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하박국서의 집필 동기와 역사적 배경

1) 역사적 배경
B. C. 612-605년경 고대 근동지역은 바벨론 제국의 급부상으로 인해 일대 격변을 겪고 있었다. 앗수르 제국이 몰락해 가고있었고 애굽도 세력이 크게 약화되었다. 이렇게 강대국끼리의 싸움에 낀 남유다는 그야말로 한시도 마음을 놓을 수 없는 불안한 정국이 계속되었다. B. C. 609년 요시야 왕이 애굽 왕 바로느고의 진군을 막다가 므깃도에서 전사하자 남유다는 애굽으로부터 큰 환난을 당하게 되었다.
또 바벨론 제국은 세력 확장을 위해서 남유다를 정복하려고 하였다. 때문에 바벨론은 남유다를 공격하여 B. C. 609년 요시야 사후의 여호아하스 왕을 패하고 대신 여호야김을 왕으로 세웠다. 그리고 B. C. 605년 갈그미스에서 애굽을 대파한 바벨론은 유다인을 포로로 잡아갔다(대하36:5-8). 이것이 제1차 바벨론 포로 유수이다. 하박국서는 이런 혼란스러운 역사를 배경으로 기록이 되었다.

2) 집필 동기
고대 근동 지역의 세력 주도권이 앗수르에서 바벨론으로 넘어가는 혼란스러운 시대 속에서 남유다는 종교적, 도덕적인 타락이 극에 달하였다. 통치자들은 백성을 착취하고 압제하는 일을 서슴지 않았으며(왕하23:35-37), 하나님의 말씀을 전하는 선지자와 주의 종들을 잡아 죽이기까지 하였다(렘36:20-32). 이런 암울한 현실 속에서 살아남은 의로운 자들은 하나님의 공의로운 심판을 간절히 바라게 되었다. 하박국 선지자는 그러한 남은 자들의 고통을 위로하고 어려운 가운데서 더욱 믿음을 가지라고 격려하기 위해 본 서의 예언을 선포하였다.

2. 하박국서의 나타난 그리스도
신·구약 성경은 매우 다양한 저자와 다양한 시기에 걸쳐 기록되었기 때문에 그 범위와 형식 또한 매우 다양하고 광범위하다. 그러나 성경은 예수의 구속 사역으로 인한 구원이라는 일관된 주제가 다양하게 역사 속에서 펼쳐짐을 보여 주고 있다. 이제 여기서는 예수그리스도와 관련된 진리를 찾아보고자 한다.

1) 구원론적 측면
하박국서의 중심 주제는 의인은 믿음으로 말미암아 살리라(합2:4)이다. 이는 믿음으로 말미암아 구원을 얻게 된다는 이신득의를 가리키는 말이다. 이신득의의 교리는 구약뿐만 아니라 신약에서도 계속 흐르고 있는 구원론의 핵심 사상이다. 그래서 루터는 이신득의의 사상으로 종교개혁을 시작했고 성공을 거둘 수 있었다. 그러나 구약 본 서만큼 분명한 어조로 이신득의를 강조하는 책은 없다. 믿음으로 말미암아 주어지는 구원은 하나님의 전적 은혜와 십자가 대속사역으로 우리에게 온전히 보장되었다(요3:16). 그러므로 하박국이 말하는 믿음이란 단순한 하나님께 대한 신뢰뿐만 아니라 환난 가운데 있는 이스라엘을 구원하러 예수그리스도께서 장차 오실 것을 믿는 믿음을 포함한다.

2) 예수그리스도의 최후 심판과 성도의 궁극적 승리
하나님의 백성인 이스라엘을 억압하고 압제하였던 불의한 바벨론에 대한 심판은 반드시 있을 것이라는 것을 본 서는 보여주고 있다. 또한 하나님의 심판으로 인해 선민 이스라엘은 다시 회복될 것임을 말해 주고 있다. 이것은 장차 이 세상의 마지막 때에 있게 될 모든 악의 세력에 대한 예수그리스도의 최후 심판과 환난을 이겨낸 성도들의 궁극적인 승리를 예표한다고 볼 수 있다.

3. 하박국서의 핵심 단어, 핵심장

1) 핵심 단어 : 이신득의(以信得義)
이신득의 원리는 신·구약 성경 전반에 걸쳐 흐르는 성경의 핵심 사상이다. 이것은 구원의 조건이 인간에게 있지 않고 오직 하나님의 선물인 믿음에 있음을 보여 준다(롬3:28 ; 엡2:8). 그리고 이러한 원리는 단순한 교리의 차원에서 머물지 않으며 성도들이 실생활 가운데서 지켜야 할 참생명의 원천이다. 특히 성도들은 곳곳에서 악이 선을 이기고 의인이 고난 당한다 할지라도 의인은 믿음으로 말미암아 산다는 확신을 가지고 인내하며 살아야 할 것이다.

2) 핵심장 : 3장
본 서는 하나님과의 두 번에 걸친 질문과 대답을 통해 성도들이 삶 가운데서 제기할 수 있는 신앙의 문제에 대한 답을 주고 믿음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본 서의 핵심장은 모든 신앙의 문제를 해결 받고 그 기쁨으로 하나님께 찬양하는 하박국의 노래가 나오는 제3장이다. 여기서 하박국 선지자는 전에도 계셨고 지금도 계시고 영원히 계실 하나님을 공의로 열방을 통치하시며 자기 백성을 악한 세력의 손에서부터 온전히 구원해 주실 분으로 묘사하고 있다.

 

출처 : 갓피플 자료&지식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