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의 목적은 거룩함입니다

[고린도전서 7장 1절~16절]
1절 - 너희가 쓴 문제에 대하여 말하면 남자가 여자를 가까이 아니함이 좋으나
2절 - 음행을 피하기 위하여 남자마다 자기 아내를 두고 여자마다 자기 남편을 두라
3절 - 남편은 그 아내에 대한 의무를 다하고 아내도 그 남편에게 그렇게 할지라
4절 - 아내는 자기 몸을 주장하지 못하고 오직 그 남편이 하며 남편도 그와 같이 자기 몸을 주장하지 못하고 오직 그 아내가 하나니
5절 - 서로 분방하지 말라 다만 기도할 틈을 얻기 위하여 합의상 얼마 동안은 하되 다시 합하라 이는 너희가 절제 못함으로 말미암아 사탄이 너희를 시험하지 못하게 하려 함이라
6절 - 그러나 내가 이 말을 함은 허락이요 명령은 아니니라
7절 - 나는 모든 사람이 나와 같기를 원하노라 그러나 각각 하나님께 받은 자기의 은사가 있으니 이 사람은 이러하고 저 사람은 저러하니라
8절 - 내가 결혼하지 아니한 자들과 과부들에게 이르노니 나와 같이 그냥 지내는 것이 좋으니라
9절 - 만일 절제할 수 없거든 결혼하라 정욕이 불 같이 타는 것보다 결혼하는 것이 나으니라
10절 - 결혼한 자들에게 내가 명하노니 (명하는 자는 내가 아니요 주시라) 여자는 남편에게서 갈라서지 말고
11절 - (만일 갈라섰으면 그대로 지내든지 다시 그 남편과 화합하든지 하라) 남편도 아내를 버리지 말라
12절 - 그 나머지 사람들에게 내가 말하노니 (이는 주의 명령이 아니라) 만일 어떤 형제에게 믿지 아니하는 아내가 있어 남편과 함께 살기를 좋아하거든 그를 버리지 말며
13절 - 어떤 여자에게 믿지 아니하는 남편이 있어 아내와 함께 살기를 좋아하거든 그 남편을 버리지 말라
14절 - 믿지 아니하는 남편이 아내로 말미암아 거룩하게 되고 믿지 아니하는 아내가 남편으로 말미암아 거룩하게 되나니 그렇지 아니하면 너희 자녀도 깨끗하지 못하니라 그러나 이제 거룩하니라
15절 - 혹 믿지 아니하는 자가 갈리거든 갈리게 하라 형제나 자매나 이런 일에 구애될 것이 없느니라 그러나 하나님은 화평 중에서 너희를 부르셨느니라
16절 - 아내 된 자여 네가 남편을 구원할는지 어찌 알 수 있으며 남편 된 자여 네가 네 아내를 구원할는지 어찌 알 수 있으리요


[배경 이해하기]
바울은 7장에서 결혼 문제에 대해 언급합니다. 고린도는 그리스인, 로마인을 비롯해 잡다한 민족이 거주해 혼합주의 경향이 짙었고, 풍요로웠지만 성적으로 문란한 도시였습니다. 당시 ‘고린도인 같다’라는 말은 성적으로 매우 문란함을 의미했습니다. 고린도 교회도 이런 영향에서 자유롭지 못했고, ‘아버지의 아내’를 취하는 음행을 용납했습니다(5:1). 또 고린도 교회는 헬라 철학과 이원론의 영향으로 쾌락주의자들은 음행까지 허용하는 반면, 금욕주의자들은 결혼 자체에 대해 부정적이었습니다. 이에 바울은 우리 몸이 음란을 위해 있지 않고, 주님이 값 주고 사신 성령의 전임을 강조합니다(6:13, 19~20). 7장에서는 결혼, 독신, 이혼, 불신자와의 결혼, 과부의 재혼 등에 관한 성도들의 고민에 답변합니다. “결혼을 꼭 해야 하는가? 신앙 문제로 갈등할 때 이혼을 해도 괜찮은가? 재혼 문제는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가?” 등 결혼과 관련한 질문에 대한 바울의 답에는 영적인 삶을 위해 육적인 삶을 피해야 한다는 생각이 담겨 있습니다. 바울은 독신의 유익과 함께 결혼의 유익에 대해서도 말합니다. 중요한 것은 무엇을 선택하느냐가 아니라 무엇을 위한 선택이냐 하는 것입니다. 바울이 결혼을 제정하신 하나님의 뜻을 거슬러 결혼보다 독신을 권면하는 것은 아닙니다. ‘임박한 환난으로 말미암아’(7:26), ‘그때가 단축하여진 고로’(7:29)라는 표현을 볼 때 바울은 당시 상황을 고려해 종말론적 관점에서 결혼에 대한 입장을 밝힌 것으로 이해해야 합니다.

