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도의 거룩한 삶
[신명기 14장 1절~21절]
1절 - 너희는 너희 하나님 여호와의 자녀이니 죽은 자를 위하여 자기 몸을 베지 말며 눈썹 사이 이마 위의 털을 밀지 말라
2절 - 너는 네 하나님 여호와의 성민이라 여호와께서 지상 만민 중에서 너를 택하여 자기 기업의 백성으로 삼으셨느니라
3절 - 너는 가증한 것은 무엇이든지 먹지 말라
4절 - 너희가 먹을 만한 짐승은 이러하니 곧 소와 양과 염소와
5절 - 사슴과 노루와 불그스름한 사슴과 산 염소와 볼기가 흰 노루와 뿔이 긴 사슴과 산양들이라
6절 - 짐승 중에 굽이 갈라져 쪽발도 되고 새김질도 하는 모든 것은 너희가 먹을 것이니라
7절 - 다만 새김질을 하거나 굽이 갈라진 짐승 중에도 너희가 먹지 못할 것은 이것이니 곧 낙타와 토끼와 사반, 그것들은 새김질은 하나 굽이 갈라지지 아니하였으니 너희에게 부정하고
8절 - 돼지는 굽은 갈라졌으나 새김질을 못하므로 너희에게 부정하니 너희는 이런 것의 고기를 먹지 말 것이며 그 사체도 만지지 말 것이니라
9절 - 물에 있는 모든 것 중에서 이런 것은 너희가 먹을 것이니 지느러미와 비늘 있는 모든 것은 너희가 먹을 것이요
10절 - 지느러미와 비늘이 없는 모든 것은 너희가 먹지 말지니 이는 너희에게 부정함이니라
11절 - 정한 새는 모두 너희가 먹으려니와
12절 - 이런 것은 먹지 못할지니 곧 독수리와 솔개와 물수리와
13절 - 매와 새매와 매의 종류와
14절 - 까마귀 종류와
15절 - 타조와 타흐마스와 갈매기와 새매 종류와
16절 - 올빼미와 부엉이와 흰 올빼미와
17절 - 당아와 올응과 노자와
18절 - 학과 황새 종류와 대승과 박쥐며
19절 - 또 날기도 하고 기어다니기도 하는 것은 너희에게 부정하니 너희는 먹지 말 것이나
20절 - 정한 새는 모두 너희가 먹을지니라
21절 - 너희는 너희의 하나님 여호와의 성민이라 스스로 죽은 모든 것은 먹지 말 것이나 그것을 성중에 거류하는 객에게 주어 먹게 하거나 이방인에게 파는 것은 가하니라 너는 염소 새끼를 그 어미의 젖에 삶지 말지니라
말씀 포인트 :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을 자녀이자 성민이라고 하셨습니다. 하나님이 특별히 선택하고 ‘거룩한 백성’이라 부르신 그들에게는 거룩한 삶이 요구되었습니다. 거룩하다는 것은 구별한다는 의미입니다. 그들은 다른 민족들과 똑같이 살아서는 안 됩니다. 풍속이나 음식 등 모든 면에서 구별되어 하나님이 명하시는 대로 살아야 합니다.
1) 이스라엘 백성이 죽은 사람을 애도할 때 자기 몸을 베지 말고, 눈썹 사이 이마 위의 털을 밀지 말아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1절)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에게 죽은 자를 위하여 몸을 베지도 말고, 눈썹 사이 이마 위의 털을 밀지도 말라고 명하셨습니다. 이것은 고대사회에서 죽은 자를 애도하는 방법이었습니다. 문제는 이것이 애도에서 그치지 않고 죽은 자에 대한 숭배까지 포함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스라엘 백성이 들어가게 될 가나안의 민족들은 이런 풍속에 젖어 있었습니다. 하나님의 자녀인 이스라엘은 그들의 풍속을 본받아서는 안 됩니다. 군인의 삶과 행동이 민간인과는 다르듯이, 신분이 다르면 삶과 행동이 모두 달라야 합니다. 이처럼 하나님의 자녀들은 사상과 행동, 삶의 목표와 모습이 다른 사람들과는 달라야 합니다.
2) 어떻게 이스라엘이 ‘여호와의 성민’(하나님의 거룩한 백성)이 되었나요?(2절)
2절에서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에게 ‘여호와의 성민’이라는 또 다른 칭호를 부여하십니다. 그들이 하나님 앞에서 다른 민족과는 구별된 하나님의 백성이 되었다는 사실은 정말 영광스러운 것입니다. 그들이 성민이 된 것은 전적으로 하나님의 뜻이었습니다. 하나님이 지상 만민 중에서 친히 그들을 택하셔서 자기 백성을 삼으신 것입니다. 이것은 부담이 아니라 영광입니다. 하나님은 일찍이 유목민이던 아브라함을 택하셨고, 그들의 후손을 택해 자기 백성으로 삼으셨습니다. 하나님은 당시 애굽의 노예였던 그들을 부르시고 그들을 구원하셨습니다. 선택받았다는 것은 곧 구원받았다는 것이요, 이것은 전적인 하나님의 은혜입니다. 하나님의 거룩한 백성인 성도들 역시 모습이나 행위 때문에 선택받은 것이 아닙니다. 그것은 하나님의 전적인 선택이자 은혜입니다.
3) 하나님의 자녀요, 하나님의 거룩한 백성이라는 신분은 우리에게 어떤 의미가 있나요?
하나님은 친히 이스라엘의 아버지가 되셔서 그들을 끔찍이 사랑하시며 보호하셨습니다. 이 사실은 엄청난 축복입니다. 신명기 33:29은 이스라엘이 하나님의 품 안에서 누리는 행복에 대해 이렇게 말합니다. “이스라엘이여 너는 행복자로다 여호와의 구원을 너 같이 얻은 백성이 누구뇨 그는 너를 돕는 방패시요 너의 영광의 칼이시로다 네 대적이 네게 복종하리니 네가 그들의 높은 곳을 밟으리로다.” 이제 이스라엘 백성은 이 영광을 누리면서 음식을 비롯한 모든 면에서 구별된 삶을 통해 하나님을 기쁘시게 해야 했습니다. 성도에겐 ‘성민’다운 거룩함이 요구됩니다. 거룩함이란 구별됨, 남과 같지 않음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삶은 어려운 것이 아니라 궁극적으로 우리를 선한 길로 이끄시는 하나님의 은혜이자 기쁨의 사명입니다.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삶을 사는 것보다 더 영광스러운 일은 없습니다. 하나님의 성민이요, 자녀라는 신분은 우리의 모든 삶을 새롭게 하는 놀라운 은혜입니다.
출처 : 생명의 삶
'신명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기의 원천은 하나님 (신 20:1~9) (0) | 2013.03.26 |
---|---|
도피성을 두라 (신 19:1~13) (0) | 2013.03.26 |
참 행복의 길 (신 12:1~7) (0) | 2013.03.16 |
광야로 인도하신 이유 (신 8:11~20) (0) | 2013.03.16 |
들으라 이스라엘! (신 6:1~15) (0) | 2013.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