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건을 거는 순종은 영광을 얻지 못합니다

 

[사사기 4장 1절~10절]
1절 - 에훗이 죽으니 이스라엘 자손이 또 여호와의 목전에 악을 행하매
2절 - 여호와께서 하솔에서 통치하는 가나안 왕 야빈의 손에 그들을 파셨으니 그의 군대 장관은 하로셋 학고임에 거주하는 시스라요
3절 - 야빈 왕은 철 병거 구백 대가 있어 이십 년 동안 이스라엘 자손을 심히 학대했으므로 이스라엘 자손이 여호와께 부르짖었더라
4절 - 그 때에 랍비돗의 아내 여선지자 드보라가 이스라엘의 사사가 되었는데
5절 - 그는 에브라임 산지 라마와 벧엘 사이 드보라의 종려나무 아래에 거주하였고 이스라엘 자손은 그에게 나아가 재판을 받더라
6절 - 드보라가 사람을 보내어 아비노암의 아들 바락을 납달리 게데스에서 불러다가 그에게 이르되 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께서 이같이 명령하지 아니하셨느냐 너는 납달리 자손과 스불론 자손 만 명을 거느리고 다볼 산으로 가라
7절 - 내가 야빈의 군대 장관 시스라와 그의 병거들과 그의 무리를 기손 강으로 이끌어 네게 이르게 하고 그를 네 손에 넘겨 주리라 하셨느니라
8절 - 바락이 그에게 이르되 만일 당신이 나와 함께 가면 내가 가려니와 만일 당신이 나와 함께 가지 아니하면 나도 가지 아니하겠노라 하니
9절 - 이르되 내가 반드시 너와 함께 가리라 그러나 네가 이번에 가는 길에서는 영광을 얻지 못하리니 이는 여호와께서 시스라를 여인의 손에 파실 것임이니라 하고 드보라가 일어나 바락과 함께 게데스로 가니라
10절 - 바락이 스불론과 납달리를 게데스로 부르니 만 명이 그를 따라 올라가고 드보라도 그와 함께 올라가니라

 

이스라엘이 또 악을 행하자 하나님이 가나안 왕 야빈에게 이스라엘을 파십니다. 여선지자요 사사인 드보라가 바락에게 야빈왕의 군대 장관 시스라를 그에게 넘겨주신다는 하나님 말씀을 전합니다. 바락은 드보라에게 동행을 요청하고, 드보라는 이번 길에서는 그가 영광을 얻지 못하리라고 말합니다.

 

1. 랍비돗의 아내, 사사 드보라 (1~5절)

이스라엘의 배교는 계속됩니다. 에훗이 죽은 이후 이스라엘은 다시 과거의 행실로 돌아갑니다. 언약의 하나님이 이번에는 하솔 왕 야빈을 도구 삼아 이스라엘을 징계하십니다. 야빈왕은 시스라를 군대 장관으로 거느렸고, 철 병거(신무기)를 900대나 소유하고 있었습니다. 이스라엘은 야빈의 철권통치 밑에서 20년간 압제를 당했습니다. 그리고 고통 속에서 하나님께 부르짖습니다. 긍휼의 하나님은 이번에도 백성의 부르짖음에 응답하시고, 선지자 드보라를 사사로 세우십니다. 드보라는 랍비돗의 아내로 사사 중 유일하게 여성입니다. 하나님의 선택과 부르심은 인간의 생각을 뛰어넘습니다. 하나님의 부르심에는 차별이 없습니다.

* 드보라와 훌다(왕하 22:14)의 공통점은 무엇인가요? 내 생각과 기준을 뛰어넘어서 일하시는 하나님의 선택을 받아들일 일은 무엇인가요?

 

2. 드보라의 신탁과 바락의 조건적 순종 (6~10절)

하나님은 믿음으로 순종하는 사람을 통해 역사를 이루어 가십니다. 드보라는 납달리 게데스에 있는 바락에게 전령을 보내 하나님의 명령을 전합니다. 하나님은 바락에게 납달리와 스불론 지파에서 1만 명의 군대를 불러 모으고, 그들을 데리고 다볼산으로 가라 명하십니다. 그러면 시스라와 야빈의 철 병거들을 기손강으로 끌어들여 바락의 손에 넘겨주겠다고 말씀하십니다. 하나님이 바락에게 주시는 승리의 약속입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바락은 명령에 즉각적으로 순종하지 못합니다. 바락은 드보라가 이 전투에 함께 할 것을 조건으로 제시합니다. 이로 인해 바락은 승리의 영광을 여인에게 내주게 될 것입니다. 하나님의 명령과 약속은 온전한 믿음과 순종으로 반응할 때 내 것이 됩니다.

* 바락이 하나님의 명령에 즉각적으로 순종하지 못한 결과는 어떠한가요? 연약함에도 불구하고 내가 하나님께 쓰임받고 있는 일은 무엇인가요?

 

오늘의 기도

보잘것 없는 인생을 차별 없이 부르시는 하나님의 완전하신 은혜에 감사합니다. 하나님의 사람으로 세워 주셨으니 저 자신과 지체들을 인간적인 생각으로 제한하지 않게 하소서. 능력과 환경에 위축되지 않고 담대히 하나님께 순종함으로 영광 돌리는 기쁨을 만끽하게 하소서.

 

 

출처 : 생명의 삶 (큐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