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순종에 따른 저주 - 1

[레위기 26장 14절~26절]
14절 - 그러나 너희가 내게 청종하지 아니하여 이 모든 명령을 준행하지 아니하며
15절 - 내 규례를 멸시하며 마음에 내 법도를 싫어하여 내 모든 계명을 준행하지 아니하며 내 언약을 배반할진대
16절 - 내가 이같이 너희에게 행하리니 곧 내가 너희에게 놀라운 재앙을 내려 폐병과 열병으로 눈이 어둡고 생명이 쇠약하게 할 것이요 너희가 파종한 것은 헛되리니 너희의 대적이 그것을 먹을 것임이며
17절 - 내가 너희를 치리니 너희가 너희의 대적에게 패할 것이요 너희를 미워하는 자가 너희를 다스릴 것이며 너희는 쫓는 자가 없어도 도망하리라
18절 - 또 만일 너희가 그렇게까지 되어도 내게 청종하지 아니하면 너희의 죄로 말미암아 내가 너희를 일곱 배나 더 징벌하리라
19절 - 내가 너희의 세력으로 말미암은 교만을 꺾고 너희의 하늘을 철과 같게 하며 너희 땅을 놋과 같게 하리니
20절 - 너희의 수고가 헛될지라 땅은 그 산물을 내지 아니하고 땅의 나무는 그 열매를 맺지 아니하리라
21절 - 너희가 나를 거슬러 내게 청종하지 아니할진대 내가 너희의 죄대로 너희에게 일곱 배나 더 재앙을 내릴 것이라
22절 - 내가 들짐승을 너희 중에 보내리니 그것들이 너희의 자녀를 움키고 너희 가축을 멸하며 너희의 수효를 줄이리니 너희의 길들이 황폐하리라
23절 - 이런 일을 당하여도 너희가 내게로 돌아오지 아니하고 내게 대항할진대
24절 - 나 곧 나도 너희에게 대항하여 너희 죄로 말미암아 너희를 칠 배나 더 치리라
25절 - 내가 칼을 너희에게로 가져다가 언약을 어긴 원수를 갚을 것이며 너희가 성읍에 모일지라도 너희 중에 염병을 보내고 너희를 대적의 손에 넘길 것이며
26절 - 내가 너희가 의뢰하는 양식을 끊을 때에 열 여인이 한 화덕에서 너희 떡을 구워 저울에 달아 주리니 너희가 먹어도 배부르지 아니하리라

* 주제별 목록 작성
재앙의 조건
14절 : 하나님 말씀을 듣지 않음 / 명령을 준행하지 않음
15절 : 하나님의 규례를 멸시함 / 하나님의 법도를 싫어함 / 계명을 준행하지 아니함 / 언약을 배반함
18, 21, 23절 : 재앙에도 불구하고 계속 순종하지 않고 대항함

* 도움말
1. 징벌하리라(18절) : “벌하다”(표준새번역, 공동번역)는 뜻이다.
2. 하늘을 철 … 땅을 놋과 같게 하리니(19절) : 때에 따라 적절히 비가 내리는 축복(4절)과 대조적으로 극심한 가뭄으로 땅이 척박해지는 것을 상징하는 표현으로 보인다.
3. 자녀를 움키고(22절) : “너희 자식을 잡아먹고”(공동번역)라는 뜻이다.
4. 언약을 어긴 원수를 갚을 것이며(25절) : “언약을 어긴 것을 보복하겠다”(표준새번역)를 말한다.
5. 열 여인이 한 화덕에서…(26절) : 극심한 기근 상태를 묘사하는 표현으로, 식량이 부족하여 여러 가정이 각자의 식량을 조금씩 모아 만든 떡을 조금씩 나눠 먹을 수밖에 없는 상황을 의미한다.

* 말씀묵상
1. 불순종으로 인한 저주
순종이 가져오는 풍요에 대한 상징의 여운이 채 가시기도 전에 하나님께서는 불순종이 가져오는 재앙을 예고하십니다. 모든 상황이 역전되어 병을 앓게 되고, 극심한 가뭄으로 인한 기근에 시달리게 되며, 모든 노력이 헛수고가 되고 생명의 위협을 받게 되는 상황이 벌어집니다. 그렇게 되는 이유를 본문은 유사한 표현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면서 강조합니다. 어떤 사람은 뒤에 나타나는 재앙에 대한 표현으로 보아 하나님을 잔인한 분이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성경이 규정하는 하나님의 본질은 사랑입니다(요일 4:16). 사랑의 하나님께서 당신의 백성들에게 이러한 재앙을 경고하시는 모습에서 우리는 하나님께서 불순종이라는 죄를 얼마나 경계하시는지 체감할 수 있습니다.

2. 반복적인 죄로 인한 저주
16-17절에 등장하는 재앙은 결코 가벼운 것이 아닙니다. 그럼에도 18절은 “너희가 그렇게까지 되어도 내게 청종하지 아니하면…”이라는 표현으로 시작하면서 벌의 강도를 7배나 더 높입니다. 21절은 또다시 이런 상황을 상정합니다. “그래도 너희가 나의 말을 들을 생각을 않고 기어이 반항한다면”(공동번역) 다시 재앙의 강도는 7배나 커집니다. 급기야 23절에서는 하나님께 ‘대항한다’는 표현까지 등장합니다. 하나님의 벌을 받으면서도 깨닫지 못하고 계속해서 불순종할 뿐만 아니라 나중에는 하나님께 대항하게 되는 상황을 가정하고 있습니다. 일단 죄를 짓게 되면 자꾸 반복적인 죄에 빠지다가, 결국 자기가 통제할 수 있는 선을 넘어가고 맙니다. 그리고 나중에는 죄 자체를 인식할 수 있는 능력까지 상실하는 가치관의 붕괴까지 나아가게 됩니다.

[도움질문]
* 본문 관찰
1. 본문에서 재앙의 조건에 대한 내용을 찾아 살펴보십시오(주제별 목록 작성 참조).
2. 불순종으로 인해 일어나는 일들은 무엇입니까?(16-17절)
* 깊은 묵상
1. 18, 21, 24절이 가정하고 있는 상황은 어떤 것입니까? 여기서 발견되는 인간의 죄성을 생각해보십시오.
2. 여러분이 최근 범한 불순종의 죄는 무엇입니까?


제공:프리셉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