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하기 싫거든 먹지도 말게 하라
[데살로니가후서 3장 1절~18절]
1절 - 끝으로 형제들아 너희는 우리를 위하여 기도하기를 주의 말씀이 너희 가운데서와 같이 퍼져 나가 영광스럽게 되고
2절 - 또한 우리를 부당하고 악한 사람들에게서 건지시옵소서 하라 믿음은 모든 사람의 것이 아니니라
3절 - 주는 미쁘사 너희를 굳건하게 하시고 악한 자에게서 지키시리라
4절 - 너희에 대하여는 우리가 명한 것을 너희가 해하고 또 행할 줄을 우리가 주 안에서 확신하노니
5절 - 주께서 너희 마음을 인도하여 하나님의 사랑과 그리스도의 인내에 들어가게 하시기를 원하노라
6절 - 형제들아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너희를 명하노니 게으르게 행하고 우리에게서 받은 전통대로 행하지 아니하는 모든 형제에게서 떠나라
7절 - 어떻게 우리를 본받아야 할지를 너희가 스스로 아나니 우리가 너희 가운데서 무질서하게 행하지 아니하며
8절 - 누구에게서든지 음식을 값없이 먹지 않고 오직 수고하고 애써 주야로 일함은 너희 아무에게도 폐를 끼치지 아니하려 함이니
9절 - 우리에게 권리가 없는 것이 아니요 오직 스스로 너희에게 본을 보여 우리를 본받게 하려 함이니라
10절 - 우리가 너희와 함께 있을 때에도 너희에게 명하기를 누구든지 일하기 싫어하거든 먹지도 말게 하라 하였더니
11절 - 우리가 들은 즉 너희 가운데 게으르게 행하여 도무지 일하지 아니하고 일을 만들기만 하는 자들이 있다 하니
12절 - 이런 자들에게 우리가 명하고 주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권하기를 조용히 일하여 자기 양식을 먹으라 하노라
13절 - 형제들아 너희는 선을 행하다가 낙심하지 말라
14절 - 누가 이 편지에 한 우리 말을 순종하지 아니하거든 그 사람을 지목하여 사귀지 말고 그로 하여금 부끄럽게 하라
15절 - 그러나 원수와 같이 생각하지 말고 형제 같이 권면하라
16절 - 평강의 주께서 친히 때마다 일마다 너희에게 평강을 주시고 주께서 너희 모든 사람과 함께 하시기를 원하노라
17절 - 나 바울은 친필로 문안하노니 이는 편지마다 표시로서 이렇게 쓰노라
18절 -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가 너희 무리에게 있을지어다
말씀 포인트 : 때로 ‘게으름’을 합리화하는 핑계로써 ‘믿음’을 사용하는 오류를 범할 때가 있습니다. 하나님이 나의 상황을 다 아시고 모든 것을 책임지시기에 나는 오직 기다리고 순종하기만 하면 된다는 태도를 취하면서 정작 자신은 아무것도 하지 않고 책임을 회피하며 지나치게 의존적인 신앙으로 치우쳐서는 안 됩니다. 어느새 자신 안에 영적 게으름이 젖어든 요소는 없는지 찾아보고, 바울의 권면처럼 자신에게 주어진 생(生) 앞에 신실하고 진실하고 성실한 모습을 회복하도록 인도해 주십시오.
1) 바울이 데살로니가 성도들에게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명령한 것은 무엇인가요?(6절)
바울은 게으르게 행하고 받은 전통대로 행하지 않는 모든 형제에게서 떠나라고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명합니다.
바울은 성도들 가운데 규모 없이 행하고, 바울이 전수한 말씀대로 행하지 않는 사람들에게서 과감히 떠나라고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권합니다. 데살로니가 성도들 대부분은 바울이 전한 복음의 말씀을 예수 그리스도의 도로 받아들이고, 삶 가운데 말씀을 실천하는 믿음의 본을 보였습니다. 그러나 일부 성도들은 예수 그리스도가 곧 재림하신다는 사실을 기반으로 지나친 종교 열광주의에 빠져 현실을 도피하고 무절제하며 절제하지 않는 삶을 살았습니다. 이미 바울이 그런 사람들에게 몇 번이나 경고를 했음에도 그들은 바울의 권면을 무시하고 자기 소견에 옳은 대로 마구 행했습니다. 이에 더 이상의 권면과 논쟁은 불필요하다고 생각한 바울은 ‘떠나라’는 특단의 조치를 취한 것입니다.
