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재개를 명하는 다리오 왕
[에스라 6장 1절~12절]
1절 - 이에 다리오 왕이 조서를 내려 문서창고 곧 바벨론의 보물을 쌓아둔 보물전각에서 조사하게 하여
2절 - 메대도 악메다 궁성에서 한 두루마리를 찾았으니 거기에 기록하였으되
3절 - 고레스 왕 원년에 조서를 내려 이르기를 예루살렘에 있는 하나님의 성전에 대하여 이르노니 이 성전 곧 제사 드리는 처소를 건축하되 지대를 견고히 쌓고 그 성전의 높이는 육십 규빗으로, 너비도 육십 규빗으로 하고
4절 - 큰 돌 세 켜에 새 나무 한 켜를 놓으라 그 경비는 다 왕실에서 내리라
5절 - 또 느부갓네살이 예루살렘 성전에서 탈취하여 바벨론으로 옮겼던 하나님의 성전 금, 은 그릇들을 돌려보내어 예루살렘 성전에 가져다가 하나님의 성전 안 각기 제자리에 둘지니라 하였더라
6절 - 이제 유브라데 강 건너편 총독 닷드내와 스달보스내와 너희 동관 유브라데 강 건너편 아바삭 사람들은 그 곳을 멀리하여
7절 - 하나님의 성전 공사를 막지 말고 유다 총독과 장로들이 하나님의 이 성전을 제자리에 건축하게 하라
8절 - 내가 또 조서를 내려서 하나님의 이 성전을 건축함에 대하여 너희가 유다 사람의 장로들에게 행할 것을 알리노니 왕의 재산 곧 유브라데 강 건너편에서 거둔 세금 중에서 그 경비를 이 사람들에게 끊임없이 주어 그들로 멈추지 않게 하라
9절 - 또 그들이 필요로 하는 것 곧 하늘의 하나님께 드릴 번제의 수송아지와 숫양과 어린 양과 또 밀과 소금과 포도주와 기름을 예루살렘 제사장의 요구대로 어김없이 날마다 주어
10절 - 그들이 하늘의 하나님께 향기로운 제물을 드려 왕과 왕자들의 생명을 위하여 기도하게 하라
11절 - 내가 또 명령을 내리노니 누구를 막론하고 이 명령을 변조하면 그의 집에서 들보를 빼내고 그를 그 위에 매어달게 하고 그의 집은 이로 말미암아 거름더미가 되게 하라
12절 - 만일 왕들이나 백성이 이 명령을 변조하고 손을 들어 예루살렘 하나님의 성전을 헐진대 그 곳에 이름을 두신 하나님이 그들을 멸하시기를 원하노라 나 다리오가 조서를 내렸노니 신속히 행할지어다 하였더라
* 주제별 목록 작성
다리오 왕의 명령
7절 : 하나님의 성전 공사를 막지 말라
8절 : 경비를 끊임없이 주어라
9절 : 예루살렘 제사장의 요구대로 날마다 주어라
10절 : 왕과 왕자들의 생명을 위해 기도하게 하라
11-12절 : 이 명령을 변조하지 말라
* 도움말
1. 악메다 궁성(2절) : 오늘날에는 ‘함마단’(Hamadan)으로 알려져 있는데 해발 약 1,800m의 고지로, 문서 보관에 유리했던 것으로 보인다. 과거 메대 제국의 수도이자 바사 왕들의 여름 휴양지이기도 했다.
2. 규빗(3절) : ‘팔뚝‘이란 뜻에서 유래한 말이다. 팔꿈치에서 가운데 손가락 끝까지의 길이에 근거한 길이 단위로, 약 45.6cm에 해당한다.
3. 켜(4절) : ‘층, 겹, 줄’의 의미로 사용된 듯하나 정확한 의미는 불분명하다. 70인역(LXX) 해석자들은 새 성전이 4층 높이(3층은 나무, 1층은 돌)로 세워졌다고 증언한다.
* 말씀묵상
1. 전화위복(轉禍爲福)
어느 날, 왕의 조서를 들고 총독이 다시 나타납니다. ‘과연 공사는 중단될 것인가?’ 하는 두려운 생각으로 가득한 유다 백성들에게 뜻밖의 결과가 나옵니다. 그 조서의 수위는 공사재개를 허락하는 정도가 아니라 필요한 경비와 재료에 대한 지원 명령까지 있었던 것입니다. 공사가 중단되어서는 안 된다는 의지는 이 조서를 변조하는 자들에게 엄한 벌이 내려진다는 명령으로 확인됩니다(11-12절). 왕은 왕과 왕자들에 대한 기도를 부탁하기도 하고(10절) “그곳에 이름을 두신 하나님”(12절)이라는 히브리인들의 독특한 신학적 개념을 언급해가면서, 마치 신앙인인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킬 정도의 표현을 구사하고 있습니다. 이제 상황은 역전되었습니다. 이것은 불신자들에게는 ‘기적적인 일’이지만, 성도들에게는 ‘하나님께서 하신 일’입니다.
2. 결정의 동기
다리오 왕이 이러한 결정을 내린 배경은 무엇입니까? 어떤 사람은 제국의 통치 정책이나 기복(祈福)적 태도에 초점을 맞추어 왕이 유다 백성들의 필요를 공급하면서 자신과 아들들을 위해 기도해 달라고 부탁하는 장면을 근거로 제시할 것입니다. 또한 어떤 사람은 선왕(先王)의 정책을 존중함으로써 통치 기강과 전통을 확립하려는 왕의 의도를 발견할 것입니다. 왜냐하면 다리오 왕은 여러 궁에 있는 문서 창고들을 조사하여 고레스 왕의 조서를 찾아내는 수고를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1절). 보는 입장은 다양할 수 있지만, 그 배후에 있는 하나님의 계획과 일하심을 간과해서는 안 됩니다. 하나님께서는 인간보다 높은 길과 생각으로 알하십니다(사 55:8-9).
[도움질문]
* 본문 관찰
1. 본문에서 다리오 왕은 어떤 명령을 내립니까?(주제별 목록 작성 참조)
2. 다리오 왕은 어떻게 자신의 명령이 변조되지 않게 합니까?(11-12절)
* 깊은 묵상
1. 여러분은 다리오 왕이 왜 이런 명령을 내렸다고 생각합니까?
2. 여러분은 하나님의 명령을 자신의 뜻대로 변조하는 어리석음을 저지르고 있지는 않습니까?
제공:프리셉트
'에스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스라의 귀국 (스 7:1~10) (0) | 2013.05.10 |
---|---|
성전의 완공과 봉헌식 (스 6:13~22) (0) | 2013.05.10 |
다리오 왕에게 보낸 편지 (스 5:7~17) (0) | 2013.05.10 |
성전 재건을 촉구하신 하나님 (스 4:21~5:6) (0) | 2013.05.09 |
모함받는 유다 백성들 (스 4:11~20) (0) | 2013.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