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로새서

그리스도를 바로 알고 따르는 삶
골로새 교회는 신실한 일꾼 에바브라의 사역에 힘입어 성장한다. 그런데 교회 안에 들어온 유대교와 이방 종교의 잘못된 사상이 성도들의 믿음과 생활에 혼란을 주기 시작했다. 이에 바울은 그리스도에 대한 바른 지식을 알아 그리스도의 주권을 인정함으로 이단 사상을 배격하고 복음 안에서 합당하게 살도록 교훈한다.

골로새서 한눈에 보기

본문

1:1~14

1:15~2:23

3:1~4:6

4:7~18

구성

서두

그리스도론

신앙론

맺는말

요점

교회를 위한 감사와 축복

만물의 으뜸이시며 화목케

하시고 충만케 하시는 그리스도

그리스도를 통한 새롭고

충만한 생활

개인적 당부와 형제들의 문안

주제

인사와 기도

복음과 이단 사상

'새사람'의 생활 윤리

인사와 기도

저자

바울

수신인

골로새 교회 성도들

장르

옥중서신

기록 연대

AD 61~63년경

기록 장소

로마 감옥


골로새서 배경
골로새 교회는 AD 52~55년경에 에베소에서 바울을 만나 그리스도인이 된 에바브라에 의해 세워졌다(1:7; 4:12~13). 골로새는 에베소에서 동쪽으로 160~180킬로미터 떨어진 소아시아 서남쪽에 위치한 소도시다. BC 4~5세기경 인근 도시 라오디게아나 히에라볼리와 더불어 모직 산업의 주된 본거지이기도 했으나 로마의 아시아 속주가 된 뒤에는 작고 미미한 도시로 전락했다. 한편 이곳은 교통의 요지였기에 유대주의, 헬레니즘, 동방의 신비주의 등이 만나 자연스럽게 혼합되었다. 골로새 교회 역시 혼합주의 사상의 위협을 받고 있었다. 골로새 교회에 들어온 이단 사상의 특징은 할례를 강조하고(2:11; 3:11), 율법에 규정된 음식과 절기 및 안식일 준수를 요구했다(2:16). 골로새 교회의 상황을 전해들은 바울은 올바른 기독론에 입각해 그들을 교훈하려 한다.



바울의 그리스도 찬미 송 (1장)

바울은 그리스도의 인격과 사역을 찬양하는 노래를 소개하며(15~20절), 이를 골로새서를 전개하는 논지의 기초로 삼고 있다. 그는 그리스도의 주권을 드러내고 강조함으로써 당시 이단 사상으로 혼란스러워하는 골로새 성도들의 믿음을 굳게 붙들어 주고자 한다. 그리스도 찬미 송은 두 소절로 되어 있다. 첫째 소절(1:15~18a)은 예수 그리스도가 보이지 않는 하나님의 보이는 형상으로서 창조주 하나님을 나타낸다고 노래한다. 둘째 소절(1:18b~20)은 첫째 소절과 병행을 이뤄 예수 그리스도가 구원자이시며 교회의 머리이심을 찬양한다. 예수님의 삶은 신성의 충만을 담아냈으며(2:9; 요 1:16; 엡 1:23), 그분의 죽음은 땅과 하늘에 있는 모든 것을 하나님과 화목하게 하는 근거가 되었다(고후 5:19; 요일 2:2).


거짓 교사에 주의하라 (2장)

골로새 교회에 들어온 거짓 교사들은 자신들의 가르침을 철학, 곧 지혜의 교훈이라고 불렀다. 당시 철학 사상은 일시적인 것은 영원한 것보다 덜 귀중하다고 여겼다(22절). 그들은 영혼에 대한 묵상에 집중하기 위해 금욕을 주장했다(23절). 그러나 금욕주의는 예수님의 말씀대로 '사람의 명과 가르침'(막 7:7; 참조 사 29:13)일 뿐이며, 이러한 자기 부정은 겉모양에 지나지 않는다. 오직 그리스도 안에만 하나님 나라에 이르는 지혜와 길이 있다(2~3, 8~10절). 바울은 세상의 초등 학문과 규례에서 벗어나 그리스도께 복종하라고 말한다.


