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헤미야가 율법 준수 중 제일 먼저 시행한 것은 (느 13:1-3)?

이방인과의 단절.
포로 이후에 이스라엘은 신앙의 순수성을 지켜나가기 위해 혈통의 순수성을 유지해야만 했습니다. 그래서 먼저 적대시해 왔던 암몬과 모압을 축출하여 종교적 혼합주의를 미연에 방지했습니다.


소제물이란(느 13:5, 6)?

소금으로 간을 맞춘 고운 가루를 기름과 유향에 버무려 만든 무교병.
일상 조석의 제사뿐 아니라 안식일 예물이나 기타 예물에 빠지지 않고 바쳐졌습니다.

 
느헤미야의 개혁에 관해서 기록해 보면(느 13:7-31)?

< 성전 개혁 > 
- 도비야의 죄악을 발견하고(느 7절),
- 도비야를 축출하므로(느 8절),
- 성전을 거룩한 상태로 복구했습니다(느 9절). 
< 성전 직무 개혁 > 
- 십일조 불이행을 발견하여(느 10절),
- 민장들을 책망하고(느 11절),
- 레위인들을 소집하여 집무를 재수행하게 하고(느 11절),
- 네명의 곳간지기를 임명했습니다(느 12, 13절). 
< 안식일 개혁 >
- 안식일 준수를 선포했고(15절),
- 안식일을 범한 자를 책망했으며(17-22절),
- 안식일 동안 성문을 봉쇄했고(21절),
- 성 밖의 군거지들을 책망했으며(21절),
- 안식일을 거룩히 지키라고 명령했습니다(22절).
< 레위인 개혁 >
- 이방인과의 통혼을 책망했고(25절),
- 저주를 선포했으며(25절),
- 머리털을 뽑았고(25절),
- 이방인과 결혼한 대제사장을 추방했으며(28절),
- 이방의 무리들을 축출했습니다(30절).

 
느헤미야를 예수님의 예표로 볼수 있는 점(13:7-9)?

기도하고 금식함(느1:4; 막1:35).
하나님의 사역에 다른 사람들을 동참시킴(느2:17; 막3:13).
대적자들이 있음(4, 5장; 막1:12).
모범적임(느5:9; 막9:7).
백성들을 섬김(느5:19; 막5:17-45).
말씀을 가르침(느8:13; 마5:17-45).
성전 정화(느13:7-9; 막11:15-17).
외식을 꾸짖음(느13:15-22; 마23:23-36).


이스라엘에게 베푸셨던 하나님의 사랑은(13:22)?

인자를 무한히 베푸시고(출34:7), 노하기를 더디 하셨음(느9:16,17).
회개하는 자를 용서하시고(시32:3-5), 진노를 여러번 돌이키셨음(시78:38).
사유하시기를 즐겨하시고(시86:5), 죄과를 멀리 옮기셨음(시103:12-14).
죄를 등 뒤로 던지시고(사38:17), 죄를 기억치도 않으심(렘31:34).
모든 불의에서 깨끗게 하시고(요일1:9), 구원해 주셨습니다(단3:4,5).


대제사장으로 아들을 이방인의 딸과 결혼시킨 사람은(13:28)?

대제사장 엘리아십의 손자 요야다.
이스라엘의 대제사장은 이방인과 결혼해서는 안되었습니다(레21:14). 백성들이 이방인과 결혼하는 것도 금지되던 당시에 대제사장 가문의 잡혼은 느헤미야에게 큰 충격이었습니다.
더구나 그 이방 여자는 느헤미야의 원수, 이스라엘의 원수인 산발랏의 딸이었습니다.

 
느헤미야의 지도자상에서 배울 점은(13:31)?

백성들을 위해 먼저 하나님의 도우심을 구함(느1:4-11).
백성들을 위해 고국에 돌아갈 것을 이방 왕에게 담대하게 간청함(느2:5-8).
모든 일을 신중하게 준비함(느2:12-16).
상황에 대해 정확한 평가를 내리고 옳은 일에는 소신과 열심이 있었음(느2:20).
난관에 부딪쳤을때 기도와 아울러 현실적인 노력을 기울였음(느4:9).
반대 세력에 부딪칠지라도 과감하게 일을 진행함 (느4:15-23).
사기가 저하된 백성들에게 믿음과 확신을 주었음(느5:14,15).
청렴결백하여 백성들을 압제치 않음(느5:14,15).
반대와 난관을 극복하고 추진하는 인내심과 추진력이 있음(느6:1-16).


출처 : 갓피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