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닷의 변론에 대한 욥의 변명 내용은(욥 9:1-10:22)?

욥은 주권적인 하나님의 섭리를 인정하면서도,
분명한 하나님의 섭리를 이해하지 못하고 불만을 토로하는 한계를 보여줌.
당시 욥은 고난의 정도가 심각했습니다. 이럴때 우리는 도식적인 인과응보적 사고에서 벗어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유일한 해결 방법은 전능하신 하나님의 섭리를 믿는 깊은 신앙뿐입니다.


하나님께서 인간과 쟁변하시지 않는 이유는(욥 9:3)?

전지 전능하신 하나님은 유한한 인간과 동등한 분이 아니라 초월적인 분이시기 때문이고,
하나님의 판단 기준은 인간의 판단 기준과 다르기 때문입니다.
하나님께서 요구하시는 수준은 ‘그리스도의 장성한 분량’이기 때문에 신령한 계시를 받지 않고서는 그 어느 누구도 하나님의 뜻을 알수 없습니다(엡4:13).

 
욥이 하나님과 변론할 수 없었던 이유는(욥 9:15)?

욥은 자신이 하나님 앞에서 자기의 의를 내세울 수 없는 죄인이며,
오직 하나님만이 홀로 공의로운 분이시라는 것을 깨달았기 때문임.
고난 중의 인간이 하나님께 할수 있는 일은 심판자이신 하나님의 긍휼에 간절히 호소하는 것 뿐입니다.

 
빌닷의 변론에 항변하면서 욥이 실수한 점은(욥 9:11-24)?

하나님의 공의가 종말론적으로 실현되고 있음을 깨닫지 못함.
욥은 인과응보적인 사고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자신의 고난이 마치 하나님께서 태만하셔서 나타난 것처럼 말하고 있습니다. 결국 하나님의 책망을 받지만 이러한 실수는 우리에게도 찾아옵니다.

 
욥이 교만한 자신의 주장을 철회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교훈은(욥 9:25-35)?

인간은 행위로 의롭게 될수 없고 오직 그리스도를 믿음으로만 의롭다 인정하심을 받는다는 복음의 말씀을 가르쳐줌.
고통 속에서 그리스도를 향해 간구하는 자세는 진실한 믿음의 태도요, 표본입니다.
이는 고통 가운데 있지만 하나님의 섭리를 깨달아가며 자신의 신앙적 한계를 깨우쳐가는 신앙인의 영적 성숙과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성경적 복의 개념은 무엇인가(욥 9:25)?

복의 근원이신 하나님과의 관계가 정상으로 회복된 상태를 말함.
구약의 복은 주로 현세적이고 물질적인 반면에 신약의 복은 내세적이고 영적입니다.
우리들이 소유하고 있는 복은 천국에서 하나님과 더불어 누리게 될 영원한 풍요로움과 안식입니다.

 

출처 : 갓피플

'욥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 QA자료] 욥기 11장   (0) 2012.06.06
[성경 QA자료] 욥기 10장  (0) 2012.06.06
[성경 QA자료] 욥기 8장  (0) 2012.06.06
[성경 QA자료] 욥기 7장  (0) 2012.06.06
[성경 QA자료] 욥기 6장  (0) 2012.06.0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