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교역자에 대한 생계비

바울은 살후3:8에 "누구에게서든지 양식을 값없이 먹지 않고"라고 했다. 이것은 바울이 친히 손으로 일하여 생활비를 마련한 사실을 염두에 두고 한말이다(행2:33,34). 바울의 이 말은 교역자가 교회에서 생활비 받는 것을 반대함이 아니라(고전9:7-14), 이것을 바울이 복음 전도함에 자신의 특수한 환경에서 필요에 의하여 자급 생활한 것을 가리킨다(고전9:15-18). 따라서 교역자는 교회에서 생활비를 받는 것이 마땅하다(마10:10 ; 딤전5:18). 그러나 교역자가 이 생활비가 사람들의 손에서 받는다는 심리를 가지면 안된다. 교역자는 하나님의 종이므로 하나님께서 그것을 받는 것이다. 그로인해 교역자는 하나님의 뜻에 합당하게 복음을 위하여 충성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만일 교역자가 생활비 부족으로 곤란을 당한다면, 그는 스스로 반성하여 하나님 앞에서 충성하지 못한 것을 회개하는 신앙이 필요하다. 만약 이런 상황에서 교회를 원망하거나 사람을 원망하면 하나님의 축복과 긍휼하심이 임하지 않을 것이다. 교역자는 늘 풍부에 거할줄도 알고 빈곤에 처할줄도 아는 믿음과 신앙이 필요하다.

2. 게으른 자

하나님은 인간이 성실하기를 원하시며, 게으름을 큰 죄로 정죄하고 계신다(렘48:10). 살후3:6-12에서 바울도 인간의 게으름에 대하여 말하고 있다. 육신의 생활에 게으른 자는 신앙생활에도 게으르듯이 바울은 게으른 자로 하여금 "먹지도 말게 하라"(살후3:10)고 한다. 즉 일하지 않는 자는 불의하게 살려는 자이며, 남들의 노력을 착취하거나 혹은 속임수로 재물을 취하려는 동기를 가진 자이다. 잠21:6에 말하기를 "속이는 말로 재물을 모으는 것은 죽음을 구하는 것이라 곧 불려다니는 안개니라"고 했고, 잠13:11에 "망령되어 얻은 재물은 줄어가고 손으로 모은 것은 늘어가느니라"고 하였다. 또한 일하기 싫어하는 자는 자연계 정복의 사명을 포기한 것이다. 하나님은 인류에게 만물을 다스릴 사명을 주셨다(창1:28). 그것은 인간이 만물을 다스려 얻은 물질을 하나님께 바치는 사명이다. 즉 그리스도인은 부지럼함으로 그리스도 안에서 만물을 바로 운영함으로 그리스도의 문화를 건설해야 하는 책임이 있다. 성경은 몸을 아끼지 말고 노동하여 물질을 얻어 하나님께 바치라고 가르친다.

3. 친필로 문안

바울은 살후3:16까지는 대필자로 하여금 받아쓰게 했다. 그러나 살후3:17,18은 친필로 기록함으로 마지막 인사로 끝맺고 있다. 바울은 자기가 봉사와 사역을 했던 교회들에게 자기의 독특한 필체로 문안 인사를 마쳤던 것이다. 이는 아마 장차 그의 이름으로 편지를 날조하는 일을 방지하기 위해서 특별히 요구되었던 것이다.

4. 존 낙스와 스코틀랜드의 종교개혁

1) 존 낙스(Jojn Knox)
그의 출생이나 어린 시절에 대해 자세히 알려진 바는 없다. 스코틀랜드의 종교개혁을 훌륭히 이루어냈던 존 낙스는 1505년이나 1515년 사이에 에딘버러의 동편인 하딩톤 부근에서 태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제 안수를 받은 그는 성 앤드류스 성의 무리와 연합하여 개신교 사상을 전파하다 체포되었다. 체포된 그는 19개월간 노예선에서 포로가 되었다가 1549년경에 풀려나 에드워드 6세 치하에 있던 영국으로 갔다. 영국에서 주어진 주교직을 사양하고 가톨릭의 반동이 이루어지려 할때 대륙으로 도망하였다. 제네바에서 그는 칼빈의 열렬한 지지자가 되었다. 존 낙스가 없던 스코틀랜드에서는 종교개혁이 계속 진행되고 있었으며, 종교적 열의는 민족 정신과도 융합되어 있었다. 이러한 환경 속에 존 낙스는 스코틀랜드로 돌아가 왕성한 활동을 하였으며, '회중의 군주'라고 불리웠다. 1560년 존 낙스의 활동에 힘입어 미사가 폐지되고 개혁주의 신앙고백이 채택되었으며, 존 낙스는 자신의 신념이 성취되는 것을 보고 난 1572년 11월에 사망했다.

2) 스코틀랜드의 종교개혁
스코틀랜드에는 1520년 루터적 종교개혁이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 그러나 1525년 루터의 책은 수입 금지되고, 1528년 에는 루터주의자였던 페트릭 해밀톤이 화형을 당하기에 이르렀다. 종교개혁을 거부하던 스코틀랜드에서 국회가 성경 읽기와 성경 번역을 정식으로 허락한 것은 1543년이 되어서 였다. 이시기에 설교가로는 위샤트를 들수 있는데 그는 존 낙스의 스승이기도 하다. 위샤트는 제1스위스 신앙고백서를 스코틀랜드에 소개하였다. 한편 제네바에서 칼빈 신학의 영향을 받은 존 낙스에 의해 종교개혁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고, 존 낙스는 스코틀랜드 신앙고백서를 작성하여 국회에 의해 1560년 채택되었다. 그 이후 스코틀랜드는 개혁 전통의 나라가 되었다.


 

출처 : 갓피플 자료&지식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