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진리를 따라 살아가자 (경한수 목사)

 

[에스더 1장 1절~22절]

1절 - 이 일은 아하수에로 왕 때에 있었던 일이니 아하수에로는 인도로부터 구스까지 백이십칠 지방을 다스리는 왕이라

2절 - 당시에 아하수에로 왕이 수산 궁에서 즉위하고

3절 - 왕위에 있은 지 제삼년에 그의 모든 지방관과 신하들을 위하여 잔치를 베푸니 바사와 메대의 장수와 각 지방의 귀족과 지방관들이 다 왕 앞에 있는지라

4절 - 왕이 여러 날 곧 백팔십 일 동안에 그의 영화로운 나라의 부함과 위엄의 혁혁함을 나타내니라

5절 - 이 날이 지나매 왕이 또 도성 수산에 있는 귀천간의 백성을 위하여 왕궁 후원 뜰에서 칠 일 동안 잔치를 베풀새

6절 - 백색, 녹색, 청색 휘장을 자색 가는 베 줄로 대리석 기둥 은고리에 매고 금과 은으로 만든 걸상을 화반석, 백석, 운모석, 흑석을 깐 땅에 진설하고

7절 - 금 잔으로 마시게 하니 잔의 모양이 각기 다르고 왕이 풍부하였으므로 어주가 한이 없으며

8절 - 마시는 것도 법도가 있어 사람으로 억지로 하지 않게 하니 이는 왕이 모든 궁내 관리에게 명령하여 각 사람이 마음대로 하게 함이더라

9절 - 왕후 와스디도 아하수에로 왕궁에서 여인들을 위하여 잔치를 베푸니라

10절 - 제칠일에 왕이 주흥이 일어나서 어전 내시 므후만과 비스다와 하르보나와 빅다와 아박다와 세달과 가르가스 일곱 사람을 명령하여

11절 - 왕후 와스디를 청하여 왕후의 관을 정제하고 왕 앞으로 나아오게 하여 그의 아리따움을 뭇 백성과 지방관들에게 보이게 하라 하니 이는 왕후의 용모가 보기에 좋음이라

12절 - 그러나 왕후 와스디는 내시가 전하는 왕명을 따르기를 싫어하니 왕이 진노하여 마음속이 불 붙는 듯하더라

13절 - 왕이 사례를 아는 현자들에게 묻되 (왕이 규례와 법률을 아는 자에게 묻는 전례가 있는데

14절 - 그 때에 왕에게 가까이 하여 왕의 기색을 살피며 나라 첫 자리에 앉은 자는 바사와 메대의 일곱 지방관 곧 가르스나와 세달과 아드마다와 다시스와 메레스와 마르스나와 므무간이라)

15절 - 왕후 와스디가 내시가 전하는 아하수에로 왕의 명령을 따르지 아니하니 규례대로 하면 어떻게 처치할까

16절 - 므무간이 왕과 지방관 앞에서 대답하여 이르되 왕후 와스디가 왕에게만 잘못했을 뿐 아니라 아하수에로 왕의 각 지방의 관리들과 뭇 백성에게도 잘못하였나이다

17절 - 아하수에로 왕이 명령하여 왕후 와스디를 청하여도 오지 아니하였다 하는 왕후의 행위의 소문이 모든 여인들에게 전파되면 그들도 그들의 남편을 멸시할 것인즉

18절 - 오늘이라도 바사와 메대의 귀부인들이 왕후의 해이위를 듣고 왕의 모든 지방관들에게 그렇게 말하리니 멸시와 분노가 많이 일어나리이다

19절 - 왕이 만일 좋게 여기실진대 와스디가 다시는 왕 앞에 오지 못하게 하는 조서를 내리되 바사와 메대의 법률에 기록하여 변개함이 없게 하고 그 왕후의 자리를 그보다 나은 사람에게 주소서

20절 - 왕의 조서가 이 광대한 전국에 반포되면 귀천을 막론하고 모든 여인들이 그들의 남편을 존경하리이다 하니라

21절 - 왕과 지방관들이 그 말을 옳게 여긴지라 왕이 므무간의 말대로 행하여

22절 - 각 지방 각 백성의 문자와 언어로 모든 지방에 조서를 내려 이르기를 남편이 자기의 집을 주관하게 하고 자기 민족의 언어로 말하게 하라 하였더라

 

오늘날의 가장 심각한 병폐 현상은 잘못한 일에 대하여 책임을 지는 사람이 없다는 사실이다. 분명히 잘못이 일어나게 된 원인은 있는데 그 잘못을 책임지는 사람은 없다. 사실 훌륭한 인격은 죄를 짓지않는 완벽함에 있는 것이 아니라 죄에 대하여 정직하게 시인하고 진리를 따라 사는 자이다.

