죄 사함을 위한 그리스도의 피 흘림
[히브리서 9장 11절~22절]
11절 - 그리스도께서는 장래 좋은 일의 대제사장으로 오사 손으로 짓지 아니한 것 곧 이 창조에 속하지 아니한 더 크고 온전한 장막으로 말미암아
12절 - 염소와 송아지의 피로 하지 아니하고 오직 자기의 피로 영원한 속죄를 이루사 단번에 성소에 들어가셨느니라
13절 - 염소와 황소의 피와 및 암송아지의 재를 부정한 자에게 뿌려 그 육체를 정결하게 하여 거룩하게 하거든
14절 - 하물며 영원하신 성령으로 말미암아 흠 없는 자기를 하나님께 드린 그리스도의 피가 어찌 너희 양심을 죽은 행실에서 깨끗하게 하고 살아 계신 하나님을 섬기게 하지 못하겠느냐
15절 - 이로 말미암아 그는 새 언약의 중보자시니 이는 첫 언약 때에 범한 죄에서 속량하려고 죽으사 부르심을 입은 자로 하여금 영원한 기업의 약속을 얻게 하려 하심이라
16절 - 유언은 유언한 자가 죽어야 되나니
17절 - 유언은 그 사람이 죽은 후에야 유효한즉 유언한 자가 살아 있는 동안에는 효력이 없느니라
18절 - 이러므로 첫 언약도 피 없이 세운 것이 아니니
19절 - 모세가 율법대로 모든 계명을 온 백성에게 말한 후에 송아지와 염소의 피 및 물과 붉은 양털과 우슬초를 취하여 그 두루마리와 온 백성에게 뿌리며
20절 - 이르되 이는 하나님이 너희에게 명하신 언약의 피라 하고
21절 - 또한 이와 같이 피를 장막과 섬기는 일에 쓰는 모든 그릇에 뿌렸느니라
22절 - 율법을 따라 거의 모든 물건이 피로써 정결하게 되나니 피흘림이 없은즉 사함이 없느니라
그리스도는 대제사장으로 오셔 자기 피로 단번에 영원한 속죄를 이루셨습니다. 그 피는 우리를 죽은 행실에서 깨끗하게 하고 살아 계신 하나님을 섬기게 합니다. 첫 언약도 피로 세운 것인데, 율법을 따라 모든 물건이 피로 정결하게 됩니다. 피 흘림이 없으면 사함도 없습니다.
1. 새로운 차원의 영원한 속죄 (11~14절)
짐승의 피가 아닌 그리스도의 피만이 영원한 속죄를 가능하게 합니다. 하나님 아들이신 예수 그리스도는 죄가 전혀 없고, 시공을 초월한 존재십니다. 구약의 제사는 불완전하기에 계속 되풀이해야 하지만, 예수 그리스도의 속죄는 완전하고 영원하기에 한 번이면 족합니다. 누구든지 그분의 피의 능력을 믿으면 죄 사함을 받고 영생을 선물로 받습니다. 염소와 송아지의 피가 사람을 외적으로 정결하게 하는 능력이 있었다면, '영원하신 성령으로 말미암아 흠 없는 자기를 하나님께 드린 그리스도의 피'는 어떻겠습니까? 그 피로 속죄의 은총을 받은 사람은 제멋대로 행동하지 않고, 깨끗한 양심으로 하나님을 신실하게 섬기게 됩니다. 그리스도의 피는 죄를 이기는 능력입니다.
* 묵상 질문
하나님께 제물로 드려진 '짐승의 피'와 '그리스도의 피'는 어떤 차이가 있나요?
* 적용 질문
살아 계신 하나님을 섬기는 자로서 합당하지 않은 모습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2. 새 언약의 완전한 중보자 (15~22절)
유언자가 죽어야 유언이 효력을 발휘하듯, 하나님과 그분 백성이 맺은 언약은 대리자의 죽음을 통해 효력이 발생합니다. 피 흘림이라는 대가 지불이 없으면 죄 사함도 없습니다. 첫 언약 때 모세는 율법을 전한 후 짐승의 피를 온 백성에게 뿌렸고, 성막과 기구도 일일이 피를 뿌려 정결하게 했습니다. 그러나 옛 언약 아래서 대제사장이 짐승의 피로 행한 속죄는 불완전했기에 예수님이 새 언약의 중보자로서 피 흘려 죽으셨습니다. 이로써 새 언약의 효력이 발생해, 그분을 믿는 모든 사람이 온전히 죄 사함을 받고 영원한 기업을 얻게 된 것입니다. 죄에 물든 우리가 구원받아 하나님이 약속하신 영원한 나라의 상속자가 된 것은 전적으로 우리 대신 피 흘려 죽으신 예수님의 공로입니다.
* 묵상 질문
언약과 피 흘림은 어떻게 연관되나요?
* 적용 질문
죄 사함과 구원을 위해 어떤 대가가 치러졌는지 생각할 때 무엇을 결단해야 할까요?
오늘의 기도
불완전한 저에게 주신 완전한 은혜, 아침저녁으로 마음이 변하고 흔들리는 저에게 주신 영원한 사랑에 감사드립니다. 주님의 피 흘리심을 헛되이 하지 않도록, 오직 구원에 초점을 두는 인생으로 살아가게 하소서.
출처 : 생명의 삶 (큐티)
'히브리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나님이 원하시는 순종의 예배 (히 10:1~10) (0) | 2014.01.18 |
---|---|
모든 죗값을 치르기에 충분한 최상의 제물 (히 9:23~28) (0) | 2014.01.17 |
양심까지 온전하게 되는 길 (히 9:1~10) (0) | 2014.01.15 |
새 언약의 대제사장 예수 그리스도 (히 8:1~13) (0) | 2014.01.15 |
단번에 자신을 드려 구원을 이루신 예수님 (히 7:23~28) (0) | 2014.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