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를 제한할 수 있는 자유

[고린도전서 10장 23절~33절]
23절 - 모든 것이 가하나 모든 것이 유익한 것은 아니요 모든 것이 가하나 모든 것이 덕을 세우는 것은 아니니
24절 - 누구든지 자기의 유익을 구하지 말고 남의 유익을 구하라
25절 - 무릇 시장에서 파는 것은 양심을 위하여 묻지 말고 먹으라
26절 - 이는 땅과 거기 충만한 것이 주의 것임이라
27절 - 불신자 중 누가 너희를 청할 때에 너희가 가고자 하거든 너희 앞에 차려 놓은 것은 무엇이든지 양심을 위하여 묻지 말고 먹으라
28절 - 누가 너희에게 이것이 제물이라 말하거든 알게 한 자와 그 양심을 위하여 먹지 말라
29절 - 내가 말한 양심은 너희의 것이 아니요 남의 것이니 어찌하여 내 자유가 남의 양심으로 말미암아 판단을 받으리요
30절 - 만일 내가 감사함으로 참여하면 어찌하여 내가 감사하는 것에 대하여 비방을 받으리요
31절 - 그런즉 너희가 먹든지 마시든지 무엇을 하든지 다 하나님의 영광을 위하여 하라
32절 - 유대인에게나 헬라인에게나 하나님의 교회에나 거치는 자가 되지 말고
33절 - 나와 같이 모든 일에 모든 사람을 기쁘게 하여 자신의 유익을 구하지 아니하고 많은 사람의 유익을 구하여 그들로 구원을 받게 하라

1. 능력이 선으로 인정받는 세상에서, 바울은 세상의 일들을 어떤 눈으로 바라보고 있습니까?(23절)
바울은 모든 것이 가능하지만, 모든 것이 유익하고 덕을 세우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합니다.
바울은 세상의 모든 일에 대해(만약 그것이 성경에서 말하는 죄가 아니라면) 자유로운 사람이었습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 안에서 구원받은 바울을 얽어매고 속박할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바울은 자유인이고, 그 자유는 어느 누구도 빼앗아 갈 수 없었습니다. 예를 들면, 바울은 시장에서 파는 것을 마음껏 사먹을 수 있는 자유가 있었습니다. 제물로 바쳐진 고기를 먹어도 전혀 거리낄 것이 없는 담대함과 자유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 모든 경우에 바울을 움직인 것은 그의 자유가 아니었습니다. 바울을 움직이게 한 요소는 과연 그것이 유익한 일인가, 덕을 세우는 일인가 하는 것이었습니다. 바울은 자유인이지만 다른 사람들의 유익과 덕을 세우기 위해 스스로 자유를 제한했습니다. 그가 자유를 포기한 까닭은 다른 사람들의 구원을 위함이고, 연약한 사람들의 성숙을 위함이었습니다. 성숙한 사람들은 자신만을 생각하지 않고 다른 사람들을 돌보며 자신의 자유를 포기합니다. 바울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자유가 아니라 공동체의 유익이었고, 연약한 사람들에게 덕을 세우는 것이었습니다.

2. 바울이 세상을 살면서 모든 일을 결정하는 기준은 무엇입니까?(24절) 이를 위해 그가 일상에서 제시한 예들은 무엇입니까?(25~30절)
바울은 자신의 유익을 구하지 말고 다른 사람들의 유익을 구하라고 권했습니다. 이것이 바울의 명제였습니다.
바울의 삶에서 첫 번째 명제는 자신의 유익을 구하지 말고 다른 사람들의 유익을 구하라는 것이었습니다. 하나님의 사람들은 다른 시각으로 세상을 바라봐야 합니다. 세상 사람들은 자신의 이익에 따라 움직이게 마련입니다. 자신의 욕구가 해결돼야 하고, 자신의 안전이 확보돼야 하며, 자신의 명예가 충족돼야 합니다. 그들의 중심에 항상 자신이 있습니다. 그래서 자신에게 이익이 되는 것에 관심을 갖고, 자신을 위해 다른 사람을 희생시켜서라도 이익을 얻고자 합니다. 그러나 하나님의 사람들에게 필요한 것은 다른 사람들의 유익을 보는 시각입니다. 바울은 이런 시각을 가진 사람이었습니다. 바울의 인생 법칙에는 다른 사람들의 유익이 있었습니다. 먼저 다른 사람들의 유익을 생각하면서 살아가는 것이 바울에게 또 다른 기쁨이었습니다. 무엇보다 그에게 다른 사람들을 섬김으로써 그들에게 영원한 생명과 천국을 나눠주는 기쁨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바울은 다른 사람들을 실족시키지 않으려 했고, 그것을 위해 기꺼이 자신의 자유를 제한했습니다. 세상은 다른 사람들의 유익을 귀하게 보는 사람들을 통해 더욱 좋아지고 천국을 바라보게 됩니다.

