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수님께서 회개를 촉구하시며 예로 드신 사건은 무엇인가(눅 13:1-5)?

빌라도의 어떤 갈릴리 사람 학살 사건과 실로암 망대 붕괴 사건.
유대인들은 죽음, 병, 과부됨, 무자식 등 모든 불행을 죄의 결과로 보고 갈릴리 사람들의 죽음을 죄에 대한 진노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주님께서는 아무런 불행도 당하지 않은 우리들 역시 그들과 똑같은 죄인임을 강조하며 회개를 촉구하셨습니다.

 
열매맺지 못한 무화과나무 비유의 의미는(눅 13:6-9)?

나무 - 유대 백성, 열매 - 회개, 주인 - 하나님, 과원지기 - 예수님.
이 비유는 하나님의 특별한 사랑을 받은 유대인이라도 회개치 않으면 하나님의 준엄한 심판이 닥칠 것과 그리스도의 회개 촉구, 하나님의 인내에는 정해진 시한이 있음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회당장이 안식일을 들어 예수님을 비난한 이유는(눅 13:10-14)?

예수님께서 십팔년 동안 귀신들려 앓으며 꼬부라진 여인을 고치셨기 때문.
귀신과 질병에서 놓임받는 일은 안식일 준수보다 더 중요한 일입니다. 그러나 유대인들은 법조문에 사로잡혀 안식일에 근본 정신을 잃고 말았습니다.

 
예수님께서 회당장에게 외식하는 자라고 말씀하신 이유는(눅 13:15, 16)?

안식일에 자기 육축은 돌보면서 그보다 중한 사람 돌보는 일은 비난하므로.
이들은 율법을 자신에게 적용하지 않고 다른 사람을 판단하는데 사용했습니다.

 
하나님 나라를 상징하는 것은(눅 13:18-21)?

겨자씨, 누룩.
겨자씨는 아주 작은 것이로되 땅에 심기워 자라면 커다란 나무가 됩니다. 누룩도 적은 양이 가루속에 넣어진 후에는 모든 가루를 부풀게 합니다. 이처럼 하나님의 나라는 처음에는 미약해 보이지만 나중에는 크게 창대해짐을 교훈합니다.

 
‘구원을 얻는 자가 적으냐’는 물음에 대한 예수님의 대답은(눅 13:23, 24)?

‘좁은 문으로 들어가기를 힘쓰라’.
구원으로 인도하는 좁은 문은 혈과 육으로 들어가거나 인간의 노력으로 들어가는 문이 아니라, 오직 그리스도를 믿고 의지함으로만 들어갈수 있음을 가르칩니다.


바리새인들이 예수님께 떠나도록 충고한 이유는 무엇인가(눅 13:31-33)?

헤롯이 예수님을 죽이려 하기 때문에 유다 지방으로 도망치라는 말입니다.
그러나 바리새인들의 배려뒤에는 교활한 음모 즉 예루살렘에서 연합하여 예수님을 처치할 음모가 도사리고 있었던 것입니다. 또한 예수님께서 자신들의 통치권 안에서 문제를 야기시키지 않기를 바랐기 때문입니다.


헤롯의 음모 계획을 들은 예수님의 반응은 어떠했나(눅 13:32,33)?

예정하신대로 꿋꿋이 주님의 갈길을 가셨음.
예수님의 구속 사역은 헤롯의 계획이 아니라 하나님의 계획에 따라 그 완성을 향해 나아가고 있었습니다. 그것은 곧 귀신과 병과 죄악의 추방 그리고 십자가의 죽음과 부활입니다. 우리도 하나님의 계획에 따라 중단없이 나아가야 합니다.

 

 

출처 : 갓피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