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의한 재판장을 비유로 말씀하신 목적은(눅 18:1-8)?

낙망치 말고 기도하도록 권함.
기도 응답이 없으면 낙심하여 기도를 포기하고 맙니다. 그러나 응답이 쉬나타나지 않아도 참고 기다리면 반드시 응답을 받게 됩니다.

 
바리새인과 세리의 기도의 차이점은(눅 18:10-13)?

바리새인은 공적을 자랑하는 기도, 세리는 회개의 기도를 함.
하나님은 의인의 기도를 들어주시지만 자신의 공적을 자랑하는 기도는 경계하십니다. 하나님은 오히려 그분의 긍휼과 자비를 구하는 회개의 기도를 기뻐하십니다.


세리가 의롭다는 평가를 받은 이유는(눅 18:11-14)?

자기를 낮추었기 때문임.
하나님 앞에서 인간은 자랑보다는 허물이 많습니다. 세리는 이를 깨달았고 바리새인은 이를 깨닫지 못한 것입니다. 그는 하나님을 알지도 못했던 것입니다.

 
어린아이와 하나님 나라는 어떤 관계가 있나(눅 18:15-17)?

하나님 나라를 어린아이 같이 받들지 않으면 들어갈수 없다고 하심.
예수님은 어린아이의 순수한 믿음과 소망을 칭찬하시며 어른들의 멸시하는 태도가 하나님 나라에 합당치 않음을 지적하신 것입니다.

 
어린아이와 같은 신앙은 무엇인가(눅 18:15-17)?

겸손하고 가식이 없는 신앙.
전적으로 의지하고 사실 그대로 받아들이는 신앙.
자기 공로를 내세우지 않고 있는 그대로 자기를 나타내는 신앙입니다.

 
약대와 바늘의 비유는 무엇을 의미하는가(눅 18:24, 25)?

부자가 하나님 나라에 들어가기 어려움을 교훈하심.
인간이 소유한 재물이 주는 기쁨이 너무 커서 하나님 나라의 소망을 잊게 만듦으로 하나님 나라를 얻기위해 선행되어야할 인간의 근본적인 변화를 억제한다는 점을 지적하신 말씀입니다.


구원받을 사람은 누구인가(눅 18:26,27)?

구원은 인간의 노력과 공적으로 얻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거저주시는 은혜의 선물입니다. 우리의 믿음 자체도 우리 자신의 공적이 아니고 하나님의 은혜의 선물임을 깨달아야 합니다.


예수님의 수난 예고에 대한 제자들의 반응은(눅 18:34)?

들어도 깨닫지 못함.
제자들도 고난받는 메시야상을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왜냐하면 예나 지금이나 고난은 피하고 싶은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구원의 길에서는 고난이 필수입니다.


여리고 소경의 믿음은 어떤 것이었나(눅 18:35-43)?

예수님을 알고 확실한 소원을 가지고 간절하게 기도하는 순수한 믿음.
그는 육신의 장애를 통해 영적인 장애를 깨닫고 예수님께 이 문제를 가지고 나왔습니다. 그리고 철저히 주님의 긍휼과 자비에 매달렸습니다. 그결과 그는 육신의 장애뿐 아니라 영적으로 구원을 얻고 많은 백성의 신앙에도 영향을 주었습니다.

 

 

출처 : 갓피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