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입을 열고 헐떡였나이다

[시편 119편 129절~144절]
129절 - 주의 증거들은 놀라우므로 내 영혼이 이를 지키나이다
130절 - 주의 말씀을 열면 빛이 비치어 우둔한 사람들을 깨닫게 하나이다
131절 - 내가 주의 계명들을 사모하므로 내가 입을 열고 헐떡였나이다
132절 - 주의 이름을 사랑하는 자들에게 베푸시던 대로 내게 돌이키사 내게 은혜를 베푸소서
133절 - 나의 발걸음을 주의 말씀에 굳게 세우시고 어떤 죄악도 나를 주관하지 못하게 하소서
134절 - 사람의 박해에서 나를 구원하소서 그리하시면 내가 주의 법도들을 지키리이다
135절 - 주의 얼굴을 주의 종에게 비추시고 주의 율례로 나를 가르치소서
136절 - 그들이 주의 법을 지키지 아니하므로 내 눈물이 시냇물 같이 흐르나이다
137절 - 여호와여 주는 의로우시고 주의 판단은 옳으니이다
138절 - 주께서 명령하신 증거들은 의롭고 지극히 성실하니이다
139절 - 내 대적들이 주의 말씀을 잊어버렸으므로 내 열정이 나를 삼켰나이다
140절 - 주의 말씀이 심히 순수하므로 주의 종이 이를 사랑하나이다
141절 - 내가 미천하여 멸시를 당하나 주의 법도를 잊지 아니하였나이다
142절 - 주의 의는 영원한 의요 주의 율법은 진리로소이다
143절 - 환난과 우환이 내게 미쳤으나 주의 계명은 나의 즐거움이니이다
144절 - 주의 증거들은 영원히 의로우시니 나로 하여금 깨닫게 하사 살게 하소서

말씀 포인트 : 말씀이 얼마나 소중하고 능력이 있는지는 말씀을 배울 때 깨닫기도 하지만 말씀을 지킬 때 더욱 확실히 드러납니다. 말씀은 특히 고통과 아픔의 상황 속에서 더 깊게 다가오며, 그럴 때 더 간절하게 말씀을 붙잡고 의지하게 됩니다. 삶 속에서 심각한 고난과 아픔과 어려움을 겪을 때 경험하게 된 말씀의 지혜와 위로에 대해 서로 나누어 보시기 바랍니다.

1) 시편 기자는 말씀에 대한 살아있는 체험과, 말씀을 사모하는 자신의 열정을 어떻게 표현하고 있나요?(129~131절)
시편 기자는 주의 증거들이 놀라워 자신의 영혼이 이 말씀들을 지켰으며, 말씀을 열면 빛이 비치어 깨닫게 해 주었다고 고백합니다. 그래서 그는 말씀을 사모하여 헐떡였다고 고백합니다.
말씀은 말씀을 낳고, 말씀이 말씀을 이끕니다. 시편 기자는 말씀을 대하면 대할수록 말씀 스스로 말씀의 능력을 증언하는 것을 실제적으로 체험하고, 이 경험이 너무도 놀라워 말씀을 지키지 않을 수 없었다고 고백합니다. 말씀의 맛을 체험하고, 말씀의 비밀과 능력을 알게 되면 말씀을 놓거나 떠날 수 없습니다. 주님의 말씀이 발의 등이 되고 길의 빛이 된다고 했던 고백처럼(105절), 시편 기자는 종종 말씀을 열 때마다 하늘의 빛이 비치는 놀라운 경험을 한 것으로 보입니다. 말씀을 열면 말씀 안의 빛의 속성이 그대로 나타나 자신의 삶을 조명해 주며 앞길을 비추어 주는 체험을 했노라고 선포하며, 현재 자신이 말씀에 대한 사모함과 열정으로 충만함을 고백합니다. ‘내가 입을 열고 헐떡였나이다’라는 표현처럼 말씀에 대한 시편 기자의 필요와 요구는 가히 절대적입니다. 그만큼 그에게 말씀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며, 말씀에 대한 신뢰도가 큼을 알 수 있습니다.

2) 시편 기자는 말씀이 자신을 어떻게 보호해 줄 것이라고 기대하나요?(132~134절)
시편 기자는 말씀을 통해 자신의 발걸음을 말씀에 굳게 세우시고, 어떤 죄악도 자신을 주관하지 못하게 하시며, 사람의 박해에서 자신을 구원해 주시기를 간구하고 있습니다.
말씀은 믿음의 사람들을 환난에서 보호하고 구원하는 강력한 힘을 지니고 있습니다. 매일매일 무엇인가를 선택하고 결정해야 하는 순간에 시편 기자는 말씀이 자신의 발걸음을 굳게 세워 준다고 고백합니다. 자신의 진로에 대해 선택하고 결정할 때, 경험과 정보와 지식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말씀만을 신뢰하고 말씀 안에서 선택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말씀에 깊이 뿌리박힌 삶은 좌로나 우로 치우침이 없습니다. 사람들은 소문과 뉴스에 갈팡질팡할지 모르지만 말씀에 기초한 선택을 한 사람은 한결같은 마음으로 하나님만 바라보며 과정과 결과를 기다립니다. 시편 기자는 자신을 죄에서 구원하고 지킬 힘도 말씀에 있다고 고백합니다. 아담의 범죄 사건으로 인해 인간 안에 내재된 죄악의 본성은 어떤 사람도 순식간에 죄와 탐욕의 노예로 전락시킬만큼 강력한 힘을 갖고 있습니다. 사람의 평가와 반응에 좌우되거나 죄와 욕망에 사로잡히지 않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말씀에 붙들려야 함을 시편 기자의 고백을 통해 배우게 됩니다.

3) 시편 기자가 당한 고난과 이를 극복하기 위해 선택한 방법은 무엇인가요?(141~144절)
시편 기자의 현재 자신이 미천해서 멸시를 당하고 있으며, 환난과 우환이 자신에게 미쳤다고 토로합니다. 그러나 시편 기자는 주의 법도를 잊지 않았으며 주의 율법은 여전히 진리이심을 고백하며, 주의 증거들이 의로우니 자신에게 깨달을 수 있는 지혜를 주셔서 살아나게 해 달라고 간구합니다.
또한 시편 기자는 말씀 안에 고난과 역경을 이겨 내는 힘이 있음을 고백합니다. 시편 기자는 지금 매우 어렵고 힘든 고난의 과정 중에 있습니다. 그러나 그는 고난과 역경에 굴하지 않고, 말씀을 통해 자신이 다시 살아날 것을 확신합니다. 고난이 와도 고난에 지지 않는 믿음, 환난이 와도 환난에 굴하지 않는 믿음, 사람들의 멸시와 박해를 당해도 사람을 바라보기보다 오직 하나님을 바라보며 말씀을 붙잡고 의지하는 굳건한 믿음을 보이며 말씀을 향한 신뢰의 태도를 전혀 잃지 않고 있습니다. 한 사람 안의 믿음의 크기는 평안할 때가 아니라 고난과 어려움의 때에 나타납니다. 얼마나 참을 수 있는가, 언제까지 포기하지 않을 수 있는가가 그 사람의 믿음의 크기입니다. 환난도, 우환도 말씀을 향한 시편 기자의 확신과 신뢰를 무너뜨리지 못했습니다. 약할 때 강함 되시는 주님을 의지하며 더욱 말씀 안에 견고해져 가며, 고난 가운데서도 말씀 안의 즐거움을 찾아 기뻐하고 있습니다.



출처 : 생명의 삶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