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님의 성막을 세우다
[출애굽기 40장 1절~16절]
1절 -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말씀하여 이르시되
2절 - 너는 첫째 달 초하루에 성막 곧 회막을 세우고
3절 - 또 증거궤를 들여놓고 또 휘장으로 그 궤를 가리고
4절 - 또 상을 들여놓고 그 위에 물품을 진설하고 등잔대를 들여놓아 불을 켜고
5절 - 또 금 향단을 증거궤 앞에 두고 성막 문에 휘장을 달고
6절 - 또 번제단을 회막의 성막 문 앞에 놓고
7절 - 또 물두멍을 회막과 제단 사이에 놓고 그 속에 물을 담고
8절 - 또 뜰 주위에 포장을 치고 뜰 문에 휘장을 달고
9절 - 또 관유를 가져다가 성막과 그 안에 있는 모든 것에 발라 그것과 그 모든 기구를 거룩하게 하라 그것이 거룩하리라
10절 - 너는 또 번제단과 그 모든 기구에 발라 그 안을 거룩하게 하라 그 제단이 지극히 거룩하리라
11절 - 너는 또 물두멍과 그 받침에 발라 거룩하게 하고
12절 - 너는 또 아론과 그 아들들을 회막 문으로 데려다가 물로 씻기고
13절 - 아론에게 거룩한 옷을 입히고 그에게 기름을 부어 거룩하게 하여 그가 내게 제사장의 직분을 행하게 하라
14절 - 너는 또 그 아들들을 데려다가 그들에게 겉옷을 입히고
15절 - 그 아버지에게 기름을 부음 같이 그들에게도 부어서 그들이 내게 제사장의 직분을 행하게 하라 그들이 기름 부음을 받았은즉 대대로 영영히 제사장이 되리라 하시매
16절 - 모세가 그같이 행하되 곧 여호와께서 자기에게 명령하신 대로 다 행하였더라
1. 하나님이 모세에게 성막을 세우라고 하신 때는 언제입니까? 또한 성막에 들여놓아야 할 기구는 어떤 것들이 있습니까?(1~8절)
하나님은 첫째 달 초하루에 성막을 세우라고 하십니다. 성막에는 증거궤를 들여놓고 휘장으로 궤를 가리고, 상과 그 위의 물품들, 등잔대, 금 향단, 번제단, 물두멍을 놓아야 합니다.
하나님은 이스라엘이 애굽을 벗어난 지 1년 후인 출애굽 2년(주전 1443년경) 1월 1일에 성막을 세우라고 명령하십니다. 정월은 유월절이 있는 달입니다. 하나님은 이달 첫날에 성막을 세워 이스라엘이 출애굽한 것을 기념하고 이스라엘이 하나님의 언약 백성이라는 메시지를 전하고 싶으셨습니다. 성막과 회막이라는 단어가 함께 사용되는데, 성막은 제사와 예배를 위한 제의적 용어이고 회막은 이스라엘 백성이 모여 중대사를 의논한다는 정치적 용어입니다. 즉 성막은 이스라엘의 영적, 정치적 중심으로 이스라엘이 하나님의 인도를 따라 운영되는 신정국가임을 나타냅니다. 하나님은 지성소에 법궤를 두도록 명하십니다. 지성소는 하나님이 거하시는 공간이기에 휘장으로 구분했습니다. 그리고 상, 등잔대, 금 향단, 번제물, 물두멍을 놓고 뜰에 포장을 치고 문에 휘장을 달라고 명령하셨습니다.
2. 성막에 기구를 진열한 뒤 해야 할 일은 무엇입니까?(9~11절)
모세와 이스라엘 백성은 관유를 가져다가 성막과 그 안에 있는 모든 것에 발라 성막과 모든 기구를 거룩하게 해야 합니다.
세워진 성막에 성전 기구들을 배치한 후 해야 할 일은 모든 기구에 관유를 바르는 것이었습니다. 이 관유는 성전에 기구를 놓기 전이 아니라, 모든 성전 기구를 제자리에 둔 후에 부었습니다. 성막에 세워진 기구들은 각자 주어진 자리를 지켜야 하고, 그 위에 기름 부음이 임할 때 하나님께 드리는 제사에 거룩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는 자격을 갖습니다. 마찬가지로 사람도 각자의 위치에서 하나님의 기름 부음을 받은 후 그분의 영광을 위해 자신의 역할을 잘 감당해야 합니다. 모든 것은 하나님 안에서 이해되고 해석될 때 의미와 가치가 있습니다. 관유를 붓는다는 것은 그것이 하나님의 소유가 되었고 하나님의 영광과 거룩하심을 드러내기 위해 사용되어야 한다는 뜻입니다. 우리 자신과 우리의 모든 소유가 하나님의 기름 부음으로 거룩하게 되어 쓰임 받는 것보다 아름답고 존귀한 일은 없습니다.
3. 하나님은 모세에게 아론과 그의 아들들을 불러서 어떤 일을 행하라고 명령하십니까?(12~16절)
하나님은 아론과 그의 아들들을 회막 문으로 데려다가 물로 씻기고 거룩한 옷을 입히고 그들에게 기름을 부어서 하나님께 제사장의 직분을 행하게 하라고 말씀하십니다. 그들은 대대로 영영히 제사장이 될 것입니다.