2) 바울은 일하기 싫어하는 사람들에 대해 어떻게 하라고 권면하나요?(10~12절)
바울은 전부터 일하기 싫어하거든 먹지도 말게 하라고 했고, 게으르게 행하며 일하지 않고 일만 만드는 사람들에게는 조용히 일하며 자기 양식을 먹으라고 권하게 했습니다.
바울은 특히 일하기 싫어하는 게으른 자들을 향하여 아주 강한 어조로 ‘일하기 싫어하거든 먹지도 말게 하라’라는 명령을 내립니다. 이 말은 바울의 노동관을 나타내는 말이기도 합니다. 하나님은 사람을 창조하실 때 ‘생육하고 번성하고 땅에 충만하고 땅을 정복하고 다스리라’(창 1:28)라는 할 일을 주셨습니다. 예수님도 “아버지께서 이제까지 일하시니 나도 일한다”(요 5:17)고 하시며, 공생애 기간 동안 성실히 최선을 다해 그리스도의 임무에 충실하셨습니다. 자신에게 주어진 자리에서 성실히 책임을 다하는 태도가 영성이라고 믿는 바울에게 게으름은 악한 죄였습니다. 잘못된 열망으로 생업을 포기하고 빈둥거리며 공동체를 어지럽히는 사람들에게는 조용히 일하며 자기 생업에 충실할 것을 강한 의지로 권면하고 있습니다.
3) 바울이 선을 행하는 사람들에게 격려한 말은 무엇인가요? 또한 바울의 말을 거부하고 악을 행하는 사람들을 어떻게 대하라고 말하나요?(13~15절)
선을 행하다 낙심하지 말고, 교훈의 말에 순종하지 않는 사람은 지목하여 사귀지 말고 부끄럽게 하되, 원수같이 하지 말고 형제같이 사랑으로 권면하라고 합니다.
악하고 게으른 자들을 향한 권고를 마친 바울은 다음으로 충성되고 신실한 하나님의 사람들을 향해 격려와 도전의 메시지를 전합니다. 먼저 ‘선’을 행하다가 낙심하지 말라고 위로합니다. 데살로니가 교인들은 초대교회 당시의 여러 박해를 겪고 있는 상황이었기에 바울은 먼저 교인들을 향해 낙심하지 말라는 격려를 보냅니다. 또 바울은 교회에서 계속 악을 행하는 사람들을 눈여겨보았다가 성찬이나 애찬 같은 교회의 공식적인 모임에 참석시키지 말라고 가르칩니다. 그러나 단순히 그 사람을 고립시키고 공격하기 위함이 아니라, 교제를 중단함으로써 잘못을 경고하고 바로 잡는 계기로 삼기 위함임을 추가로 설명합니다. 바울의 권계는 잘못한 사람을 공격하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그가 미처 깨닫지 못한 잘못을 깨달아 부끄러움을 느끼며 다시 회복되어 공동체 안으로 돌아올 것을 염두에 둔 것임을 기억해야 합니다.
출처 : 생명의 삶
'데살로니가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의 재림이 위로가 되는 삶을 살라 (살후 1:6~12) (0) | 2013.06.21 |
---|---|
고난받는 성도들을 향한 하나님의 사랑 (살후 1:1~5) (0) | 2013.06.21 |
믿음은 모든 사람의 것이 아니다 (살후 3:1~5) (0) | 2012.11.02 |
[성경 QA자료] 데살로니가후서 3장 (0) | 2012.05.16 |
[성경 QA자료] 데살로니가후서 2장 (0) | 2012.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