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순종과 구별된 삶 (경한수 목사)

 

[에스더 3장 1절~15절]

1절 - 그 후에 아하수에로 왕이 아각 사람 함므다다의 아들 하만의 지위를 높이 올려 함께 있는 모든 대신 위에 두니

2절 - 대궐 문에 있는 왕의 모든 신하들이 다 왕의 명령대로 하만에게 꿇어 절하되 모르드개는 꿇지도 아니하고 절하지도 아니하니

3절 - 대궐 문에 있는 왕의 신하들이 모르드개에게 이르되 너는 어찌하여 왕의 명령을 거역하느냐 하고

4절 - 날마다 권하되 모르드개가 듣지 아니하고 자기는 유다인임을 알렸더니 그들이 모르드개의 일이 어찌 되나 보고자 하여 하만에게 전하였더라

5절 - 하만이 모르드개가 무릎을 꿇지도 아니하고 절하지도 아니함을 보고 매우 노하더니

6절 - 그들이 모르드개의 민족을 하만에게 알리므로 하만이 모르드개만 죽이는 것이 부족하다고 생각하고 아하수에로의 온 나라에 있는 유다인 곧 모르드개의 민족을 다 멸하고자 하더라

7절 - 아하수에로 왕 제십이년 첫째 달 곧 니산월에 무리가 하만 앞에서 날과 달에 대하여 부르 곧 제비를 뽑아 열두째 달 곧 아달월을 얻은지라

8절 - 하만이 아하수에로 왕에게 아뢰되 한 민족이 왕의 나라 각 지방 백성 중에 흩어져 거하는데 그 법률이 만민의 것과 달라서 왕의 법률을 지키지 아니하오니 용납하는 것이 왕에게 무익하니이다

9절 - 왕이 옳게 여기시거든 조서를 내려 그들을 진멸하소서 내가 은 일만 달란트를 왕의 일을 맡은 자의 손에 맡겨 왕의 금고에 드리리이다 하니

10절 - 왕이 반지를 손에서 빼어 유다인의 대적 곧 아각 사람 함므다다의 아들 하만에게 주며

11절 - 이르되 그 은을 네게 주고 그 백성도 그리하노니 너의 소견에 좋을 대로 행하라 하더라

12절 - 첫째 달 십삼일에 왕의 서기관이 소집되어 하만의 명령을 따라 왕의 대신과 각 지방의 관리와 각 민족의 관원에게 아하수에로 왕의 이름으로 조서를 쓰되 곧 각 지방의 문자와 각 민족의 언어로 쓰고 왕의 반지로 인치니라

13절 - 이에 그 조서를 역졸에게 맡겨 왕의 각 지방에 보내니 열두째 달 곧 아달월 십삼일 하루 동안에 모든 유다인을 젊은이 늙은이 어린이 여인들을 막론하고 죽이고 도륙하고 진멸하고 또 그 재산을 탈취하라 하였고

14절 - 이 명령을 각 지방에 전하기 위하여 조서의 초본을 모든 민족에게 선포하여 그 날을 위하여 준비하게 하라 하였더라

15절 - 역졸이 왕의 명령을 받들어 급히 나가매 그 조서가 도성 수산에도 반포되니 왕은 하만과 함께 앉아 마시되 수산 성은 어지럽더라 


죄악이 관영한 세상에서 믿음의 정절을 지키기란 보통 어려운 일이 아니다. 우리에게는 고난과 핍박도 많다. 이때 거의 모든 사람들이 두려움에 사로잡혀 세상과 타협하기도 한다. 본문에 보면 모르드개가 등장하는데 그는 위기의 때 더욱 하나님을 의지하여 주의 법에 순종하면서 구별된 삶을 살았다.

그럼 우리도 어려움에 처할때 순종하며 구별된 삶을 살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할까?

1. 믿음의 절개를 지켜야 한다. (1~6절)
하만은 왕명을 받아내어 모든 사람이 대궐문을 통과할 때마다 무릎을 꿇고 절하게 했다. 그런데 다 무릎을 꿇고 절을 하는데 유독 모르드개만이 절하지 않았다. 아각 사람은 과거 사울왕때 하나님께서 진멸하라고 명령하셨던 원수 아멜렉 족속일 가능성이 크다.(삼상 15:1~9, 32~33)

  - 사무엘상 15:32~33 사무엘이 이르되 너희는 아말렉 사람의 왕 아각을 내게로 끌어 오라 하였더니 아각이 즐거이 오며 이르되 진실로 사망의 괴로움이 지났도다 하니라 사무엘이 이르되 네 칼이 여인들에게 자식이 없게 한 것 같이 여인 중에 네 어미에게 자식이 없으리라 하고 그가 길갈에서 여호와 앞에서 아각을 찍어 쪼개니라

더구나 절하라고 하는 명령은 하나님께만 경배하라는 십계명의 제1계명과 제2계명을 범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모르드개는 하만의 명령을 어기고 무릎을 꿇지 않았다. 이것이 말썽이 되어 하만에게 알려지자 하만은 심히 노하여 보복할 계획을 찾게 된다. 그러나 모르드개는 어려움과 핍박이 와도 신앙의 지조를 지켰다.
# 우리는 어떤 상황에서도 신앙의 절개를 지키고 있는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신앙만은 포기해서는 안된다.

2. 위기에 처할때 절망치 않아야 한다. (7~11절)
하만은 모르드개의 소식을 듣고 그를 죽이고자 했다. 그 결과로 모르드개만 아니라 유대인들까지 환난과 어려움을 당하게 되었다. 하만은 유대인을 학살하기 위해 제비를 뽑아 아달월로 날짜를 선택한후 왕을 교묘한 방법으로 설득시킨다.
# 우린 어떠한가? 위기에 처할때 절망하지 않는가? 하나님만 의지하는가?

3. 백성들을 잘 돌아봐야 한다. (12~15절)
하만은 그 해 아달월 13일에 왕의 서기관이 소집되어 대신,각 도 방백 및 관원에게 각 민족의 방언대로 조서를 쓰고 왕의 반지로 인을 쳤다. 아울러 역졸에게 부쳐 각 도에 조서를 내려 유대인을 멸종시키는 계획을 성공시켰다. 그리고 술잔을 나누며 먹고 마셨다.
이 기간에 수산성은 몹시 어지럽고 뒤숭숭하게 되었다.
# 지도자는 백성을 잘 돌아보아야 한다. 백성을 잘 돌아보지 않는 지도자 밑에는 언제나 그 단체가 불안감이 감돌며 문제도 많다.


* 성도가 구별되고 성별된 삶을 살기위해서는 신앙의 지조를 지켜야 하며 어떤 위기에도 절망치 않아야 하겠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