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만의 흉계

[에스더 3장 1절~15절]
1절 - 그 후에 아하수에로 왕이 아각 사람 함므다다의 아들 하만의 지위를 높이 올려 함께 있는 모든 대신 위에 두니
2절 - 대궐 문에 있는 왕의 모든 신하들이 다 왕의 명령대로 하만에게 꿇어 절하되 모르드개는 꿇지도 아니하고 절하지도 아니하니
3절 - 대궐 문에 있는 왕의 신하들이 모르드개에게 이르되 너는 어찌하여 왕의 명령을 거역하느냐 하고
4절 - 날마다 권하되 모르드개가 듣지 아니하고 자기는 유다인임을 알렸더니 그들이 모르드개의 일이 어찌 되나 보고자 하여 하만에게 전하였더라
5절 - 하만이 모르드개가 무릎을 꿇지도 아니하고 절하지도 아니함을 보고 매우 노하더니
6절 - 그들이 모르드개의 민족을 하만에게 알리므로 하만이 모르드개만 죽이는 것이 부족하다고 생각하고 아하수에로의 온 나라에 있는 유다인 곧 모르드개의 민족을 다 멸하고자 하더라
7절 - 아하수에로 왕 제십이년 첫째 달 곧 니산월에 무리가 하만 앞에서 날과 달에 대하여 부르 곧 제비를 뽑아 열두째 달 곧 아달월을 얻은지라
8절 - 하만이 아하수에로 왕에게 아뢰되 한 민족이 왕의 나라 각 지방 백성 중에 흩어져 거하는데 그 법률이 만민의 것과 달라서 왕의 법률을 지키지 아니하오니 용납하는 것이 왕에게 무익하니이다
9절 - 왕이 옳게 여기시거든 조서를 내려 그들을 진멸하소서 내가 은 일만 달란트를 왕의 일을 맡은 자의 손에 맡겨 왕의 금고에 드리리이다 하니
10절 - 왕이 반지를 손에서 빼어 유다인의 대적 곧 아각 사람 함므다다의 아들 하만에게 주며
11절 - 이르되 그 은을 네게 주고 그 백성도 그리하노니 너의 소견에 좋을 대로 행하라 하더라
12절 - 첫째 달 십삼일에 왕의 서기관이 소집되어 하만의 명령을 따라 왕의 대신과 각 지방의 관리와 각 민족의 관원에게 아하수에로 왕의 이름으로 조서를 쓰되 곧 각 지방의 문자와 각 민족의 언어로 쓰고 왕의 반지로 인치니라
13절 - 이에 그 조서를 역졸에게 맡겨 왕의 각 지방에 보내니 열두째 달 곧 아달월 십삼일 하루 동안에 모든 유다인을 젊은이 늙은이 어린이 여인들을 막론하고 죽이고 도륙하고 진멸하고 또 그 재산을 탈취하라 하였고
14절 - 이 명령을 각 지방에 전하기 위하여 조서의 초본을 모든 민족에게 선포하여 그 날을 위하여 준비하게 하라 하였더라
15절 - 역졸이 왕의 명령을 받들어 급히 나가매 그 조서가 도성 수산에도 반포되니 왕은 하만과 함께 앉아 마시되 수산 성은 어지럽더라

* 주제별 목록 작성
하만과 모르드개의 갈등
1절 : 하만이 최고의 지위에 오름
2절 : 하만에게 꿇어 절하지 않는 모르드개
5절 : 하만의 분노
6절 : 하만이 모르드개와 유다 민족을 멸절시킬 계획을 세움

* 도움말
1. 하만(1절) : 아각인 함므다다의 아들. 바사의 총리로 열 아들이 있었다(에 9:10).
2. 절하지도 아니하니(2절) : ‘결코 무릎 꿇지 않았다’라는 뜻으로, 절하는 것은 존경의 표시 이상으로 숭배 차원의 예의였다.
3. 니산월(7절) : 태양력으로는 3월과 4월이다.
4. 부르(7절) : 원뜻은 ‘깨뜨리다, 부스러뜨리다’로 ‘제비’를 가리킨다. 던지거나 용기에서 뽑는 방법으로 하나님의 뜻을 묻고 판단하는 신탁의 도구다. 이 단어에서 유다인들이 하만의 대학살 음모에서 벗어난 것을 기념하는 ‘부림절’이 생겨났다.

* 말씀묵상
1. 무릎 꿇지 않는 모르드개
하만은 왕의 총애를 입고 대신들 중에서 최고의 자리에 오르게 되었습니다. 그런 그에게 신하들과 백성이 모두 무릎을 꿇었습니다. 그러나 모르드개는 이러한 숭배를 정면으로 거부하며 신앙의 지조를 지키려고 했습니다. 결국 신앙을 굳게 지키려는 그의 태도는 미움을 받는 원인이 되었습니다. 하만에게 있어서 모르드개의 행동은 참을 수 없는 모욕이었습니다. 극렬한 분노에 사로잡힌 하만은 모르드개 한 사람뿐만 아니라 유다 민족 전체에 보복할 것을 결심합니다. 그는 한 민족의 존망보다 자신의 자존심이 더 중요한 사람이었습니다.

2. 위기에 처한 유다 민족
우리는 하만을 통해 사악한 교만이 얼마나 큰 재앙을 불러일으키는지 알 수 있습니다. 그는 개인에게서 받은 모멸감을 당사자에게 보복하는 것만으로는 분노가 풀리지 않는 사람이었습니다. 그는 악을 계획하고 행하는 일에 있어서 치밀함을 보여줍니다. 그는 통치 집단 안에서 조직을 어떻게 움직여야 하는지 아는 사람이었습니다. 그는 왕의 권위를 이용하기 위해 왕 앞에 아부하며 뒷거래를 하고, ‘왕명’을 빌어 자신의 보복이 합법적이고 체계적으로 시행되도록 조치하였습니다. 일은 신속하게 진행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페르시아 땅에서 이방인 포로 민족으로 살고 있던 유다인들에게 최대의 위기가 닥쳐옵니다. 유다인을 멸절시키기 위한 하만의 계획이 왕의 허락하에 추진되기 시작했습니다.

[도움질문]
* 본문 관찰
1. 본문에서 하만과 모르드개 사이에 갈등이 일어나게 된 배경을 찾아 살펴보십시오(주제별 목록 작성 참조).
2. 하만이 모르드개의 행동에 대해 나타낸 반응과 행동을 볼 때 알 수 있는 그의 특징은 무엇입니까?(5-6절)
* 깊은 묵상
1. 여러분은 소신을 지키려다 위기에 처한 적이 있습니까? 그럴 때 우리는 어떤 태도로 대처해야 합니까?
2. 하나님께서는 한 민족의 존망보다 자신의 명예와 자존심만을 더 중요하게 여기는 지도자를 어떻게 보시겠습니까?


제공:프리셉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