그리스도 안에서 시작되고 완성될 새 생명의 삶 (3장)

바울은 골로새 교회에 침투한 이단들이 사용하던 용어를 역설적으로 사용해 그리스도의 복음을 강조한다. "위의 것을 생각하고 땅의 것을 생각하지 말라"(3:2)라는 구절은 당시 세상을 일시적이고 썩어질 세계로만 바라보며 하늘의 것만 추구하던 신비적 열광주의자들의 사상과 비슷하다. 그러나 바울은 이에 덧붙여 그리스도인의 삶이 그리스도와 함께 죽고 다시 살아난 데서 출발함을 강조한다(2:20; 3:1). 또한 새 생명이 이 세상에서 이미 시작되었으므로 그리스도께서 완성하실 것을 소망하라고 권면한다(3:3~4, 10; 롬 6:11). '땅에 있는 지체'(5절)도 그런 종류의 역설이다. 고대 이교도들의 종교는 의식만을 준수할 뿐 일상생활과 윤리적인 면에는 영향을 끼치지 못했다. 바울은 죄악의 목록들을 나열하며 이것들로 인해 하나님의 진노가 임한다고 말한다. 그리고 삶의 모든 영역에서 그리스도의 주권을 인정하라고 교훈한다(17~25절).


마지막 권면 (4장)

브루기아의 리쿠스 계곡에 위치했던 세 도시는 골로새, 라오디게아, 히에라볼리였다. 골로새 출신의 에바브라가 이 세 지역에 복음을 전하고 교회를 세웠으며, 그는 간절히 기도하며 교회들을 위해 수고했다(12~13절). 바울은 인접한 라오디게아 교회에도 이 서신을 전달해 읽게 하라고 지시한다(16절). 또 라오디게아 교회로부터 오는 편지도 골로새 교회에서 읽으라고 권하는데, 이 편지는 현재 남아 있지 않다.


골로새서에 등장하는 바울의 동역자들


골로새서

다른 서신들

두기고

사랑받는 형제, 신실한 일꾼,

주 안에서 함께 종 된 자 (4:7)

바울이 자신과 동역자들의 사정을 알게 하고

골로새 교회를 위로하도록 보냄 (4:8)

아시아 사람(행 20:4)

사랑받는 형제, 진실한 일꾼, 바울과 동역자들의

사정을 알리고 교회를 위로함 (엡 6:21~22)

바울이 에베소에 보냄 (딤후 4:12)

바울이 디도에게 보냄 (딛 3:12)

오네시모

신실하고 사랑받는 형제, 골로새에서 온 사람 (4:9)

바울의 소식을 알려 줄 사람 (4:9)

감옥에서 바울이 전도함 (몬 10절)

빌레몬의 종이었던 사람 (몬 16절)

빌레몬에게 빚을 졌던 사람 (몬 18절)

아리스다고

바울과 함께 갇힘 (4:10)

바울의 동행자 (행 19:29)

데살로니가 사람 (행 20:4)

바울과 로마로 가는 항해에 함께함 (행 27:2)

바울이 '나의 동역자'라고 부름 (몬 24절)

마가

바나바의 생질 (4:10)

할례파 (4:11)

1차 전도 여행에서 떠나 버림 (행 13:13)

바울이 자신의 일에 유익하다며 데려오라고 함 (딤후 4:11)

바울이 '나의 동역자'라고 부름 (몬 24절)

베드로가 '내 아들'이라고 부름 (벧전 5:13)

마가복음의 저자 (초대교회 전통)

예수

'유스도'라고도 함, 할례파 (4:11)


에바브라

골로새 교회를 세우고, 골로새 교회를 위해

힘쓰는 일꾼 (1:7; 4:12~13)

라도디게아와 히에라볼리에 복음을 전파함 (4:13)

바울과 함께 감옥에 갇힘 (몬 23절)

누가

사랑을 받는 의원 (4:14)

누가복음과 사도행전의 저자 (눅 1:1~4; 행 1:1~2)

드로아에서부터 빌립보까지 바울과 동행함 (행 16:10~17)

바울이 '나의 동역자'라고 부름 (몬 24절)

동역자들이 바울 곁을 떠났을 때도 그와 함께함 (딤후 4:11)

데마

골로새 교회에 문안함 (4:14)

바울이 '나의 동역자'라고 부름 (몬 24절)

세상을 사랑해 바울을 버리고 데살로니가로 감 (딤후 4:10)

눔바

자신의 집을 교회로 사용한 여성 (4:15)


아킵보

주 안에서 받은 직분이 있음 (4:17)

바울이 '함께 병사 된 자'라고 부름 (몬 2절)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