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의 결단과 실천
[에스라 10장 16절~44절]
16절 - 사로잡혔던 자들의 자손이 그대로 한지라 제사장 에스라가 그 종족을 따라 각각 지명된 족장들 몇 사람을 선임하고 열째 달 초하루에 앉아 그 일을 조사하여
17절 - 첫째 달 초하루에 이르러 이방 여인을 아내로 맞이한 자의 일 조사하기를 마치니라
18절 - 제사장의 무리 중에 이방 여인을 아내로 맞이한 자는 예수아 자손 중 요사닥의 아들과 그의 형제 마아세야와 엘리에셀과 야립과 그달랴라
19절 - 그들이 다 손을 잡아 맹세하여 그들의 아내를 내보내기로 하고 또 그 죄로 말미암아 숫양 한 마리를 속건제로 드렸으며
20절 - 또 임멜 자손 중에서는 하나니와 스바댜요
21절 - 하림 자손 중에서는 마아세야와 엘리야와 스마야와 여히엘과 웃시야요
22절 - 바스훌 자손 중에서는 엘료에내와 마아세야와 이스마엘과 느다넬과 요사밧과 엘라사였더라
23절 - 레위 사람 중에서는 요사밧과 시므이와 글라야라 하는 글리다와 브다히야와 유다와 엘리에셀이었더라
24절 - 노래하는 자 중에서는 엘리아십이요 문지기 중에서는 살룸과 델렘과 우리였더라
25절 - 이스라엘 중에서는 바로스 자손 중에서는 라먀와 잇시야와 말기야와 미야민과 엘르아살과 말기야와 브나야요
26절 - 엘람 자손 중에서는 맛다냐와 스가랴와 여히엘과 압디와 여레못과 엘리야요
27절 - 삿두 자손 중에서는 엘료에내와 엘리아십과 맛다냐와 여레못과 사밧과 아시사요
28절 - 베배 자손 중에서는 여호하난과 하나냐와 삽배와 아들래요
29절 - 바니 자손 중에서는 므술람과 말룩과 아다야와 야숩과 스알과 여레못이요
30절 - 바핫모압 자손 중에서는 앗나와 글랄과 브나야와 마아세야와 맛다냐와 브살렐과 빈누이와 므낫세요
31절 - 하림 자손 중에서는 엘리에셀과 잇시야와 말기야와 스마야와 시므온과
32절 - 베냐민과 말룩과 스마랴요
33절 - 하숨 자손 중에서는 맛드내와 맛닷다와 사밧과 엘리벨렛과 여레매와 므낫세와 시므이요
34절 - 바니 자손 중에서는 마아대와 아므람과 우엘과
35절 - 브나야와 베드야와 글루히와
36절 - 와냐와 므레못과 에랴십과
37절 - 맛다냐와 맛드내와 야아수와
38절 - 바니와 빈누이와 시므이와
39절 - 셀레먀와 나단과 아다야와
40절 - 막나드배와 사새와 사래와
41절 - 아사렐과 셀레먀와 스마랴와
42절 - 살룸과 아마랴와 요셉이요
43절 - 느보 자손 중에서는 여이엘과 맛디디야와 사밧과 스비내와 잇도와 요엘과 브나야더라
44절 - 이상은 모두 이방 여인을 아내로 맞이한 자라 그 중에는 자녀를 낳은 여인도 있었더라
* 주제별 목록 작성
이방 여인을 취한 자들의 명단
18-22절 : 제사장의 무리 중
23절 : 레위 사람 중
24절 : 노래하는 자 중 / 문지기 중
25-43절 : 이스라엘 중
* 도움말
1. 열째 달 초하루, 첫째 달 초하루(16-17절) : 이들이 조사에 소요한 기간은 안식일을 제외하고 75-76일에 달했다. 이 조사는 그만큼 광범위하면서도 철저하게 진행되었다. 이는 이방인과 통혼한 경우가 많았다는 사실에 대한 근거도 된다.
2. 다 손을 잡아(19절) : 자신들이 약속한 바에 대한 굳은 의지를 표명하는 엄숙한 행동이다.
3. 속건제(19절) : 일반적으로 속건제는 하나님과 이웃에 해를 끼쳤으나 특별한 고의가 없었을 경우에 드렸던 반면, 속죄제는 하나님과 연관된 보다 심각한 범죄에 대해 드려졌다(레 4-8장의 광범위한 규정 참조). 따라서 이 경우에는 오히려 속죄제를 드리는 것이 타당했다. 보다 넓은 의미에서는 속건제를 속죄제 가운데 하나로 이해하는 견해도 있다.
* 말씀묵상
1. 실행된 개혁
이제 이스라엘 백성들은 결단한 그대로 개혁을 실행합니다. 그 과정을 보면 첫째, 개혁의 대원칙이 분명했습니다. 그것은 에스라를 통해 선포된 하나님의 율법입니다. 원칙이 분명하지 않은 개혁은 곧 방향성을 잃습니다. 그러나 지금 이들은 분명한 목적의식을 갖고 있습니다. 둘째, 개혁이 구체적으로 실행되었습니다. 이들은 수정안과 본격적인 조사를 거쳐 구체적인 명단을 밝혀냈고(16-17절), 이들의 계획은 대상자들이 “다 손을 잡아 맹세”(19절)하고 “속건제”(19절)를 드리는 단계까지 진행되었습니다. 셋째, 이들의 개혁에는 반대를 극복하는 추진력이 있었습니다. 본문은 분명 개혁에 저항하는 세력들이 존재했음을 말해줍니다. 그러나 하나님의 영광을 목적으로 한 개혁을 막을 수는 없습니다.
2. 죄의 상처
본문에서 개혁이 일사천리로 진행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3개월 간의 철저한 조사 결과, 작성된 명단은 (중복자를 고려할 때 논란의 여지는 있으나) 약 112명이었고 그 계층 역시 제사장(18-22절), 레위인(23절), 성전 봉사자(14절), 일반 백성(25-43절) 등 광범위했습니다.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결혼했던 이방 여인들과 이혼을 해야 했습니다. 더욱이 그 가운데는 이미 자녀를 낳은 여인도 있었습니다(44절). 하나님의 율법을 어겨 결혼했던 유대 남자들의 욕심 때문에 많은 이방 여인들과 자녀들이 상처를 입게 된 것입니다. 죄는 언제나 상처를 만들고, 상처는 흉터를 남깁니다. 상처는 치유되어야만 합니다. 그러나 상처를 아예 만들지 않는 것이 치유하는 것보다 낫습니다. 오늘날 나의 결정과 행동이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 분별할 수 있는 지혜가 필요합니다.
[도움질문]
* 본문 관찰
1. 본문에서 이방 여인을 취한 사람들의 명단과 부류를 살펴보십시오(주제별 목록 작성 참조).
2. 이스라엘 백성들은 개혁을 실행하면서 무엇으로 자신들의 결단을 하나님께 보여 드렸습니까?(19절)
* 깊은 묵상
1. 본문을 통해 여러분이 지금 추진하고 있는 일에 적용할 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2. 여러분은 언제나 자신의 선택에 대한 결과를 생각하고 행동합니까?
제공:프리셉트
'에스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약속의 땅으로 돌아가는 순종 (스 2:1~42) (0) | 2014.09.16 |
---|---|
이방 왕 고레스를 움직이신 하나님 (스 1:1~11) (0) | 2014.09.15 |
이스라엘의 회개와 개혁 (스 10:1~15) (0) | 2013.05.11 |
에스라의 회개 (스 9:5~15) (0) | 2013.05.11 |
속죄와 재범 (스 8:28~9:4) (0) | 2013.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