죄를 버리지 않으면 면류관을 버리게 됩니다

[예레미야애가 5장 1절~16절]
1절 - 여호와여 우리가 당한 것을 기억하시고 우리가 받은 치욕을 살펴보옵소서
2절 - 우리의 기업이 외인들에게, 우리의 집들도 이방인들에게 돌아갔나이다
3절 - 우리는 아버지 없는 고아들이오며 우리의 어머니는 과부들 같으니
4절 - 우리가 은을 주고 물을 마시며 값을 주고 나무들을 가져오며
5절 - 우리를 뒤쫓는 자들이 우리의 목을 눌렀사오니 우리가 기진하여 쉴 수 없나이다
6절 - 우리가 애굽 사람과 앗수르 사람과 악수하고 양식을 얻어 배불리고자 하였나이다
7절 - 우리의 조상들은 범죄하고 없어졌으며 우리는 그들의 죄악을 담당하였나이다
8절 - 종들이 우리를 지배함이여 그들의 손에서 건져낼 자가 없나이다
9절 - 광야에는 칼이 있으므로 죽기를 무릅써야 양식을 얻사오니
10절 - 굶주림의 열기로 말미암아 우리의 피부가 아궁이처럼 검으니이다
11절 - 대적들이 시온에서 부녀들을, 유다 각 성읍에서 처녀들을 욕보였나이다
12절 - 지도자들은 그들의 손에 매달리고 장로들의 얼굴도 존경을 받지 못하나이다
13절 - 청년들이 맷돌을 지며 아이들이 나무를 지다가 엎드러지오며
14절 - 노인들은 다시 성문에 앉지 못하며 청년들은 다시 노래하지 못하나이다
15절 - 우리의 마음에는 기쁨이 그쳤고 우리의 춤은 변하여 슬픔이 되었사오며
16절 - 우리의 머리에서는 면류관이 떨어졌사오니 오호라 우리의 범죄 때문이니이다

선지자는 유다의 기업은 이방인에게 돌아가고 그들은 고아처럼 되어 쫓겨 기진하다고 토로합니다. 그들의 조상은 죄짓고 없어졌고, 후손은 그 죄악을 담당합니다. 유다가 굶주림의 열기로 피부가 검어지고, 기쁨이 그치며, 면류관이 떨어진 것은 그들의 범죄 때문입니다.

1. 포로의 참상 (1~8절)
선지자는 폐허가 된 예루살렘 성읍과 포로가 된 유다 백성을 돌아봐 달라고 하나님께 간구합니다. 그들은 이방인에게 기업과 집을 빼앗기고, 아버지 없는 고아처럼 되었습니다. 바벨론 군사들에게 끊임없이 쫓겨 다니니 쉴 수도 없었습니다. 모든 권리를 빼앗겨 땔감으로 쓸 나무조차 돈을 주고 사야 했고, 물도 사서 마셔야 했습니다. 궁핍한 그들은 애굽이나 앗수르 사람에게 손을 뻗어 양식을 얻어 보려 했지만, 소용없는 일이었습니다.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일시적인 도움을 받는다고 해서 상황이 달라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유다 백성의 고난은 조상 때로부터 시작된 죄악을 후손이 답습한 결과였습니다. 죄의 종이 되면 하나님 자녀의 권리를 누릴 수 없습니다.
* 묵상 질문
선지자의 기도에 묘사된 유다 백성의 삶은 어떠한가요?
* 적용 질문
나에게서 하나님 자녀의 당당함이 드러나나요? 요즘 영적으로 눌리는 일은 무엇인가요?

2. 우리의 범죄 때문에 (9~16절)
성도의 삶을 파괴하는 가장 큰 적은 '죄'입니다. 예루살렘은 기근, 수치, 슬픔으로 가득 찬 비참한 성읍이 되었습니다. 굶주림을 달래려면 죽기를 무릅써야 겨우 양식을 구할 수 있었습니다. 대적들은 시온과 각 성읍에서 부녀들과 처녀들을 욕보였습니다. 지도자들은 백성에게 존경받지 못했고, 청년들은 노예처럼 맷돌을 돌려야 했으며, 어린아이들은 나무를 지다가 엎드러졌습니다. 성문에 앉아 재판을 행했던 노인들은 이제 그렇게 할 권위를 잃었고, 바벨론 관료들의 불의한 판결을 그대로 따라야 했습니다. 유다 백성이 누렸던 기쁨과 영광도 사라졌습니다. 선지자는 이 모든 것이 '우리의 범죄' 때문이라고 고백합니다. 죄악에 빠진 사람들과 자신을 동일시하는 것이 중보자의 기본 태도입니다.
* 묵상 질문
선지자는 유다 땅에 기근과 치욕과 슬픔이 가득한 이유를 무엇이라고 말하나요?
* 적용 질문
내 마음과 공동체에 기쁨이 없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요? 사라진 기쁨과 찬양과 영광을 회복하기 위해 가장 먼저 무엇을 인정해야 하나요?

오늘의 기도
이스라엘 백성의 죄를 보며 저의 죄를 보게 하시고, 그들에게 임한 무서운 진노를 보며 제게 임할 심판을 깨닫고 돌이키게 하소서. 여전히 남아 있는 죄악의 뿌리를 뽑고 그 자리에 말씀을 깊이 심는 하루 되게 하소서.


출처 : 생명의 삶 (큐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