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호와 보시기에 정직한 삶

[열왕기하 18장 1절~12절]
1절 - 이스라엘의 왕 엘라의 아들 호세아 제삼년에 유다 왕 아하스의 아들 히스기야가 왕이 되니
2절 - 그가 왕이 될 때에 나이가 이십오 세라 예루살렘에서 이십구 년간 다스리니라 그의 어머니의 이름은 아비요 스가리야의 딸이더라
3절 - 히스기야가 그의 조상 다윗의 모든 행위와 같이 여호와께서 보시기에 정직하게 행하여
4절 - 그가 여러 산당들을 제거하며 주상을 깨뜨리며 아세라 목상을 찍으며 모세가 만들었던 놋뱀을 이스라엘 자손이 이때까지 향하여 분향하므로 그것을 부수고 느후스단이라 일컬었더라
5절 - 히스기야가 이스라엘 하나님 여호와를 의지하였는데 그의 전후 유다 여러 왕 중에 그러한 자가 없었으니
6절 - 곧 그가 여호와께 연합하여 그에게서 떠나지 아니하고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명령하신 계명을 지켰더라
7절 - 여호와께서 그와 함께 하시매 그가 어디로 가든지 형통하였더라 저가 앗수르 왕을 배반하고 섬기지 아니하였고
8절 - 그가 블레셋 사람들을 쳐서 가사와 그 사방에 이르고 망대에서부터 견고한 성까지 이르렀더라
9절 - 히스기야 왕 제사년 곧 이스라엘의 왕 엘라의 아들 호세아 제칠년에 앗수르의 왕 살만에셀이 사마리아로 올라와서 에워쌌더라
10절 - 삼 년 후에 그 성읍이 함락되니 곧 히스기야 왕의 제육년이요 이스라엘 왕 호세아의 제구년에 사마리아가 함락되매
11절 - 앗수르 왕이 이스라엘을 사로잡아 앗수르에 이르러 고산 강 가에 있는 할라와 하볼과 메대 사람의 여러 성읍에 두었으니
12절 - 이는 그들이 하나님 여호와의 말씀을 듣지 아니하고 그의 언약과 여호와의 종 모세가 명령한 모든 것을 따르지 아니하였음이더라

[배경 이해하기]
열왕기하 18장은 열왕기하 후반부가 시작되는 장이며, 북 이스라엘 멸망 이후 약 140년간에 걸친 남 유다 역사의 서두입니다. 분열 왕국 이후 가장 탁월한 왕으로 평가받는 남 유다 13대 왕 히스기야가 등장하는데 그의 이야기는 열왕기하 20장까지 계속됩니다. 히스기야는 동족인 북 이스라엘의 멸망을 지켜 본 증인입니다. 앗수르 왕 살만에셀은 북 이스라엘을 멸망시키고 바벨론과 구다와 아와와 하맛과 스발와임에서 사람들을 데려다가 사마리아 여러 성읍에 살게 했습니다(17:24).
시간이 지나면서 이주민들은 그들이 섬기던 신상을 만들어 사마리아에 있는 산당들에 두었습니다. 바벨론 사람들은 ‘숙곳브놋’(암탉 형상의 신, 제사 행위가 음란함)을, 굿 사람들은 ‘네르갈’(메소포타미아의 ‘땅의 신’ 또는 ‘저승 신’으로 수탉 형상이며, 전쟁과 홍수와 재앙을 관장함)을, 하맛 사람들은 ‘아시마’(수리아의 폭풍의 신인 하닷의 딸 이름이며, 염소 형상의 신)를, 아와 사람들은 ‘닙하스’(메소포타미아의 신으로 개 형상의 신)와 ‘다르닥’(‘어두움의 영웅’이라는 뜻으로 당나귀 형상의 신)을 만들었고, 스발와임 사람들은 자녀들을 불살라 ‘아드람멜렉’(노새의 형상을 가진 메소포타미아의 남신)과 ‘아남멜렉’(말의 형상을 가진 메소포타미아의 여신)에게 드리기까지 했습니다. 멸망당한 북 이스라엘은 이처럼 영적으로 혼탁해졌습니다. 이를 직접 목도한 히스기야 왕은 어떤 결심을 하게 되었을까요? 그리스도인이라면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반응해야 할까요?

[인도자를 위한 본문 연구]
본문 연구 1: 히스기야의 우상 타파(1~4절)
히스기야는 25세에 왕위에 올라 29년간 유다를 다스렸는데, 동시대 앗수르 왕은 살만에셀 5세, 사르곤 2세, 산헤립이었습니다. 히스기야는 강대국이 확장되는 시기에 많은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그는 북 이스라엘의 멸망을 보며 새로운 정치 개혁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달았을 것입니다. 하나님을 의지하지 않고 강대국을 의지하려 했던 아버지 아하스 왕과 북 이스라엘의 호세아 왕을 따라가서는 안 된다고 생각했습니다. 히스기야는 조상 다윗의 행위를 본받아 여호와 하나님 보시기에 정직하게 행하기로 결심했고 그대로 실천했습니다. 그는 솔로몬 시대 이후로 종교 혼합 현상을 일으키고 성전 중심의 신앙을 흔들어 놓았던 산당들을 제거하고, 아세라 신 숭배와 관련된 모든 상징과 기둥을 제거했습니다. 또한 모세가 만들었던 놋 뱀을(민 21:6~9)을 이스라엘 백성이 숭배의 대상으로 여겨 분향하자 그것도 부수고 ‘느후스단’이라 불렀습니다. 이는 ‘뱀’을 의미하는 히브리어 ‘나하쉬’와 ‘놋’을 의미하는 히브리어 ‘네호쉐트’가 결합한 말로, 놋 뱀을 ‘놋으로 만든 것’ 혹은 ‘놋 조각’이라고 비하한 것입니다.

