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넴 여인이 땅을 되찾으려 한것은 정당한가(왕하 8:1-6)?
여인이 기근을 피해 블레셋으로 이주할때 그 소유를 양도한 적이 없으므로 그땅은 당연히 여인의 소유였음.
이스라엘에서는 토지를 매매했을 경우에도 주인은 언제든지 다시 살수 있었습니다(레25:23-28).
인간으로서는 이해하기 힘든 초자연적인 재난이 발생하는 이유는(왕하 8:1)?
인간들의 불신앙과 형언할수 없는 죄악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이라는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습니다(창3:17-18; 6:5-7).
특별히 하나님만을 섬기도록 부름받은 하나님의 백성이 하나님을 떠나 패역을 일삼을때 하나님의 경고의 메시지로 극심한 재난을 허락하십니다.
하나님께서는 징계의 채찍을 들어서라도 당신의 백성을 온전한 길로 되돌리시고자 하십니다.
하사엘이 여호와를 찾은 이유는(왕하 8:7-10)?
단순히 병을 고침받기 위함.
신앙은 하나님을 자신의 유익을 위해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내가 하나님을 위하여 사용되어지는 것에서 시작됩니다.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것은 자기를 부인하고 그리스도를 좇는 것입니다(마16:24).
하나님의 일꾼들은 백성들의 절망과 죄악에 대해 어떤 자세를 견지해야 하는가(왕하 8:11, 12)?
백성들의 허물과 죄악에 대해 단호한 음성으로 경고하고 하나님의 말씀에 입각해 공의를 선포해야 함.
동시에 백성들의 아픈 현실에 대해 깊은 동질감을 가지고 함께 울고 함께 웃을수 있는 예민한 영성(靈性)을 갖추어야 합니다. 그리고 그 아픔을 위로하고 치유해줄 수 있어야 합니다.
선지자의 국가관은 어떠해야 하는가(왕하 8:11, 12)?
비록 자기 나라에 대한 나쁜 소식이라 하더라도 하나님의 뜻을 전해야 함.
하나님의 일꾼은 비록 이세상에 소속되어 있지만 그는 먼저 하나님의 사자입니다. 그러므로 자기 국가에게 좋지않은 내용의 말씀이라 해도 하나님의 말씀이면 전해야 합니다.
권력에 대한 사람들의 태도는(왕하 8:13-15)?
권력을 차지하기 위해 자기를 주체하지 못하고 어떤 악도 자행함.
다스리는 위치에 있을때에는 특히 더 바르게 살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이유는 자기만 죄를 짓지않고 나아가서 남에게까지 영향을 끼치기 때문입니다.
권력을 지닌 자는 그 권력의 원소유자이신 하나님을 늘 의식하며 다스려야 합니다(롬13:1).
여호람은 어떤 사람인가(왕하 8:20-24)?
여호사밧의 아들로 남유다의 왕이 됨.
아합의 딸과 결혼하여 여러 우상을 섬기며 온 나라에 우상을 만연시킨 죄를 범함.
그는 죄를 짓고도 회개치 않아 창자에 불치병이 생겨 죽었습니다(대하21:18).
아하시야의 통치는 어떠했는가(왕하 8:25-29)?
유다의 여호람과 아달랴의 말째 아들로 왕이 됨.
그도 역시 아합의 집의 교훈을 좇아 여호와 보시기에 악을 행했습니다.
북왕조와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다가 악에 물들게 되어 죽음을 당합니다.
악인과 교제하며 악한 일에 동참하는 것은 결국 자신을 멸망에 방임하는 것입니다(잠1:10-19).
출처 : 갓피플
'열왕기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 QA자료] 열왕기하 10장 (0) | 2012.06.15 |
---|---|
[성경 QA자료] 열왕기하 9장 (0) | 2012.06.15 |
[성경 QA자료] 열왕기하 7장 (0) | 2012.06.15 |
[성경 QA자료] 열왕기하 6장 (0) | 2012.06.15 |
[성경 QA자료] 열왕기하 5장 (0) | 2012.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