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윗이 가진 신앙 인격은(삼상 20:1-42)?

소년기 - 순종적이고(삼상17:17-22), 용감하고(삼상17:34,35), 확신있는 믿음이 있음(삼상17:37,45-47).
도피 시절 - 자비롭고(삼상26:7,11), 지혜롭고(삼상21:13), 신실하고(삼상 1-42절), 정직함(삼상29:6).
왕이된 이후 - 신실하고(삼하9:6-8), 의롭고(삼하8:15), 온유하고(삼하16:11), 경건함(삼하7:18). 잘못을 회개할 줄 앎(삼하12:13).
다윗의 인격은 그리스도의 인격을 예표해 주는 본보기이기도 합니다.


다윗과 요나단의 언약 내용은(삼상 20:1-16)?

요나단이 사울의 의중을 살펴서 반드시 다윗에게 알릴 것.
이 일을 위반할 경우 자신의 목숨을 내놓을 것.
하나님께서 요나단과 다윗의 진실함을 증명해 주실 것에 대한 기원.
여호와께서 다윗의 대적을 치실 것에 대한 기원입니다.
요나단처럼 인간적인 권력욕과 명예욕을 버리고 오직 여호와의 은총을 받기를 원하는 신앙적 열정을 가지고 살때 많은 역사를 일으킬 수 있을 것입니다.


요나단은 어떤 사람인가(삼상 20:2)?

왕세자였으며, 사울 왕과 함께 특별한 무기를 소유할 수 있는 자였고 사울 정부의 한 요인이었습니다.


다윗과 언약을 맺은 요나단의 태도는(삼상 20:12-23)?

명예와 권력에 연연하지 않는 겸손함.
하나님의 섭리에 순응하고자 함.
이는 사울 집안이 몰락했음에도 불구하고 가족과 후손들을 구원하는 것이었습니다. 여기서 우리는 하나님께 굴복하는 것은 굴종이 아니라 진정한 의미에서의 승리임을 깨달아야 합니다(고후12:6-10).


다윗이 요나단의 생명을 구할수 있는 방법에서 축복과 소망에 대해 말한 것은(삼상 20:12-16)?

여호와께서 다윗과 함께하시고(삼상 13절),
후일에 자신에게 여호와의 인자를 베풀고(삼상 14절),
다윗이 왕이 되어 대적들을 없앨때 자기 후손들에게는 은혜를 베풀어 줄 것(삼상 15절).
다윗의 대적들을 여호와께서 치실 것이라고 기대했습니다(삼상 16절).
이는 요나단은 장래에 다윗에게 임할 하나님의 뜻을 정확히 알았고 그것에 절대 순종했던 것입니다.


요나단이 다윗이 이스라엘 왕좌에 오름을 내다본 증거는(삼상 20:13-17)?

여호와께서 다윗과 함께 하시기를 원하심.
여호와의 인자는 자기를 대접해 주기를 원했음.
자기의 가정에 영영히 인자를 베풀어 주기를 원함.
여호와께서 다윗의 원수들을 물리쳐 주기를 간구함.
이는 요나단이 이스라엘 왕권에 대한 욕심이 없었음을 보여줍니다.

 
거룩과 사랑의 원초적 기원은 누구인가(삼상 20:17-23)?

하나님.
이 하나님은 사랑과 거룩을 포함한 도덕적인 속성을 가진 분으로서(삼상4:8) 항상 피조물에 대하여 거룩으로 대하십니다.
그래서 성도는 하나님으로부터 무조건적인 은혜로 사랑으로 회복시켜 주신 거룩한 의인의 상태를 다시는 잃지 말라는 것입니다.

 
요나단이 다윗에게 언약을 재다짐하는 이유는(삼상 20:17-23)?

둘 사이의 견고한 사랑을 공고히 하기 위해서임.
성경에 보면 하나님께서 언약의 약속을 자주 하시는 것을 볼수 있습니다. 이 근본 이유는 우리를 향한 하나님의 사랑이 변함없음을 증거하시기 위해서입니다.

 
마음과 생각이 하나님께 향한 자는 무엇을 할수 있는가(삼상 20:24-34)?

인간적인 욕망을 극복할 수 있음.
안목의 정욕과 세상의 자랑에 빠진 자는 하나님의 섭리를 이해하기는 커녕 범죄함으로 자멸을 초래하게 됩니다.

 
성경에서의 ‘노(怒)’의 의미는(삼상 20:34)?

성경에서는 노를 발하지 말라고 하심(잠14:17; 시37:8).
그러나 성경은 모든 형태의 노를 금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다만 개인적인 불만, 불안, 겸손하고 부당한 노, 그래서 자신에게 죄가 될 노 등을 금하시고 있습니다.


‘패역 부도의 계집의 소생아’의 의미는(삼상 20:30)?

사악하고 반항하는 계집의 아들이라는 의미임.
이는 어머니의 이름을 들먹여 욕하는 행위로써 극도의 증오와 분노를 나타내는 격렬한 감정의 표시입니다.

 
사울이 다윗을 죽여야할 자로 단정한 이유는(삼상 20:31)?

다윗이 살아있는 한 이스라엘의 왕좌를 누릴 수가 없기 때문에.
타락한 정치욕에 빠진 사울은 자기의 아들의 권면도 받아들이지 못하고 오직 자신의 이익만을 추구하다가 결국 자신의 마음까지 흐리게 하는 결과를 초래했습니다.


다윗이 요나단 앞에서 세번 크게 절한 이유는(삼상 20:41)?

절친했던 친구와의 기약없는 이별.
가정을 뒤로하고 떠나야 하는 자신의 처지에 대한 비애.
사울 왕과 원수가 되어 그를 피해 도망해야만 하는 기구한 운명을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출처 : 갓피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