본문 연구 2: 히스기야의 계명 순종(5~12절)
히스기야는 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를 의지했는데 유다 여러 왕 중에 그런 왕이 없었습니다. 유다의 왕들 중에 다윗을 따라 하나님을 섬긴 왕은 아사(왕상 15:11), 여호사밧(대하 17:3), 요시야(왕하 22:2)입니다. 아사와 여호사밧은 우상을 없애기는 했지만 산당을 완전히 없애지 못했습니다(왕상 15:14, 22:43; 대하 20:33). 히스기야의 개혁은 후대에 영향을 주어 요시야가 온전한 개혁을 이루는 데(왕하 23:1~25) 밑거름이 되었습니다.
히스기야는 여호와께 연합하여 그분을 떠나지 않았습니다. 이는 “오직 너희의 하나님 여호와께 붙어 떠나지 않은 너희는 오늘까지 다 생존하였느니라”(신 4:4)라는 말씀을 이룬 것이라 말할 수 있습니다. 히스기야는 어디로 가든지 여호와 하나님께서 함께하셔서 형통했습니다. 북 이스라엘의 마지막 왕 호세아는 여호와의 말씀에 불순종하고 여호와의 종 모세가 명령한 모든 것을 따르지 않았으며 앗수르에 조공 바치는 것을 거부하면서 애굽을 의지했기에 앗수르 왕 살만에셀에게 멸망당했지만, 히스기야는 하나님의 계명을 지키고 순종했기에 강대국을 의지하지 않고도 남 유다를 지킬 수 있었습니다.

[묵상 포인트]
히스기야를 통해 우리는 악한 삶에서 돌이키는 방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첫째, 우상을 모두 제거해야 합니다. 둘째, 하나님의 계명을 지키고 따라야 합니다. 이를 알면서도 행하지 않으면 앗수르에게 모든 것을 잃은 북 이스라엘의 호세아 왕처럼 결국 멸망에 이르게 됩니다(9~12절).

1. 삶 속에서 단호하게 잘라 내야 할 우상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하나님 앞에서 어떻게 그것을 처리할지 생각한 후 나누어 보세요.
모세가 시내 산에서 하나님께 첫 번째 돌판을 받아 내려왔을 때, 아론과 이스라엘 백성은 금송아지 우상을 만들어 절하고 있었고 그 모습을 본 모세는 돌판을 던져 깨뜨렸습니다. 그 후 하나님은 돌판에 다시 십계명을 새겨 주시고 이스라엘 백성과 다시 언약을 세우시며 말씀하셨습니다. “너희는 도리어 그들의 제단들을 헐고 그들의 주상을 깨뜨리고 그들의 아세라 상을 찍을지어다 너는 다른 신에게 절하지 말라 여호와는 질투라 이름하는 질투의 하나님임이니라”(출 34:13~14).
그리스도인은 하나님이 ‘질투하시는’ 하나님이심을 기억해야 합니다. 우리는 스스로 합리화하며 자신 안에 방치해 두었던 모든 우상 숭배의 찌꺼기들을 찾아내야 합니다. 그래서 그것들을 모두 부숴 버려야 합니다. 일상생활에 스며들어 있는 미신적인 요소들, 하나님도 내 삶을 어쩔 수 없을 것이라는 운명론, 자존심이란 이름으로 붙들고 있는 내 고집, 하나님 외에 내게 영향을 주는 다른 영적인 기운이 있다고 인정하는 마음, 우연일 뿐이라는 말로 하나님의 섭리를 무시하려는 경향을 버려야 합니다. 하나님의 주권과 섭리를 인정하고 하나님만 섬겨야 합니다.

2. 히스기야는 우상을 제거하고 하나님이 주신 계명을 지켜 행했습니다. 지금 하나님이 내게 순종을 요구하시는 말씀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그리스도인이면서도 하나님만 의지하는 것을 힘들어하는 사람들을 생각하면 ‘사랑은 언제나 그 자리에’라는 노래의 가사가 생각납니다. “우리 모두가 잃어 가는 많은 것들/ 우리 모두가 사랑하는 많은 사람들 많은 시간들/ 바람만 불어도 고개를 돌리는 우리/ 이리로 저리로 갈대처럼 색 바랜 모습으로 하나는 모르면서 둘을 알려고 애쓰며 살지.” 여호와 하나님은 모든 세상 사람들이 섬겨야 할 유일한 신이지만, 세상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은 하나님을 자주 잊어버립니다. 그러나 믿음의 역사 속에는 하나님 보시기에 정직하게 행하려고 했던 히스기야와 같은 믿음의 선배들이 많이 있었습니다. 그들은 오직 하나님만 의지하기로 결단했고 하나님의 계명에 순종하면서 믿음을 지켰습니다. 그들이 드렸을 찬양을 생각해 봅니다. “의지하고 순종하는 길은 예수 안에 즐겁고 복된 길이로다”(새찬송가 449장), “참 기쁜 마음으로 십자가 지고 가라 네가 기쁘게 십자가 지고 가면 슬픈 마음이 위로받네”(새찬송가 458장), “누가 주를 따라 섬기려는가 누가 죄를 떠나 주만 따를까 누가 주를 섬겨 남을 구할까 누가 주의 뒤를 따라가려나”(새찬송가 459장).

[기도문]
하나님을 멀리하고 하나님께 불순종하게 하는 모든 것을 내려놓습니다. 오직 하나님 보시기에 정직한 삶이 되게 하소서.

 

출처 : 생명의 삶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