믿는 자의 표적이 따르니 복음 길이 열립니다
[사도행전 28장 1절~10절]
1절 - 우리가 구조된 후에 안즉 그 섬은 멜리데라 하더라
2절 - 비가 오고 날이 차매 원주민들이 우리에게 특별한 동정을 하여 불을 피워 우리를 다 영접하더라
3절 - 바울이 나무 한 묶음을 거두어 불에 넣으니 뜨거움으로 말미암아 독사가 나와 그 손을 물고 있는지라
4절 - 원주민들이 이 짐승이 그 손에 매달려 있음을 보고 서로 말하되 진실로 이 사람은 살인한 자로다 바다에서는 구조를 받았으나 공의가 그를 살지 못하게 함이로다 하더니
5절 - 바울이 그 짐승을 불에 떨어 버리매 조금도 상함이 없더라
6절 - 그들은 그가 붓든지 혹은 갑자기 쓰러져 죽을 줄로 기다렸다가 오래 기다려도 그에게 아무 이상이 없음을 보고 돌이켜 생각하여 말하되 그를 신이라 하더라
7절 - 이 섬에서 가장 높은 사람 보블리오라 하는 이가 그 근처에 토지가 있는지라 그가 우리를 영접하여 사흘이나 친절히 머물게 하더니
8절 - 보블리오의 부친이 열병과 이질에 걸려 누워 있거늘 바울이 들어가서 기도하고 그에게 안수하여 낫게 하매
9절 - 이러므로 섬 가운데 다른 병든 사람들이 와서 고침을 받고
10절 - 후한 예로 우리를 대접하고 떠날 때에 우리 쓸 것을 배에 실었더라
멜리데섬 원주민들이 바울 일행을 다 영접합니다. 불을 피우다 독사에 물린 바울이 죽지 않자, 주민들은 그를 신이라 합니다. 보블리오의 호의로 사흘이나 그 집에 머물며, 바울은 열병과 이질에 걸린 그의 부친을 기도해 낫게 합니다. 병든 사람들이 와서 고침받자, 바울 일행을 후하게 대접합니다.
1. 독사에게 물린 바울 (1~6절)
믿는 자에게 표적이 따를 때 복음의 영향력은 커집니다. 바울 일행을 향한 하나님의 구원 손길은 멜리데섬 원주민들의 동정과 영접을 통해서도 잘 드러납니다. 바울이 불을 피우는 도중에 독사에게 물리자, 원주민들은 그가 '살인한 자'라는 공의의 판단을 내립니다. 그러나 바울에게 아무런 일도 일어나지 않자, 그들은 바울을 '신'이라 하며 높입니다. 이 일은 믿는 자들에게 예수님이 약속하신 표적입니다. "믿는 자들에게는 이런 표적이 따르리니 곧 그들이 내 이름으로...뱀을 집어 올리며 무슨 독을 마실지라도 해를 받지 아니하며..."(막 16:17~18). 바울에게 나타난 능력은 바로 예수 그리스도 이름의 능력입니다. 성도가 복음과 능력을 겸비해 세상으로 나아갈 때, 믿는 자의 표적을 통해 만민이 하나님을 예배하게 될 것입니다.
* 바울이 독사에 물리고도 아무런 해를 입지 않은 이유는 무엇일까요? 예수님이 약속하신 믿는 자의 표적이 내 삶에서 얼마나 능력 있게 나타나나요?
2. 질병을 치유함 (7~10절)
믿는 자의 또 다른 표적은 '병든 사람에게 손을 얹은즉 낫는 것'입니다(막 16:18). 섬에서 가장 높은 사람인 보블리오는 바울 일행을 3일간 그의 집에서 머물게 합니다. 보블리오 부친이 앓은 열병과 이질은 '몰타 열병', 즉 오염된 염소젖으로 인한 풍토병으로 보입니다. 바울이 기도와 안수로 치유하자 소문이 퍼져, 섬 내 다른 병든 사람들도 와서 고침받습니다. 치유의 기적은 사람들의 마음 문을 활짝 열었고, 바울은 멜리데 원주민들에게 존경과 사랑을 받습니다. '친절히'(7절)와 '후한'(10절)이라는 표현 속에 바울을 향한 그들 마음이 잘 나타납니다. 믿는 자의 표적을 행한 바울 한 사람으로 인해 그 일행 모두가 특별한 사랑과 후원을 받습니다.
* 바울이 행한 치유 기적들은 멜리데 주민들에게 어떤 영향을 끼쳤나요? 공동체 안에서 내가 믿음의 손을 얹고 기도해 줄 지체는 누구인가요?
오늘의 기도
복음과 성령의 능력을 겸비한 사명자가 되기 원합니다. 지독한 고난 속에서도 말씀과 기도로 살아나고, 몸과 영혼이 병든 이들이 주님 사랑으로 치유되는 표적이 제 삶에도 있게 하소서. 그래서 불신자들에게 하나님 나라를 보여 주며, 그들과 함께 하나님을 예배하게 하소서.
출처 : 생명의 삶 (큐티)
'사도행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유럽 선교 전초 기지, 로마에 뿌리는 복음 (행 28:11~22) (0) | 2018.08.20 |
---|---|
갈등이 생길 때 (행 6:1~7) (0) | 2018.08.20 |
머리카락 하나 잃지 않은 온전한 구원의 은혜 (행 27:27~44) (0) | 2018.08.17 |
소망의 약속만이 절망을 다스립니다 (행 27:13~26) (0) | 2018.08.16 |
로마로 가는 길, 지혜를 거절한 위험한 선택 (행 27:1~12) (0) | 2018.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