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모리 다섯 왕의 비극적 최후

[여호수아 10장 16절~27절]
16절 - 그 다섯 왕들이 도망하여 막게다의 굴에 숨었더니
17절 - 어떤 사람이 여호수아에게 고하여 이르되 막게다의 굴에 그 다섯 왕들이 숨은 것을 발견하였나이다 하니
18절 - 여호수아가 이르되 굴 어귀에 큰 돌을 굴려 막고 사람을 그 곁에 두어 그들을 지키게 하고
19절 - 너희는 지체하지 말고 너희 대적의 뒤를 따라가 그 후군을 쳐서 그들이 자기들의 성읍에 들어가지 못하게 하라 너희 하나님 여호와께서 그들을 너희 손에 넘겨 주셨느니라 하고
20절 - 여호수아와 이스라엘 자손이 그들을 크게 살륙하여 거의 멸하였고 그 남은 몇 사람은 견고한 성들로 들어간 고로
21절 - 모든 백성이 평안히 막게다 진영으로 돌아와 여호수아에게 이르렀더니 혀를 놀려 이스라엘 자손을 대적하는 자가 없었더라
22절 - 그 때에 여호수아가 이르되 굴 어귀를 열고 그 굴에서 그 다섯 왕들을 내게로 끌어내라 하매
23절 - 그들이 그대로 하여 그 다섯 왕들 곧 예루살렘 왕과 헤브론 왕과 야르뭇 왕과 라기스 왕과 에글론 왕을 굴에서 그에게로 끌어내니라
24절 - 그 왕들을 여호수아에게로 끌어내매 여호수아가 이스라엘 모든 사람을 부르고 자기와 함께 갔던 지휘관들에게 이르되 가까이 와서 이 왕들의 목을 발로 밟으라 하매 그들이 가까이 가서 그들의 목을 밟으매
25절 - 여호수아가 그들에게 이르되 두려워하지 말며 놀라지 말고 강하고 담대하라 너희가 맞서서 싸우는 모든 대적에게 여호와께서 다 이와 같이 하시리라 하고
26절 - 그 후에 여호수아가 그 왕들을 쳐죽여 다섯 나무에 매달고 저녁까지 나무에 달린 채로 두었다가
27절 - 해 질 때에 여호수아가 명령하매 그들의 시체를 나무에서 내려 그들이 숨었던 굴 안에 던지고 굴 어귀를 큰 돌로 막았더니 오늘까지 그대로 있더라

* 주제별 목록 작성
여호수아
16-20절 : 아모리 다섯 왕을 사로잡는 것보다 그들의 연합군을 섬멸하는 일을 더 중요시 여긴 사람
22-25절 : 이스라엘의 군장들이 담대할 수 있도록 격려할 줄 아는 지도력을 발휘한 사람
26-27절 : 아모리 다섯 왕을 처단함으로 하나님의 명령에 절대 복종한 사람

* 도움말
1. 막게다의 굴(16절) : 막게다는 예루살렘 남쪽 32km 지점에 위치한 가나안 남부의 주요 성읍이다. 이곳에는 천연 석회암 동굴들이 산재해 있었다.
2. 혀를 놀려(21절) : 함부로 상대방을 조소하거나 비방하는 행위를 뜻한다. 그러나 이스라엘의 연전 연승 광경을 지켜본 가나안 족속들은 이제 더 이상 이스라엘을 얕잡아 보거나 모욕하지 못하게 되었다.
3. 군장(24절) : 이는 군대의 총사령관이나 장관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수하에 군사를 거느리고 있는 모든 장교를 가리킨다.
4. 목을 밟으매(24절) : 적을 완전히 굴복시켰다는 상징적인 행동이다.

* 말씀묵상
이스라엘이 수행한 가나안 정복 전쟁은 단순히 영토를 얻기 위한 싸움이 아니었습니다. 이스라엘은 공의의 하나님이 죄악이 관영한 가나안 족속을 진멸하는 심판의 대리자였습니다(신 9:4). 아모리 다섯 왕은 이러한 이스라엘에게 패배해 그들을 피해 도망다니다가 때마침 눈에 띈 막게다 동굴에 숨었습니다(16절). 그러나 행악자가 하나님의 눈을 피해 숨을 곳은 아무 데도 없습니다. 하나님은 이스라엘군으로 하여금 아모리 왕들이 숨은 동굴을 발견하게 하셨습니다(17절).

 
1. 정복당하고 말 대적들
아모리 연합군을 섬멸하고 난 여호수아는 막게다 굴에 갇혀 있던 아모리 왕들을 끌어냈습니다. 그런 다음 이스라엘의 군장들에게 그들의 목을 밟으라고 명했습니다(22-24절). 이는 물론 이스라엘이 그들을 정복했음을 뜻하는 상징적 행동입니다. 그러나 여호수아는 군장들에게 단순히 승리감을 맛보도록 하기 위해 그렇게 한 것이 아닙니다. 바로 “너희가 더불어 싸우는 모든 대적에게 여호와께서 다 이와 같이 하시리라”(25절)는 귀중한 교훈을 깨닫게 하기 위함이었습니다. 이것은 앞으로도 계속해서 정복 전쟁을 수행해야 할 부하들의 용기를 북돋울 줄 안 여호수아의 탁월한 지도력을 보여줍니다.

 
2. 악인의 비극적 최후
악인의 특성 중 하나는 끝까지 돌이키지 않고 행악하다가 결국 멸망당한다는 점입니다(잠 11:3-7). 아모리 다섯 왕이 기브온 인들처럼 이스라엘과 화친을 도모했다면 진노 중에라도 긍휼을 입었을 것입니다. 그러나 그들은 그렇지 않았고 오히려 기브온을 응징하며 이스라엘을 대적하려 들었습니다. 여호수아는 그런 그들을 죽여 그 주검을 나무에 매달았습니다. 이로써 그들은 치욕적이고도 저주스러운 최후를 맞이했습니다(26절). 물론 이것은 가나안 족속을 진멸하라고 하신 하나님의 명령에 여호수아가 절대 복종한 행위이기도 합니다.

[도움질문]
1. 여호수아가 아모리 다섯 왕을 사로잡는 것보다 더 우선시한 일은 무엇입니까?(16-19절)
2. 이스라엘이 여리고와 아이를 정복한 데 이어 아모리 연합군마저 격파하자 남은 가나안 족속들은 어떤 반응을 보였습니까?(21절)
3. 여호수아가 이스라엘의 군장들을 격려한 내용(25절)에 비추어 볼 때 믿음의 선한 싸움을 싸우는 당신에게 요구되는 것은 무엇입니까?

 


제공:프리셉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