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원의 소망
[예레미야애가 3장 19절~39절]
19절 - 내 고초와 재난 곧 쑥과 담즙을 기억하소서
20절 - 내 마음이 그것을 기억하고 내가 낙심이 되오나
21절 - 이것을 내가 내 마음에 담아 두었더니 그것이 오히려 나의 소망이 되었사옴은
22절 - 여호와의 인자와 긍휼이 무궁하시므로 우리가 진멸되지 아니함이니이다
23절 - 이것들이 아침마다 새로우니 주의 성실하심이 크시도소이다
24절 - 내 심령에 이르기를 여호와는 나의 기업이시니 그러므로 내가 그를 바라리라 하도다
25절 - 기다리는 자들에게나 구하는 영혼들에게 여호와는 선하시도다
26절 - 사람이 여호와의 구원을 바라고 잠잠히 기다림이 좋도다
27절 - 사람은 젊었을 때에 멍에를 메는 것이 좋으니
28절 - 혼자 앉아서 잠잠할 것은 주께서 그것을 그에게 메우셨음이라
29절 - 그대의 입을 땅의 티끌에 댈지어다 혹시 소망이 있을지로다
30절 - 자기를 치는 자에게 뺨을 돌려대어 치욕으로 배불릴지어다
31절 - 이는 주께서 영원하도록 버리지 아니하실 것임이며
32절 - 그가 비록 근심하게 하시나 그의 풍부한 인자하심에 따라 긍휼히 여기실 것임이라
33절 - 주께서 인생으로 고생하게 하시며 근심하게 하심은 본심이 아니시로다
34절 - 세상에 있는 모든 갇힌 자들을 발로 밟는 것과
35절 - 지존자의 얼굴 앞에서 사람의 재판을 굽게 하는 것과
36절 - 사람의 송사를 억울하게 하는 것은 다 주께서 기쁘게 보시는 것이 아니로다
37절 - 주의 명령이 아니면 누가 이것을 능히 말하여 이루게 할 수 있으랴
38절 - 화와 복이 지존자의 입으로부터 나오지 아니하느냐
39절 - 살아 있는 사람은 자기 죄들 때문에 벌을 받나니 어찌 원망하랴
* 주제별 목록 작성
하나님의 백성을 위한 제언
21절 : 소망을 가지라
24절 : 여호와를 기업 삼으라
25-26절 : 하나님의 구원을 확신하라 / 하나님을 의뢰하라
27절 : 젊었을 때 멍에를 참고 견디라
30절 : 보복은 하나님께 맡기라
31절 : 하나님의 사랑을 확신하라
35절 : 신전 의식을 가지라
* 도움말
1. 바라고 잠잠히 기다림(26절) : 여기서 ‘바라고’란 ‘확고하게 믿고 끝까지 기다리며 소망하다’라는 뜻이며, ‘잠잠히’란 ‘오직 하나님만을 기다리는 중에 고요히’라는 뜻이다. ‘확신 가운데서의 인내’와 ‘믿음 중에 고요히 하나님의 뜻이 이뤄지기를 기다리는 것’은 하나님의 구원을 소망하는 자들에게 절대적으로 필요한 자세이다.
2. 입을 땅에 티끌에 댈지어다(29절) : 성경에서 ‘티끌’은 ‘허무하고 무가치한 것’을 상징한다. 본문은 자기 자신이 죽은 자처럼 무가치함과 자신의 말과 사상의 허망함을 철저히 인정하는 겸손한 자세를 요구한 명령이다.
* 말씀묵상
1. 주의 성실하심을 인한 소망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의 남은 자들을 예비하시어 장차 이스라엘을 회복시켜 주실 것을 준비하셨습니다. 예레미야는 이러한 사실을 믿었기에 절망 속에서도 여호와께 소망을 두었던 것입니다. 예레미야는 소망이 아침마다 새로움은 주의 성실하심이 크기 때문이라고 고백합니다(23절). 그리고 그는 구원을 기다리고 구하는 자들에게 하나님께서 선을 베푸심을 노래합니다(25절). 여호와의 구원을 바라보고 잠잠히 기다림이 사람에게 좋다는 것입니다(26절). 비록 이스라엘이 절망스러운 상황에 처했지만 하나님께서 때가 되면 구원을 베풀 것이니 소망 가운데 주의 구원을 기다리라는 것입니다. 젊었을 때 멍에를 메는 것이 좋다는 예레미야의 진술은 하나님께서 환난을 주셨으므로 하나님께서 그 멍에를 풀어주실 것이라는 믿음을 전제로 하고 있습니다(27-28절).
2. 구원을 이루실 것으로 인한 소망
예레미야 선지자는 하나님께서 이스라엘로 고생하게 하며 근심하게 하심이 본심이 아님을 밝히며, 그 풍부한 자비대로 긍휼히 여기실 것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33절). 즉 여호와께서 구원의 은총을 베푸실 것이라는 소망 중에 인내하라는 것입니다. 그러면서 예레미야는 모든 화와 복이 하나님의 입에서 나옴을 밝힘으로써 하나님의 주권을 인정하고, 살아 있는 사람이 자기 죄로 벌을 받으므로 아무도 원망할 수 없다고 말합니다(38-39절). 즉 이스라엘이 하나님께 심판을 받는 것은 그들 자신의 죄로 말미암은 것이므로 원망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도움질문]
* 본문 관찰
1. 본문에서 하나님의 백성을 위한 제언에 대한 내용을 찾아 살펴보십시오(주제별 목록 작성 참조).
2. 하나님께서는 어떤 이에게 선을 베푸십니까?(25절)
* 깊은 묵상
1. 인생의 고생과 근심함은 하나님께서 바라시는 바가 아닙니다. 우리가 이와 같은 벌을 받는 것은 무엇 때문인지 점검해보십시오(39절).
2. 여러분의 소망의 근거는 무엇입니까? 여러분이 소망을 갖는 것을 방해하는 요소는 무엇입니까?
제공:프리셉트
'예레미야애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나님을 향한 호소 (애 3:55~66) (0) | 2013.05.08 |
---|---|
민족적 회개에 대한 권고 (애 3:40~54) (0) | 2013.05.08 |
애통하는 선지자 (애 3:1~18) (0) | 2013.05.08 |
예레미야의 탄원 (애 2:13~22) (0) | 2013.05.07 |
이스라엘에 대한 하나님의 진노 (애 2:1~12) (0) | 2013.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