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호와께서 바알스본 맞은편 바닷가에 장막을 치게하신 이유는(출 14:3, 4)?
이스라엘 자손이 광야에서 갇힌바 된줄 알고 바로로 하여금 이스라엘의 뒤를 좇게하여 결과적으로 애굽 사람에게 자신이 여호와임을 알리시기 위해서.
하나님은 자신을 드러내어 세상 사람들에게 알리기 위해 악인의 악함도 이용하십니다. 우리들은 하나님 앞에 선하게 사용되도록 힘써야 겠습니다.
바로의 후회는 무엇을 보여주는가(출 14:5)?
인간의 사악함과 이기심.
바로의 태도는 곤경에 처해서는 하나님을 찾지만 문제가 해결되고 모든 일이 잘 풀릴때는 하나님을 버리는 인간의 사악함 곧 우리의 모습을 대표합니다.
바로의 추격에 대한 이스라엘 백성의 태도는(출 14:10-12)?
두려워했음.
모세와 하나님을 원망했음.
그들은 하나님의 도움을 받아 애굽의 종살이에서 해방되었지만 어려움이 닥치자 하나님을 원망하는 불신앙적인 태도를 보였습니다.
두려워하는 백성을 보고 모세는 무엇이라고 말했나(출 14:13, 14)?
두려워 말고 여호와의 구원을 보라.
모세는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을 위해 싸우시리라는 믿음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스라엘 자손을 나아가게 하라는 명령의 의미는(출 14:15)?
홍해가 갈라지기 이전에 발해진 명령으로써 모든 어려움이 해결되리라고 믿고 행하라는 말씀입니다.
참된 신앙인은 불가능한 상황속에서도 하나님의 말씀을 따르는 믿음을 가져야 합니다(히11:1).
하나님의 사자란 누구를 말하는 것인가(출 14:19)?
하나님 자신을 가리키는 것임.
천사를 의미하는것 보다는 하나님 스스로의 임재나 혹은 예수 그리스도의 현현으로도 표현됩니다(창16:7-14; 21;17-21; 슥1:12).
삼위일체의 하나님을 가리키기도 합니다(잠8:22-31).
홍해가 갈라지기전 모세는 어떻게 했나(출 14:21)?
바다 위로 손을 내밀었음.
하나님의 역사는 인간의 노력없이 저절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닙니다(마7:7).
홍해에서 애굽인들이 멸망당한 사건의 교훈은(출 14:25-28)?
인간의 힘으로는 하나님을 대적할수 없음.
불의한 자들은 하나님의 심판을 받아 결국 망하고 말 것입니다.
인간은 하나님의 손길을 피할수 없습니다.
홍해 도하 사건의 구속사적인 의미는(출 14:15-31)?
이 사건은 세례를 받음으로써 죄의 세력에서 완전히 벗어나는 중생을 예표합니다.
홍해 도하 사건을 목격한 이스라엘 백성의 태도는(출 14:31)?
여호와를 경외하고 여호와와 그 종 모세를 믿었음.
그러나 이스라엘 백성의 이후의 태도로 미루어보아 그것은 확고한 믿음이 아니었습니다.
가시적인 표적이 확고한 믿음을 주는 것은 아닙니다. 믿음은 하나님의 말씀에서 비롯되며 표적은 말씀의 확실함을 입증해 주는 수단일 뿐입니다. 예수님께서는 표적을 구하는 자들을 책망하셨습니다(마16:40).
출처 : 갓피플
'출애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 QA자료] 출애굽기 16장 (0) | 2012.06.28 |
---|---|
[성경 QA자료] 출애굽기 15장 (0) | 2012.06.28 |
[성경 QA자료] 출애굽기 13장 (0) | 2012.06.28 |
[성경 QA자료] 출애굽기 12장 (0) | 2012.06.28 |
[성경 QA자료] 출애굽기 11장 (0) | 2012.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