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사보다 정의와 긍휼

[스가랴 7장 1절~14절]
1절 - 다리오 왕 제사년 아홉째 달 곧 기슬래월 사일에 여호와의 말씀이 스가랴에게 임하니라
2절 - 그 때에 벧엘 사람이 사레셀과 레겜멜렉과 그의 부하들을 보내어 여호와께 은혜를 구하고
3절 - 만군의 여호와의 전에 있는 제사장들과 선지자들에게 물어 이르되 내가 여러 해 동안 행한 대로 오월 중에 울며 근신하리이까 하매
4절 - 만군의 여호와의 말씀이 내게 임하여 이르시되
5절 - 온 땅의 백성과 제사장들에게 이르라 너희가 칠십 년 동안 다섯째 달과 일곱째 달에 금식하고 애통하였거니와 그 금식이 나를 위하여, 나를 위하여 한 것이냐
6절 - 너희가 먹고 마실 때에 그것은 너희를 위하여 먹고 너희를 위하여 마시는 것이 아니냐
7절 - 예루살렘과 사면 성읍에 백성이 평온히 거주하며 남방과 평원에 사람이 거주할 때에 여호와가 옛 선지자들을 통하여 외친 말씀이 있지 않으냐 하시니라
8절 - 여호와의 말씀이 스가랴에게 임하여 이르시되
9절 - 만군의 여호와가 이같이 말하여 이르시기를 너희는 진실한 재판을 행하며 서로 인애와 긍휼을 베풀며
10절 - 과부와 고아와 나그네와 궁핍한 자를 압제하지 말며 서로 해하려고 마음에 도모하지 말라 하였으나
11절 - 그들이 듣기를 싫어하여 등을 돌리며 듣지 아니하려고 귀를 막으며
12절 - 그 마음을 금강석 같게 하여 율법과 만군의 여호와가 그의 영으로 옛 선지자들을 통하여 전한 말을 듣지 아니하므로 큰 진노가 만군의 여호와께로부터 나왔도다
13절 - 내가 불러도 그들이 듣지 아니한 것처럼 그들이 불러도 내가 듣지 아니하리라 만군의 여호와가 말하였느니라
14절 - 내가 그들을 바람으로 불어 알지 못하던 여러 나라에 흩었느니라 그 후에 이 땅이 황폐하여 오고 가는 사람이 없었나니 이는 그들이 아름다운 땅을 황폐하게 하였음이니라 하시니라

* 주제별 목록 작성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금식
4절 : 금식의 목적을 물으심
5절 : 이스라엘 백성들의 금식을 기뻐하지 않으심
6절 : 자기를 위하여 먹고 마시는 것을 원치 않으심
9절 : 진실한 재판과 인애와 긍휼을 베풀기 원하심
10절 : 과부와 고아, 궁핍한 자를 돕고 남을 해하지 말라고 하심
12-14절 : 노하시는 분

* 도움말
1. 기슬래월(1절) : 유대 종교력으로 9월(우리 달력으로는 3-4월 사이)이다.
2. 오월 중에 울며 근신하리이까(3절) : 여기서 ‘근신한다’는 말은 금식한다는 말이다. 그들이 ‘여러 해 동안 오월에 울며 금식했던’ 것은 B.C. 587년 5월 9일에 있었던 예루살렘과 성전 파괴 사건을 기념하기 위한 것이다(왕하 25:8-9; 렘 52:12-14). 공교롭게도 A.D. 70년 헤롯에 의한 성전 파괴 사건도 이날 발생했다. 그래서 현재까지 이스라엘 사람들은 ‘티샤 베-아브’라고 이름하는 이날을 특별히 기념하고 있다.

* 말씀묵상
1. Message(메시지)
본문은 스가랴 6장에서 예언된 메시야의 통치를 받는 자세에 대해 교훈하고 있습니다.

2. 이스라엘 백성들의 종교적 열심
“티샤 베-아브” 곧 아브달 9일에 대한 기억은 이스라엘 백성들에게는 참으로 끔찍한 것이었습니다. 그들에게 있어서 성소는 하나님이 임재하셔서 이 땅을 다스리는 곳이며, 성소가 위치한 시온 산은 하늘과 땅을 연결하고 하늘의 은혜를 이 땅에 공급하는 탯줄이었습니다. 그런데 그 성소가 파괴되었다는 것은 하나님이 그 백성을 떠나셨다는 것을 의미하며, 그들이 하늘로부터 아무런 은혜도 공급받지 못한다는 사실을 뜻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스라엘 백성들은 바벨론 포로 생활 70년 동안 하나님의 마음을 돌이키기 위해 성소가 파괴된 그날을 기억하며 금식하고 애통해 하는 행사를 지켜왔습니다.

3. 정의와 사랑을 실천하는 신앙
다리오 왕 4년(B.C. 518년), 이스라엘 백성들은 성전 재건 역사를 시작한 지 2년이 지나 성전이 반쯤 지어진 상태에서 왜 성전 파괴를 기념하는 절기를 계속 지켜야 하는지 의문이었습니다. 그래서 그들은 이 문제를 하나님께 여쭈어 보았습니다. 이 문제를 8개월이나 앞서서 문의했다는 사실은 그들이 하나님과 하나님이 행하신 일을 기억하고 그 교훈을 따르는 데 지극한 열심을 갖고 있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는 스스로를 위한 신앙과 열심을 책망하셨습니다(5-6절). 이로써 우리는 하나님이 요구하시는 신앙은 나 자신을 위한 신앙이 아니라 하나님을 위한 신앙이며, 예배를 드리는 행위에 만족하는 신앙이 아니라 정의와 사랑을 실천하는 신앙임을 알 수 있습니다(7-10절). 만약 우리도 그들처럼 하나님이 요구하시는 신앙이 무엇인지를 깨닫지 못하고 단지 종교적인 행위에 열심을 내는 것에 만족하고 만다면, 우리도 하나님의 징계를 면치 못할 것입니다.

[도움질문]
* 본문 관찰
1. 금식에 대한 내용을 찾아 밑줄을 긋고, 그 내용을 살펴보십시오(4-14절).
2. 유대인들이 여러 해 동안 오월중에 금식하며 기념했던 이유는 무엇입니까?(3절, 메시지 참조)
* 깊은 묵상
1. 하나님은 벧엘 사람들의 종교적 열심에 대해 어떻게 판단하셨습니까? 당신에게도 혹 이런 종교적 열심이 있습니까?(5-7절)
2. 당신의 신앙은 누구를 위한 것입니까? 예배 드리는 행위만으로 만족하고 있지는 않습니까?
* 적용 기도
제 마음이 항상 하나님의 인애와 긍휼을 기억하여 주의 말씀을 청종케 하시고 내 욕심을 위해 기도하던 것을 멈추고 순종하는 마음 되게 하소서.


제공:프리셉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