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므이의 죽음
[열왕기상 2장 36절~46절]
36절 - 왕이 사람을 보내어 시므이를 불러서 이르되 너는 예루살렘에서 너를 위하여 집을 짓고 거기서 살고 어디든지 나가지 말라
37절 - 너는 분명히 알라 네가 나가서 기드론 시내를 건너는 날에는 반드시 죽임을 당하리니 네 피가 네 머리로 돌아가리라
38절 - 시므이가 왕께 대답하되 이 말씀이 좋사오니 내 주 왕의 말씀대로 종이 그리 하겠나이다 하고 이에 날이 오래도록 예루살렘에 머무니라
39절 - 삼 년 후에 시므이의 두 종이 가드 왕 마아가의 아들 아기스에게로 도망하여 간지라 어떤 사람이 시므이에게 말하여 이르되 당신의 종이 가드에 있나이다
40절 - 시므이가 그 종을 찾으려고 일어나 그의 나귀에 안장을 지우고 가드로 가서 아기스에게 나아가 그의 종을 가드에서 데려왔더니
41절 - 시므이가 예루살렘에서부터 가드에 갔다가 돌아온 일을 어떤 사람이 솔로몬에게 말한지라
42절 - 왕이 사람을 보내어 시므이를 불러서 이르되 내가 너에게 여호와를 두고 맹세하게 하고 경고하여 이르기를 너는 분명히 알라 네가 밖으로 나가서 어디든지 가는 날에는 죽임을 당하리라 하지 아니하였느냐 너도 내게 말하기를 내가 들은 말씀이 좋으니이다 하였거늘
43절 - 네가 어찌하여 여호와를 두고 한 맹세와 내가 네게 이른 명령을 지키지 아니하였느냐
44절 - 왕이 또 시므이에게 이르되 네가 네 마음으로 아는 모든 악 곧 내 아버지에게 행한 바를 네가 스스로 아나니 여호와께서 네 악을 네 머리로 돌려보내시리라
45절 - 그러나 솔로몬 왕은 복을 받고 다윗의 왕위는 영원히 여호와 앞에서 견고히 서리라 하고
46절 - 여호야다의 아들 브나야에게 명령하매 그가 나가서 시므이를 치니 그가 죽은지라 이에 나라가 솔로몬의 손에 견고하여지니라
* 주제별 목록 작성
시므이
36절 : 예루살렘에만 머무르도록 지시를 받음
37절 : 기드론 시내를 건너는 날엔 죽임을 당할 것임
38절 : 솔로몬의 의견에 동의 / 약속대로 예루살렘에 오랫동안 머뭄
39절 : 3년 후 시므이의 두 종이 가드로 도망감
40절 : 가드로 가서 종들을 찾아옴
42-44절 : 솔로몬으로부터 문책을 당함 / 다윗에게 악을 행한 바 있음
46절 : 죽임을 당함
* 도움말
1. 기드론 시내(37절) : ‘탁류(어두움)의 골짜기’란 뜻이다. 예루살렘 동쪽에 있는 골짜기로 일종의 와디(wadi) 곧 간헐천이다. 힌놈의 골짜기와 만나며 겨울 우기에는 그 흐름이 사해까지 32km나 뻗친다.
2. 가드(39절) : 블레셋의 다섯 성읍(아스돗, 가사, 아스글론, 에그론) 중의 한 곳이다.
3. 견고히 서리라(45절) : 시므이의 처형으로 솔로몬을 위협하는 내부 세력은 이제 완전히 평정되었고 나라의 기초는 든든해졌다.
* 말씀묵상
다윗은 시므이를 살려주겠다는 옛 맹세 때문에 어떻게 손을 쓸 수가 없었습니다. 그러나 3년 후 드디어 기회가 찾아왔습니다.
1. 제한적인 자비
시므이는 다윗의 마지막 유언에 기초하여 가택 연금에 처해집니다. 곧 그를 예루살렘에서만 살도록 한 것입니다. 특별 사면이 없는 한 그곳이 그의 감옥이 될 것입니다. 특히 그의 북쪽 경계로 기드론 시내를 언급한 것은 시므이가 베냐민 지파의 사람들과 접촉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였습니다. 베냐민 지파는 세바의 반란에 가담했던 지파로 아직 솔로몬을 반대하는 세력이 잔재해 있을 가능성이 농후했습니다(삼하 20장). 그래서 시므이가 이들을 선동할 위험을 막고자 한 것입니다. 그런데 3년 후 시므이의 두 종이 가드로 도망치는 사건이 계기가 되어 그의 처형문제는 수면 위로 떠오르게 됩니다. 그는 종을 찾아 나선 것이 자신의 생명을 담보한 것이 될 줄은 미처 생각지도 못했을 것입니다. 보통 상황에서 시므이의 행위는 충분히 납득할 만한 것이었지만, 솔로몬이 그를 죽이기로 작정한 이상 전에 베푼 자비와 용서도 끝이 난 것입니다.
2. 진정한 자비
자신의 목적 달성을 위한 관용을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까요? 주님께서 우리에게 보여 주신 용서와 자비는 우리를 긍휼히 여기심으로 무조건적으로 베푸신 사랑에 근거한 것이었습니다. 물론 쌍방 간에 맺어진 계약에서처럼 우리에게 지킬 의무가 따라오기도 하지만 설령 지키지 못한다하여 가차없이 죽음에 처해지는 일은 없습니다. 솔로몬이 기다린 3년이 시므이를 죽이기 위한 유예기간이었다면, 주님께서 어떤 사건을 두고 우리를 기다리시는 몇 년이라는 기간은 우리의 회복과 변화를 위한 애틋한 기다림의 시간입니다.
[도움질문]
* 본문 관찰
1. 왕이 시므이를 어떻게 하고 있습니까?(36-37절)
2. 시므이는 무엇 때문에 솔로몬의 명령을 어기고 죽음을 자초했습니까? (39절)
3. 일련의 숙청작업으로 얻게 된 것은 무엇입니까?(46절)
* 깊은 묵상
1. 금기사항을 어긴 시므이를 처형한 솔로몬의 행동이 정당했다고 생각하십니까?
2. 시므이가 무엇 때문에 살았고 무엇때문에 죽었다고 생각하십니까? (43절)
* 적용 질문
때때로 말씀을 어기는 우리에게 어떤 의도성 없이 순전한 자비를 베푸시며 기다리시는 주님의 사랑을 고백해 봅시다.
제공:프리셉트
'열왕기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험대에 오른 솔로몬 (왕상 3:16~28) (0) | 2013.12.10 |
---|---|
지혜를 구한 솔로몬 (왕상 3:1~15) (0) | 2013.12.05 |
솔로몬의 숙청작업 (왕상 2:26~35) (0) | 2013.12.05 |
아도니야의 죽음 (왕상 2:13~25) (0) | 2013.12.05 |
다윗의 유언 (왕상 2:1~12) (0) | 2013.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