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기록 연대
대부분의 학자들은 사사기의 기록 연대를 사울이나 다윗이 이스라엘의 왕으로 있었던 때로 추정한다. 그 이유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는 사사기에서 네번이나 기록된 "그 때에는 이스라엘에 왕이 없으므로"(삿17:6; 삿18:1; 삿19:1; 삿21:25)라는 말씀이다. 이 말은 본 서의 저자가 사사기를 기록할 당시 왕이 통치하던 왕정 통치의 기간인 것을 알수 있다.
둘째는 사사기가 기록되어질때에도 여부스 족속은 예루살렘에 거주하고 있었다는 것이다(삿1:21). 여부스 족속이 예루살렘에서 다윗 왕이 등극한후 최초로 쫓아낸 족속이다. 다윗 왕은 당시의 시온성을 공격하여 점령하고 그성 이름을 개칭하여 다윗성이라 불렀다. 바로 이 지역이 예루살렘 지역인 것이다. 따라서 사사기의 기록 연대는 다윗 왕이 여부스 족을 쫓아내기 이전이라는 사실을 알수 있다.
셋째는 가나안 족속이 게셀 땅에 거하고 있다는 사실이다(삿1:29). 게셀 땅은 애굽왕 바로가 자신의 딸을 솔로몬의 아내로 주면서 선물로 이스라엘에게 준 땅이다(왕상9:15.16). 이같은 사실을 비추어 볼때 사사기의 기록 연대는 솔로몬이 왕으로 등극하기 이전이라는 것을 알수 있다.
2. 정경에서의 위치
구약성경은 율법서, 예언서, 성문서로 구분이 된다. 사사기는 예언서에 속하는데 예언서에는 여호수아, 사사기, 사무엘서, 열왕기서가 포함되어 있다. 이 예언서는 가나안 정복 개시에서부터 B.C. 586년에 예루살렘 함락시까지 하나님의 경륜하에 이스라엘의 역사가 기록된 역사서이다. 사본에 따라서는 룻기가 사사기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있고, 따로 독립된 명칭으로 실려있는 것도 있다.
사사들의 활동 시기는 대체적으로 여호수아가 죽은 이후부터 엘리 제사장 시대까지로 잡는다. 또한 다른 학설에는 사울 왕이 이스라엘 나라의 왕으로 자리잡을때까지로 보는 이 학설이 더욱 타당성이 있다. 그 이유는 엘리 제사장 이후에 사무엘까지를 사사로 인정하기 때문이다(삼상4:18; 삼상7:15). 이 학설에서 한가지 문제가 있는 것은 사무엘에 대한 기록이 사사기에 포함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사무엘에 대한 기록이 별도의 책에 기록되어 있는 것에 대한 의문이 생길 것이다. 이 문제에 대한 대답은 사무엘이 이스라엘의 마지막 사사인 것은 사실이지만 이스라엘 왕국 설립에 중요한 역활을 한 인물이라는 점에서 왕국 설립의 역사를 다룬 책에 기록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또한 사무엘서와 사사기를 면밀히 살펴보면 두책의 저자가 명백히 다르다는 것을 알수 있다.
3. 사사들의 도덕성에 대한 문제
1) 도덕적 결함의 실제
① 에훗의 경우 모압의 에글론 왕을 죽일때에 정정당당하게 싸움을 해서 죽인 것이 아니라 암살하는 방법을 택하였다. 즉 에훗은 자객으로 묘사된 것이다(삿3:12-30).
② 겐사람 하벨의 아내는 가나안왕 야빈의 군대장관 시스라를 말뚝에 박아 죽였고, 이러한 행위가 칭찬 받았다(삿4:17-21).
③ 기드온은 미디안 군대를 멸하는 중에 자기 가족의 원수를 갚는 것이 묘사되어 있다(삿8:18-21). 입다는 암몬 자손과 전투하러 갈때에 경솔하게 서원함으로 자신의 딸을 희생시키는 인격적인 결함을 가지고 있었다(삿11:1-12:7).
④ 삼손의 경우에는 이러한 인격적인 결함이 극명하게 나타나 있다. 그는 나실인임에도 불구하고 자신은 방탕하게 처신함으로 나실인의 세가지 규례를 모두 어기었으며, 또한 이방 여인과 육체적인 관계를 맺음으로 정욕적인 사람으로 묘사되어 있다.(삿13:2-16:31).
2) 이 문제에 대한 해답
첫째, 당시의 도덕적 부패상이다. 그 시대에는 도덕적으로나 종교적으로 수준이 매우 낮은 시대였다. 그 이유는 모세의 율법을 거의 잊은 상태였기에 종교적, 도덕적으로 매우 타락되어 있어 하나님을 대적하는 배교 행위와 성적 타락이 편만하던 시대였다.
둘째, 성령의 역사에 대한 구약적 이해이다. 하나님께서 사사들에게 성령을 부어주신 이유는 이들의 도덕적 결함을 치유하기 위함이 아니고, 하나님의 도구로 사용하기 위함이었다. 따라서 구약에는 사사들의 도덕적인 성품과는 상관없이 하나님의 능력을 나타내는 계시의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셋째, 하나님의 주권을 이루기 위한 것이다. 만약에 사사들이 본래부터 능력이 충만하여 능력을 나타냈다면 이들의 공적은 하나님께로 돌아가는 것이 아니라 자신들에게로 돌아갈 것이다. 그렇지만 하나님은 불완전하고 겁장이고 연약한 사람들을 택하여 이스라엘을 대적하는 악한 세력을 물리치셨다. 이러한 역사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능력과 역사는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출처 : 갓피플 자료&지식
'사사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구자료] 이스라엘의 실패 (사사기 1, 2장) - 2 (0) | 2012.06.28 |
---|---|
[연구자료] 이스라엘의 실패 (사사기 1, 2장) - 1 (0) | 2012.06.28 |
[연구자료] 사사기 - 1 (0) | 2012.06.28 |
이번만 나로 강하게 하사 (삿16:23~31) (0) | 2012.04.24 |
믿음의 배신 (삿2:16~23) (0) | 2012.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