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자가의 도

[고린도전서 1장 18절~31절]
18절 - 십자가의 도가 멸망하는 자들에게는 미련한 것이요 구원을 받는 우리에게는 하나님의 능력이라
19절 - 기록된 바 내가 지혜 있는 자들의 지혜를 멸하고 총명한 자들의 총명을 폐하리라 하였으니
20절 - 지혜 있는 자가 어디 있느냐 선비가 어디 있느냐 이 세대에 변론가가 어디 있느냐 하나님께서 이 세상의 지혜를 미련하게 하신 것이 아니냐
21절 - 하나님의 지혜에 있어서는 이 세상이 자기 지혜로 하나님을 알지 못하므로 하나님께서 전도의 미련한 것으로 믿는 자들을 구원하시기를 기뻐하셨도다
22절 - 유대인은 표적을 구하고 헬라인은 지혜를 찾으나
23절 - 우리는 십자게 못 박힌 그리스도를 전하니 유대인에게는 거리끼는 것이요 이방인에게는 미련한 것이로되
24절 - 오직 부르심을 받은 자들에게는 유대인이나 헬라인이나 그리스도는 하나님의 능력이요 하나님의 지혜니라
25절 - 하나님의 어리석음이 사람보다 지혜롭고 하나님의 약하심이 사람보다 강하니라
26절 - 형제들아 너희를 부르심을 보라 육체를 따라 지혜로운 자가 많지 아니하며 능한 자가 많지 아니하며 문벌 좋은 자가 많지 아니하도다
27절 - 그러나 하나님께서 세상의 미련한 것들을 택하사 지혜 있는 자들을 부끄럽게 하려 하시고 세상의 약한 것들을 택하사 강한 것들을 부끄럽게 하려 하시며
28절 - 하나님께서 세상의 천한 것들과 멸시 받는 것들과 없는 것들을 택하사 있는 것들을 폐하려 하시나니
29절 - 이는 아무 육체도 하나님 앞에서 자랑하지 못하게 하려 하심이라
30절 - 너희는 하나님으로부터 나서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고 예수는 하나님으로부터 나와서 우리에게 지혜와 의로움과 거룩함과 구원함이 되셨으니
31절 - 기록된 바 자랑하는 자는 주 안에서 자랑하라 함과 같게 하려 함이라

말씀 포인트 : 십자가는 기독교 신앙의 핵심입니다. 십자가를 빼놓고는 기독교 신앙을 생각할 수 없습니다. 십자가에는 죄를 징벌하는 정의와 죄인을 용서하는 사랑이 절묘하게 조화를 이루어 나타납니다. 하나님은 십자가를 통해 죄를 심판하시고, 죄인을 구원하셨습니다. 아무리 상황이 바뀌고 세월이 흘러도 우리가 의지할 것은 예수님의 십자가뿐입니다.

1) 사도 바울이 전한 것은 무엇이었나요?(18, 23절)
사도 바울은 십자가에 못 박힌 그리스도, 다시 말해 십자가의 도를 전했습니다. 십자가에는 하나님의 정의와 사랑이 절묘하게 나타나 있습니다. 본래 정의란 죄를 심판하는 것입니다. 죄의 삯은 사망이기 때문에 죄를 지은 사람은 죽어야 합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모두 죽어야 할 존재입니다. 그런데 하나님이 그런 우리를 불쌍히 여기시고 구원하기 위해 강구하신 방법이 십자가였습니다. 예수님이 우리 죄를 대신 짊어지시고 십자가에서 죽으심으로써 죄의 삯은 사망이라는 공의를 이루셨습니다. 동시에 예수님을 믿는 사람들은 구원을 얻게 하심으로써 우리를 향한 사랑도 성취하셨습니다. 구원을 받으려면 반드시 죄와 사망이 해결되어야 하는데, 십자가는 이 둘을 동시에 해결했습니다. 십자가의 복음이야말로 기독교 신앙의 핵심입니다. 오늘날 우리가 세상에 선포할 것 역시 예수님의 십자가 복음뿐입니다.

2) 십자가의 도, 십자가에 못 박힌 그리스도에 대해 사람들은 어떤 반응을 보였나요?(18, 23~24절)
사도 바울이 십자가에 못 박힌 예수 그리스도, 즉 십자가의 도를 전하자 사람들의 반응은 두 가지로 나타났습니다. 우선 십자가의 도를 거부하는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유대인들은 표적을 구하는 사람들이었는데, 예수님이 십자가에서 대항하지 못하고 죽은 것은 표적이 될 수 없었습니다. 만약 예수님이 십자가에서 뛰어 내려오셨다면 오히려 믿었을 것이라는 말입니다. 그러나 그렇게 되면 우리를 대신하여 죽으시고, 피 흘려 죄를 씻으시려는 계획이 성취될 수 없었습니다. 한편, 헬라인들은 지혜를 구하는 사람들이었기에 하나님이신 예수님이 인간들에 의해 십자가에서 죽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라고 비웃었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이 어리석어 보이는 것이야말로 하나님의 극적인 사랑의 표현임을 깨닫지 못했습니다. 반면, 부르심을 입은 그리스도인들은 십자가의 도를 통하여 구원의 능력을 맛보았고, 그것이 하나님의 지혜임을 깨달았습니다. 그리하여 그들은 십자가를 사랑하고 증인이 되었습니다. 오늘날도 십자가에 대한 반응은 둘로 나뉘고 있습니다.

3) 그리스도인인 우리는 자랑하려면 ‘주 안에서’ 자랑해야 합니다.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참조 27~31절)
구원이란 인간적으로 이해되거나 합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우선 죄인이 구원을 받는 것 자체가 불합리합니다. 죄인은 벌을 받아 죽어야 마땅합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우리를 사랑하셔서 구원하셨습니다. 또 신이신 하나님이 사람이 되어 십자가를 진다는 것은 헬라 철학의 이원론에서는 성립될 수 없는 논리였습니다. 헬라 철학자들은 신의 세계와 인간의 세계 사이에는 깊은 심연이 가로 놓여 있어서 왕래가 불가능하다고 믿었습니다. 그러므로 신이 인간이 되는 성육신 자체를 인정할 수 없었습니다. 더구나 그분이 십자가에서 무기력하게 죽는다는 것은 생각할 수도 없었습니다. 그러므로 구원의 신비는 인간의 지혜로 이해되는 게 아닙니다. 하나님의 사랑을 믿음으로 얻는 은총이었습니다. 그러므로 구원을 얻은 우리는 오직 주님만 자랑해야 합니다. 하나님의 은혜와 사랑만 자랑해야 합니다. 우리 자신에게는 자랑할 만한 것이 아무것도 없습니다.

출처 : 생명의 삶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