[관찰과 묵상]
1. 바울이 독신의 영적 유익에도 불구하고 결혼을 권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1~2, 7~9절)

결혼이 육신의 욕망을 절제하지 못하고 쾌락을 좇는 자들에게 음행을 피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사람은 불완전한 존재입니다. 결혼은 사람의 불완전함을 보신 하나님이 이를 보완하기 만드신 제도입니다. 남편과 아내 된 자들은 서로의 불완전함을 채워 주어야 할 책임이 있습니다. 갈등은 나를 주장하고 나의 필요만을 고집할 때 생깁니다. 서로의 필요를 볼 수 있을 때 결혼의 축복을 누릴 수 있습니다. 바울이 결혼을 권면한 표면적인 이유는 육신의 필요에 의한 것입니다. 하지만 바울의 권면은 근본적으로 육체의 욕망을 따라 살지 말고 영적인 거룩함을 추구하라는 것입니다. 결혼의 목적은 거룩함입니다. 거룩함은 부부가 서로를 도우며 함께 이루어 가야 할 목표입니다. 영적인 삶은 육신의 삶과 결코 분리될 수 없습니다. 몸의 거룩함을 통해 영적인 거룩함을 이룰 수 있습니다. 바울은 결혼을 통해 몸을 사용하는 목적과 몸의 주인이 달라진다고 설명합니다. 이는 몸의 거룩함이 순종을 통해 가능하다는 것을 말하는 것입니다. 나를 주장하지 않고 성령을 의지하며 순종할 때 육신의 소욕이 아니라 성령의 소욕인 거룩함을 이룰 수 있습니다. 이는 행복과 기쁨을 포기하는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거룩함을 통해 참된 기쁨을 누릴 수 있습니다. 결혼의 목적을 제대로 이해하고 부부로서 서로의 의무에 충실할 때 하나님이 결혼을 통해 허락하신 즐거움을 누릴 수 있습니다. 
[적용과 나눔]
* 결혼을 통해 기대할 수 있는 축복에는 어떤 것이 있으며, 그러한 축복을 누리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지 나누어 보세요.

