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여호수아서의 명칭

이 책의 제목은 모세의 후계자로서 하나님께서 선조들에게 약속하신 가나안 땅의 정복 전쟁을 영도한 대지도자 여호수아의(Joshua) 의 이름을 따서 붙여진 것이다. 여호수아서는 칠십인역(LXX)의 본 서 제목인 '이에누스 나우스' (Iesous Naus ; 눈의 아들 여호수아), 벌게이트(Vulgate)역의 본 서 제목 '리메르 요수에' (Liber Josue ; 여호수아의 책)와 일치하는 제목이다. 이런 제목들은 모두 주내용이 여호수아가 영도한 가나안 정복·정착의 기록임을 반영한 것이다.

2. 역사적 배경

여호수아가 이스라엘 백성을 가나안 땅으로 인도한 시기는 청동기 후기 시대(B. C. 1550-1200)인 B. C. 1406년이었다. 그는 B. C. 1400년경에 열두 지파에게 땅을 분배하였고, B.C. 1390년 이후까지 생존했다. 그러나 이스라엘 백성이 가나안 땅에 들어간 시기를 B.C. 1300년 직후로 보는 견해도 있다. 이스라엘이 가나안 땅을 정복할 당시 바로 아멘호텝 3세는 아시아 지역에 대한 지배권을 상실하였다. 대부분의 팔레스틴과 수리아 지방의 소왕국들은 애굽을 반역하거나 조공을 바치는 것은 그만두었다.
아멘호텝의 아들 악헤나텐의 통치시 수도였던 애굽의 헬엘아마르나에서 발견된 설형문자들은 당시 통치자들의 공문서였다. 문서들 중 대다수가 인접 국가 또는 용병에 대항하기 위하여 바로에게 도움을 청한 내용으로써 팔레스틴과 아람 방백들에 의해 쓰여진 것들이다. 여호수아서에 애굽에 대한 언급이 없는 이유는 아마도 애굽이 아멘호텝 3세 때부터 이스라엘 백성이 가나안에 진군한 이후에 바로가 된 세티 2세까지 무력한 외교 정책을 수립하여 왔기 때문일 것이다.

3. 여호수아서의 내용

1) 여호수아 1-12장
1장은 여호수아를 중심으로 전민족이 뭉쳐서 정치적, 영적 전쟁 준비의 마침을, 2장은 군사적 준비의 완료함을 보도한다. 2-5장은 이스라엘이 요단강을 하나님의 이적의 도움으로 건너는 역사적 장면을 보도한다. 뒤이은 6-12장까지는 가나안에 진입한 이스라엘이 가나안 정복 및 정착의 발판을 마련하고자 가나안 전국의 주요 거점을 본격적으로 공격하는 기사가 실려 있다. 이 부분에서는 하나님께 순종할때는 승리를 그렇지 않았을때에는 패배가 있었음을 밝히 보여준다. 또한 하나님의 도우심으로 과분한 승리를 얻은 이스라엘이긴 하지만 아직 완전 정복에는 이르지 못했음을 분명히 밝혀두고 있다.

2)여호수아 13-21장
이스라엘 백성은 하나님의 명령으로 일단 가나안 땅을 각 지파별로 나누게 된다. 이 부분에서는 성도들이 하나님 편에 서서 악한 무리들과의 전투에 가담하면 훗날 천국에서 자신의 기업을 받을 것을 우리에게 강력히 교훈하여 준다. 이스라엘은 가나안의 주요 거점을 정복하여 기본적인 정착 거점을 확보하게 되었고, 여호수아는 점점 노쇠하고 있었다. 따라서 이제는 단일 지도자의 지휘아래 전민족이 함께 정복 사업을 하는 것보다는 각 지파가 지역을 나누어서 세부 정복 사업을 개별적으로 펴나가는 것이 더 효율적인 방법임을 인식하였다. 그리하여 이스라엘 백성은 하나님의 명령으로 일단 가나안 땅을 각 지파별로 나누게 되었다.

3) 여호수아 22-24장
이 부분은 이스라엘이 이제 정복하고 나눈 이 가나안 땅에서 영원히 평화롭게 정착하기 위한 단 두가지의 조건으로 여호수아가 땅 분배 직후 발생한 요단 동편 지지파들의 제단 사건 및 자신의 임종과 관련하여 제시한 사실을 강조한다. 그것은 출애굽은 물론 가나안 정복 전쟁까지 이기게 해주신 여호와 하나님께 대한 절대적 신앙과 한분 하나님을 중심으로 한 이스라엘 12지파의 단결이었다.

4. 구속사적 의미

여호수아서의 저작 동기는 약속을 지키시는 여호와의 신실성을 보여주는데 있다. 곧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의 조상들에게 가나안 땅을 주시겠다고 약속했는데 여호수아는 전능하신 하나님의 도우심으로 이스라엘과 함께 가나안 땅을 점령하게 되었다. 즉 이스라엘이 가나안 땅에 정착하고 생활하면서 선민으로서의 역사를 전개해갈 삶의 터전을 하나님의 과거의 약속과 그 약속에 신실하신 하나님의 현재의 도우심으로 마침내 얻었다는 사실이 강조된다.
여호수아에 나타난 이스라엘이 상징하는 것은 구약교회이다. 그들은 신약 구속사의 중심인 우리 신약 성도들의 선구자로서 구약 구속사의 주역들인 것이다. 그들의 가나안 땅이 구약 구속사의 전개를 위한 공간과 배경이 되었고, 이것은 하나님의 오랜 언약의 성취로써 현대 성도들에게 실로 큰 의미를 준다.


 

출처 : 갓피플 자료&지식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