하나님은 모세에게 성막을 세우고 성전 기구를 배치한 후, 성전 모든 기구에 관유를 발라 거룩하게 하라고 명하십니다. 그 후에 아론과 그의 아들들을 불러 거룩하게 하고 제사장 직무를 바르게 이행하게 하라고 말씀하십니다. 제사장들을 성별하는 첫 번째 예식은 그들의 몸을 깨끗하게 씻기는 일입니다. 하나님의 일, 특히 제사와 예배를 인도하는 자는 몸과 영의 정결이 최우선입니다. 세속의 일들을 회개함으로 하나님의 통로로 사용되는 데 합당한 자격을 부여 받아야 합니다. 이는 단지 육체뿐만 아니라, 마음으로 범한 모든 죄악을 씻어 내는 예식입니다. 그다음으로 제사장들에게 “성소에서 섬길 때 입을 정교한 옷”(출 39:1)을 입혔습니다. 옷은 자격, 신분, 역할, 정체성을 드러냅니다. 거룩한 일을 하려는 사람은 거룩한 옷을 입어야 합니다. 하나님을 만나기 위해서는 그에 합당한 예복을 입어야 합니다. 모세는 이 옷에도 역시 관유를 부어 옷을 거룩하게 합니다. 관유를 붓는다는 것은 하나님의 소유가 되었다는 뜻입니다. 하나님의 사람이 그분의 일을 하기 위해서는, 그가 소유한 모든 것에도 기름을 부어 거룩하게 하는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그래야 하나님의 일에 온전히 쓰임 받을 수 있습니다. 아론의 자손들은 하나님의 기름 부음을 받았음으로 영영히 제사장이 될 것입니다. 하나님이 주권적으로 그들을 택하신 것입니다.
4. 성전을 세우는 일이 매우 힘들지만 값진 의미가 있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성전 봉헌식에 참석해서 감동을 받은 경험이 있다면 나눠 보십시오.
하나님은 이스라엘이 출애굽한 지 정확하게 1년 후에 성막을 세우게 하셨습니다. 하나님은 시간을 계수하시고 정하십니다. 하나님은 그분의 때에 계획하신 아름다운 일을 시작하십니다. 하나님은 지상에 하나님이 거하실 처소를 필요로 하셨고, 이를 위해 모세에게 매우 까다로운 주문을 하셨습니다. 모세는 이를 정확히 이행하면서 성막 완성에 최선을 다했습니다. 모든 준비가 다 갖추어지자 아름다운 성막 봉헌식이 거행되었습니다. 하나님의 일을 완성하고, 하나님이 거하시는 처소를 준비하는 일은 신성함 그 자체였으며, 과정 하나하나가 의미 있는 일이었습니다. 교회에서 성전 건축을 하는 과정 역시 그렇습니다. 교회가 성전을 건축하는 일은 큰 역사이기도 하고, 부담스러운 일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부담이 큰 만큼 의미도 크며, 이를 완성한 이후 열매도 매우 큽니다. 눈물과 감격으로 성전 봉헌 예배를 드리는 일처럼 행복한 일도 없을 것입니다. 성전 봉헌의 의미를 되새겨 보며, 우리 자신도 하나님의 거룩한 성전으로 세워지기로 결단하는 시간을 가져 봅니다.
5. 성도의 몸은 성령님이 거주하시는 성전입니다. 하나님의 성전으로서 더욱 거룩해져야 하는 부분은 무엇인지 나눠 보십시오.
“너희는 너희가 하나님의 성전인 것과 하나님의 성령이 너희 안에 계시는 것을 알지 못하느냐”(고전 3: 16). 우리 몸은 성령님이 내주하시는 거룩한 성전입니다. 인간의 몸이 하나님이 거하시는 거룩한 처소가 되는 것처럼 귀한 은혜는 없을 것입니다. 죄인인 인간의 몸 안에 거룩하신 하나님이 직접 거하고 싶어 하신다는 사실은 하나님이 우리를 얼마나 사랑하고 가까이하기 원하시는지를 깨닫게 합니다. 죄악이 갈라놓은 하나님과 사람 사이를 좁히기 위해, 하나님은 성막이라는 장치를 만드셨습니다. 또 제사라는 거룩한 예식을 통해 사람과 다시 만날 수 있는 통로를 열어 놓으셨습니다. 궁극적으로는 예수 그리스도의 죽으심과 부활하심, 성령의 역사로 우리를 그분의 성전 삼아 주셨습니다. 한편, 우리 몸이 하나님이 거하시는 전이 되려면 그에 합당한 준비를 해야 합니다. 거룩한 하나님은 장소를 구별하시고 때를 구별하십니다. 거룩한 시간에, 거룩한 장소에 임하시는 하나님이 우리 안에 거하도록 하시기 위해서 우리는 늘 거룩한 영적 상태를 유지해야 합니다. 날마다 예수 그리스도의 보혈로 거룩해지고 자신을 깨끗하게 함으로 하나님이 거하실 수 있는 성전이 되어야 합니다.
출처 : 생명의 삶
'출애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스라엘의 번영과 고통 (출 1:1~22) (0) | 2013.08.19 |
---|---|
엘림에 진을 치라 (출 15:22~27) (0) | 2013.05.10 |
넉넉하여 남음이 있었더라 (출 35:30~36:7) (0) | 2013.04.19 |
주의 영광을 내게 보이소서 (출 33:12~23) (0) | 2013.04.18 |
지혜를 주어 다 만들게 할지니 (출 31:1~11) (0) | 2013.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