「결혼은 현실이다」(두란노)란 책에서 저자 마크 드리스콜 목사는 많은 사람이 결혼에 대해 환상을 가지고 있지만 동시에 수많은 갈등과 상처로 힘들어한다고 지적합니다. 교회 안에서도 많은 부부가 세상 사람들과 비슷한 문제들을 가지고 씨름합니다. 결혼에 대한 성경적인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마크 드리스콜 목사는 ‘교회를 사랑하시는 예수님처럼 아내를 사랑하는 성경적 남편은 하루아침에 탄생하지 않는다. 존경심과 순종의 미덕을 갖춘 아내도 마찬가지다’라고 말합니다. 존경과 사랑은 강요할 수 없는 것입니다. 서로에 대해 이해하고 서로의 주장에 귀를 기울이며 하나가 되어 가는 시간을 통해 결혼의 현실이 고통이 아닌 축복이 될 수 있습니다. 결혼을 통해 만난 배우자는 하나님이 허락하신 축복입니다. 또한 자신에게 허락된 축복과 은혜를 발견하고 누리기 위해서는 서로에 대한 헌신이 필요하다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2. 결혼한 사람, 믿지 않는 배우자를 둔 사람, 그리고 믿지 않는 사람의 이혼 요구에 대해 바울은 어떻게 대처하라고 권면하나요?(10~15절)
바울은 결혼한 자들에게 갈라서지 말라고 명합니다. 믿지 않는 배우자를 둔 자들도 이혼하지 말고 배우자를 거룩한 하나님의 사람으로 변화시키라고 합니다. 혹 믿지 않는 자가 갈라서기를 원하면 구애받을 필요가 없으나 화평 중에 부르셨음을 기억하라고 합니다.
예수님은 이혼에 대해 질문한 바리새인들에게 하나님이 짝지어 주신 것을 사람이 나누지 못한다고 하셨습니다. 음행을 제외한 어떤 이유도 이혼 사유가 될 수 없으며, 이혼은 곧 불순종입니다. 사람들은 이혼의 필요성과 정당성을 주장하지만 이러한 주장들은 결국 자신의 완악함을 합리화하는 것에 불과합니다. 사람들이 이혼을 선택하는 이유는 결혼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것에 가치를 두기 때문입니다. 성경은 우리에게 이혼해야 할 이유보다 결혼의 약속을 힘써 지킬 이유가 더 많음을 가르칩니다. 우리는 이혼을 통해 누릴 수 있는 것보다 결혼을 통해 누려야 할 것이 더 가치가 있음을 기억해야 합니다. 고린도전서에 기록된 이혼 문제는 신앙 때문에 갈등하는 성도들의 고민이 담겨 있습니다. 오늘날도 신앙과 종교 문제로 갈등을 겪는 부부가 많습니다. 문제의 발단은 믿음이 아니라 결혼이 먼저였다는 데 있습니다. 하지만 한 사람이 먼저 믿음을 선물로 받게 된 것과 믿지 않는 가운데 결혼에 이르게 된 것 모두에는 하나님의 뜻이 있습니다. 바울은 먼저 믿게 된 자의 책임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믿는 자만이 하나님의 뜻을 헤아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자신의 필요나 유익이 아니라 하나님의 뜻을 먼저 생각하는 것이 갈등을 대하는 성도의 올바른 태도입니다.  
[적용과 나눔]
* 부부간의 갈등으로 이혼을 고민하는 이에게 어떻게 권면해야 할까요? 직·간접적으로 경험한 갈등과 극복의 과정을 나누어 보세요.

많은 가정이 다양한 이유로 인해 깨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이혼 문제를 성경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습니다. 사람들은 많은 이유로 이혼을 고려하지만 이혼이 초래할 결과를 심각하게 고려하지 않습니다. 사람들은 결혼에 대해 환상을 가지는 것만큼 이혼에 대해서도 환상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혼을 결심하는 사람은 이혼이 현재의 갈등과 다툼에서 완전한 자유와 평안을 가져다줄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이혼이 당사자만의 문제가 아니기에 자녀에게까지 미칠 영향에 대해서도 책임 있게 판단하고 고려해야 합니다. 성경이 유일한 이혼 사유로 인정하는 것은 배우자의 부정입니다. 이는 결혼이 서로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전제한 것입니다. 서로 간의 신뢰를 무너뜨릴 수 있는 작은 틈이 생기지 않도록 자신을 돌아보고 상대방을 배려할 때 가정은 축복의 현장이 될 수 있습니다.


* 성도는 육신의 욕망이 아닌 거룩함을 좇아야 합니다. 결혼이 거룩함을 실천하는 현장이 될 수 있도록 남편과 아내는 서로를 위해 헌신하며, 시험에 들지 않도록 서로에게 의무를 다해야 합니다. 갈등과 다툼은 자기 의를 주장하는 데서 비롯됩니다. 부부는 자신의 필요와 유익을 주장하기보다 서로의 믿음을 깨뜨리지 않도록 자신의 정결과 책임을 먼저 돌아보아야 합니다. 어떤 가정이든 부부간에 갈등이 생기고 위기가 닥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혼은 갈등과 위기의 해결책이 아닙니다. 하나님의 뜻을 헤아리고 그에 따른 책임을 먼저 생각할 때, 가정은 구원과 축복의 통로가 됩니다.          


[말씀으로 기도하기]
저희 가정을 향한 하나님의 뜻을 헤아리는 지혜를 주소서. 자기주장을 내려놓고 거룩한 가정을 이루어 가기에 힘쓰게 하소서. 갈등과 다툼이 화목으로 바뀌어 참자유와 평안을 누리는 가정 되게 하소서.      



출처 : 생명의 삶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