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성실한 청지기가 칭찬받은 이유는 무엇인가(눅 16:1-8)?
미래를 대비했기 때문.
청지기는 실직한후의 미래를 대비하기 위해 현재의 기회를 이용했다는 점에서 지혜롭다는 평가를 얻은 것이지 부정직과 사기술을 용서받은 것이 아닙니다. 따라서 성도들은 미래의 영원한 생명을 위해 현재를 충실히 활용하되 하나님의 뜻에 따라 살도록 힘써야할 것입니다.
청지기의 의미는(눅 16:1)?
‘관리하다’라는 의미로 한가정의 재산이나 집안 전체를 관리하도록 위탁받은 고용인을 가리킴.
성도는 하나님의 소유물인 이세상을 맡아 관리하는 하나님의 종입니다.
불의의 재물로 친구를 사귀라는 말씀의 의미는 무엇인가(눅 16:9)?
하늘의 보화와 반대되는 개념으로써 불의한 청지기가 마음대로 사용한 세상의 재물을 의미함.
이는 불신자들이 세상에서 장차의 유익을 얻기위해 지혜롭게 투자하듯이 신자도 천국에서의 유익을 위해 재물을 이용하는 법을 배우라는 뜻입니다.
성경의 재물관은 어떠한가(눅 16:10-13)?
하나님과 재물을 겸하여 섬길수 없고 재물은 하나님으로부터 맡아 관리하는 것임.
비록 재물은 하나님보다 열등한 것이지만 하나님을 섬긴다고 해서 재물을 소홀히 여겨서는 안됩니다. 우리는 하나님으로부터 관리를 맡은 청지기답게 재물을 지혜롭게 사용해야 합니다.
바리새인들의 정체는 무엇인가(눅 16:14,15)?
돈을 좋아하는 자들이요, 사람 앞에서 스스로 옳다하는 자들입니다.
아무리 신앙이 좋다고 떠들어대도 결국 그들의 정체를 하나님은 아셨습니다. 그들은 하나님께 인정받기보다 사람에게 인정받으려 하였고 무엇보다도 재물욕이 강했습니다. 모든 힘은 궁극적으로 재물로부터 나온다고 보았기 때문입니다.
율법과 선지자 및 하나님 나라의 관계는(눅 16:16)?
율법과 선지자는 요한의 때까지요, 그후부터는 하나님 나라의 복음이 전파되어 사람마다 그리로 침입합니다.
즉 율법과 선지자는 예수님이 선포한 하나님 나라의 복음을 지시합니다. 따라서 전자는 수단이고 후자는 궁극적 목표입니다. 그런데도 유대인들은 수단에 얽매여 목표를 잊고 말았습니다. 오히려 손가락질을 받던 죄인들이 목표를 제대로 보았습니다.
부자와 나사로는 결국 어떻게 되었나(눅 16:19-22)?
부자는 죽어서 음부에서 고통을 겪고 나사로는 아브라함의 품에 안기웠음.
현실에 보이는 현상이 곧 본질은 아닙니다. 부자는 날마다 연락하였고 나사로는 극심한 고통을 당했으나 그것이 전부가 아니라 하나님께서 보장하시는 영원한 미래가 있었던 것입니다.
부자의 두가지 요구에 대한 대답은 무엇인가(눅 16:24-31)?
① 나사로를 통해 물을 찍어달라 함 - 부자는 살았을때 좋은 것을 받았고, 나사로는 고난을 받았으니 이제 나사로가 위로받는 것이 마땅함.
② 나사로를 형제에게 보내 경고하게 함 - 모세와 선지자들에게 들으면 된다고 함.
이는 심판의 불가피성과 불변성을 나타내 줍니다.
출처 : 갓피플
'누가복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 QA자료] 누가복음 18장 (0) | 2012.07.19 |
---|---|
[성경 QA자료] 누가복음 17장 (0) | 2012.07.19 |
[성경 QA자료] 누가복음 15장 (0) | 2012.07.19 |
[성경 QA자료] 누가복음 14장 (0) | 2012.07.19 |
[성경 QA자료] 누가복음 13장 (0) | 2012.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