3. 바울에게 이웃들의 유익을 위해 사는 것 외에 또 다른 삶의 기준은 무엇입니까?(31절)
바울에게 또 다른 명제는 무슨 일을 하든지 하나님의 영광을 위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리스도인들의 가장 중요한 명제가 바로 이것입니다. 그리스도인들은 하나님을 위해 존재하는 사람들이기 때문입니다. 바울은 먹고 마시는 것조차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하라고 명령했습니다. 바울에게 전도뿐 아니라 사소한 모든 일이 하나님의 영광을 위한 것이었습니다. 흔히 우리는 세속적인 일과 성스러운 일로 나누곤 합니다. 그러나 하나님의 사람들에게 세속적인 일은 없습니다. 모든 일은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할 수 있고, 그 일에 충성하면 상을 받게 됩니다. 하찮게 보이는 일들, 예를 들면 거리를 청소하고 줄을 서서 차례를 기다리며 다른 사람을 배려하는 일 등은 결국 하나님을 위한 것이고 하나님의 영광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무슨 일을 하든지 마음의 중심이 하나님을 향해 있다면 그것으로 충분합니다. 바울에게 먹고 마시는 일은 매일 반복되는 사소한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는 귀한 기회였습니다. 우리도 그 귀한 기회를 갖고 있습니다. 우리가 바울과 다른 점은 귀한 기회를 자주 놓치면서도 그것을 알지 못한다는 사실입니다. 하나님의 일은 결코 멀리 있지 않습니다. 하나님은 우리 곁에 계시고, 모든 일에서 우리를 통해 영광 받기를 원하십니다.

4. 나는 일을 할 때 주위를 지나치게 의식하거나 전혀 의식하지 않아서 다른 사람들에게 상처를 주고 있지 않습니까?
우리는 한쪽으로 치우치기를 잘 합니다. 일을 하면서 주위의 눈치를 심하게 보거나 다른 사람들을 아예 무시하기도 합니다. 사람들에게 보이려고 일하는 것도 잘못이지만, 연약한 사람들이 있다는 것을 잊어버리고 무리하게 일을 진행하는 것도 잘못입니다. 다른 사람들도 자신의 행동을 이해할 것으로 여기고 마음대로 말하고 행동하는 것은 바람직한 자세가 아닙니다. 우리는 하나님과 연약한 사람들 사이에 서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하나님도 의식하고 연약한 사람도 의식하면서 지혜롭게 말하고 행동해야 합니다.

5. 모든 일을 할 때 하나님의 영광을 최우선으로 둡니까? 하나님을 위해 기꺼이 손해 보기를 감수합니까?
우리는 이런저런 상을 받는 사람들이 ‘먼저 하나님께 영광을 돌립니다’라고 말하는 것을 종종 봅니다. 그들은 분명히 자랑스러운 신앙인들이고,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사람들입니다. 우리와 같은 평범한 사람들도 다음과 같은 말을 합니다. ‘하나님의 은혜입니다. 하나님이 도와주셨습니다.’ 이런 말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좋은 일입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이런 말과 함께 겸손하고 신실한 삶을 살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리스도인임을 공공연하게 자랑했던 공인들이 믿지 않는 사람들에게 본이 되지 못하는 것을 보면 우리는 실망하게 됩니다. 그리스도인들은 말보다 행동과 삶으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려야 합니다.

 

출처 : 생명의 삶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