그러면 우리가 진리를 따라 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1. 외적인 것을 자랑하지 않아야 한다. (1~8절)
아하수에로 왕은 페르샤 왕국의 왕으로서 거대한 권세와 부를 한 몸에 지니고 제국을 통치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 왕은 화려한 잔치를 벌인다. 왕이 베푼 잔치의 규모와 그의 권세와 부귀를 살펴 보자.
그는 모든 신하들이 참석할 수 있도록 대대적인 준비를 하여 약 6개월 동안(귀족 180일, 일반 백성은 7일) 연회를 베풀었다. 그 잔치의 분위기도 호화로움의 극치를 보여주고 있다. 여러가지 빛깔로 꾸며진 아름다운 장식들, 갖가지 산해진미가 고루고루 갖추어져 있고, 모양과 크기가 다른 술잔, 풍부한 술은 대제국의 영광을 드러내고 있다.
왕이 왜 이런 잔치를 베풀었을까? 그것은 자기가 다스리는 영화로운 나라의 부함과 위엄의 혁혁함을 나타내기 위해서이다. 이것은 자기과시이며 교만이다. 외적인 아름다움이나 화려함을 자랑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다.
# 우리는 어떠한가? 우리의 자랑은 무엇인가? 세상적이고 외적인 것은 아닌가? 자기를 과시하려고 한 것은 없는가?

  - 고린도후서 4:18 우리가 주목하는 것은 보이는 것이 아니요 보이지 않는 것이니 보이는 것은 잠깐이요 보이지 않는 것은 영원함이라 

2. 사람들을 인격적으로 대해야 한다. (9~12절)
왕후 와스디도 왕궁에서 부녀들을 위하여 성대하게 잔치를 베풀었다. 사람들은 각자 마시고 싶은대로 술을 마셨다. 그런데 마시다보니 왕이 술에 취하여 주흥이 일어났다. 그래서 왕은 어전 내시들에게 명하여 와스디으로 하여금 왕후의 면류관을 정제하고 왕의 앞으로 나오라고 했다. 왕은 왕비의 아름다움을 손님들에게 나타내어 자기를 돋보이게 하려고 했다. 그러나 왕후는 왕명을 어기고 나가지 않았다. 왜 그랬는가? 왕이 술에 취해 왕후를 한낱 노리개처럼 대우하려고 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는 왕명을 거절했다.
# 우리는 사람들을 어떻게 대하고 있는가? 과연 인격적으로 대우하고 있는가?

3. 책임적인 위치에 있는 사람이 좋은 본을 보여야 한다. (13~22절)
왕은 왕후에게 거절을 당했을때 진노하여 중심이 불 붙는듯 하였다. 그래서 왕은 이 불순종한 왕후 문제를 처리하기 위해 규례와 법률을 아는 7명의 박사들을 불러모아 이들의 의견을 물어 보았다. 저들은 모두 지혜로운 자들이나 왕의 눈치를 살피면서 왕의 비위에 맞춰서 말했다. 특히 일곱 박사 중 므무간이 왕에게 제안을 했는데 어떤 제안을 했는가? 왕후는 왕에게 뿐만 아니라 방백들과 뭇 백성들에게 잘못을 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왕후가 불순종하였다는 소문이 모든 가정의 부인들에게 전해지면 그들이 자기 남편들에게 불순종할 것이니, 왕비 와스디를 폐위시키자고 제안을 했다. 그러자 왕은 므무간의 말을 선하게 여겨서 각 도에 공포하였다. 그러므로 어전 내시와 박사와 같이 책임적인 위치에 있는 자들의 역할은 매우 중요한 것이다.
# 우리는 어떠한가? 사람들에게 어떤 영향을 주고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가? 가정에서나 교회에서는 어떻게 행동하고 있는가?


* 우리가 진리를 따라 살려고 한다면 외적인 것을 자랑하지 말아야 한다. 또한 우리는 사람들을 대할때 여자든 아내든 약점이 많은 사람이든 어떠한 사람이라도 인격적으로 대해야 한다. 또한 책임적인 위치에 있는 자들은 높은 권력자의 눈치나 비위를 맞추지 말고 좋은 본을 보여주어야 하겠다.


'에스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순종과 구별된 삶 (에 3:1~15)  (0) 2012.12.03
왕후가 된 에스더 (에 2:1~23)  (0) 2012.12.01
[성경 QA자료] 에스더 10장  (0) 2012.05.28
[성경 QA자료] 에스더 9장  (0) 2012.05.28
[성경 QA자료] 에스더 8장  (0) 2012.05.2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