 고독을 나타내는 상징적인 동물로 인식되었습니다. 욥은 자신이 현재 당하는 재앙을 사람들이 목격하고도 어떠한 도움도 베풀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가장 가까운 친구들까지도 자신을 조롱하며 하나님께 아무리 도움을 호소해도 응답받을 수 없는 상황이 매우 고독하고 비극적임을 표현합니다.
출처 : 생명의 삶
'욥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응답하시는 하나님 (욥 38:1~18) (0) | 2013.03.21 |
---|---|
하나님은 사람이 길을 주목하십니다 (욥 34:21~37) (0) | 2013.03.21 |
온전함을 버리지 않을 것이라 (욥 27:1~12) (0) | 2013.03.16 |
순금같이 되어 나오리라 (욥 23:1~17) (0) | 2013.03.13 |
나를 불쌍히 여기소서 (욥 19:13~29) (0) | 2013.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