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예수님의 비유
비유의 원어인 헬라어 parabolhv(파라볼레)는 '옆에 나란히 두다'라는 뜻이다. 추상적 교훈 등을 일상의 낯익은 상황이나 사물들을 들어 이야기함으로써 그뜻을 쉽고도 인상적으로 이해할수 있게 하는 방법이 비유이다.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당신의 교훈을 쉽고도 깊이 이해하도록 또는 유대 지도자들에게 진리 자체를 분명히 전달하시되 곡해할 여지를 주지않기 위해 비유를 자주 사용하셨다.
1) 비유의 유형
① 설화형식의 비유
이는 '선한 사마라아인의 비유' (눅10:30-37)처럼 줄거리가 뚜렷한 한토막의 이야기 형식의 비유이다.
② 경구형식의 비유
심오한 영적 교훈 등을 일상적 사물에 빗대어 일러주는 격언 형식의 비유이다. 빛과 소금, 나무와 열매 등의 비유이다.
③ 단순직유 및 은유형식의 비유
상호 유추적 관계에 있는 두사물을 일대일로 단순 비교하는 형식의 비유이다. 예를 들면 직유 형식은 "외식하는 서기관들과 바리새인들이여 회 칠한 무덤 같으니"(마23:37)이요, 은유 형식은 "하루살이는 걸러내고 약대는 삼키는도다"(마23:24) 등이다.
2) 비유의 이중 목적
마13:10-17에서는 무리들에게 천국 비밀을 아는 것이 허락되지 않은 자들에게는 깨닫지 못하게 하기 위해서 비유로 말씀함이라고 했고, 반면 마13:55에서는 비유로 말씀함이 창세로부터 감추인 것을 드러내기 위함이라고 언급하고 있어서 두딸이 상호 모순되고 있다. 그러나 상호 모순되는 이 두목적이 비유에 의해서 동시에 수행될수 있다는 사실을 인지시켜 주고 있다. 예수님은 비유를 사용하여 대적자들에게 혼란을, 제자들에게는 더깊은 깨달음을 주셨던 것이다.
2. 헤롯 안디바
1) 인적사항
헤롯 대왕의 둘째 아들로서 그 어머니는 사마리아인 말타케이며, 다메섹 왕녀와 결혼하였다.
2) 생애
헤롯 대왕과 말타게 사이에서 B.C.20년경 출생하였다. 헤롯대왕 사후 갈릴리 분봉왕으로 임명되었다. 이복 형제인 빌립의 아내 헤로디아와 불법으로 재혼함으로 세례 요한의 책망을 받았다. 충언한 세례 요한을 투옥함은 물론 목을 베는 죄를 범하였다.
3) 성품과 행적
이복 동생의 아내를 취한 점으로 보아 부도덕하고 성적으로 문란하였다. 또한 살로메의 부당한 청을 거절하지 못하고 세례 요한을 죽인 것으로 보아 올바른 판단력이 결여되었고 우유부단했으며, 교만하며 권력을 남용함을 알수 있다.
4) 교훈
헤롯 안디바의 우유부단함은 결국 의인의 죽음이라는 비극을 초래했다. 여기서 지도자의 올바른 판단의 중요함을 깨닫게 한다. 또한 헤로디아의 불법 재혼의 악은 세례 요한의 죽음이라는 또 다른 악을 연쇄적으로 낳는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3. 유대인의 식사 정결례
예수님의 제자들이 식사전에 손을 씻어야 한다는 장로들의 유전을 지키지 않았다 하여 이를 비난하였는데 당시 유대인들의 식사 정결례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식사와 관련된 정결례
바람과 먼지가 유독 많은 팔레스틴에서는 고대로부터 식사전에 손을 닦거나 몸을 씻는 것이 관례였다. 특히 이스라엘이나 근동 지방에서는 식사 도구없이 손으로 음식을 먹었기 때문에 손씻는 것은 꼭 필요하였다. 이러한 자연스러운 관습이 이스라엘 포로귀환 이후 유대주의자들에 의해 종교적인 규례들이 되었고, 이것이 장로들의 유전이라는 이름으로 후손들에게 계속해서 교육되어 왔던 것이다. 이 규례를 지키지 않으면 종교적으로 크게 부정한 것으로 여겨져 질타를 당하기 일쑤였다.
2) 교훈
유대인들이 식사 정결례를 지키는 것은 충분히 긍정적으로 볼수 있다. 그러나 바리새인들과 서기관들과 같이 겉으로는 종교적 정결을 강조하면서도 실상은 하나님을 향한 신실성이 없는 것은 문제이다. 우리도 자칫 내면인 신앙을 도외시한채 외적인 종교적인 형식에만 치중함으로써 신앙의 본질을 왜곡하는 어리석음을 범치말아야 겠다.
출처 : 갓피플 자료&지식
'마가복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구자료] 종의 가르침 (마가복음 8~10장) - 2 (0) | 2012.07.17 |
---|---|
[연구자료] 종의 가르침 (마가복음 8~10장) - 1 (0) | 2012.07.17 |
[연구자료] 종의 사랑 (마가복음 4~7장) - 1 (0) | 2012.07.17 |
[연구자료] 종의 출현 (마가복음 1~3장) - 2 (0) | 2012.07.17 |
[연구자료] 종의 출현 (마가복음 1~3장) - 1 (0) | 2012.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