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호세아서의 위치

호세아의 명칭은 저자의 이름에서 온 것이다. 그 이름은 구원이란 뜻이다. 호세아가 12소선지서 중 맨 앞에 기록되어진 이유는 이 책이 그중에서 가장 먼저 기록된 것 때문이 아니라 그것들 중에서 가장 방대한 책이기 때문일 것이다. 물론 스가랴서가 호세아서보다 조금 더 길지만 내용이 포로 시대 후의 것이기 때문이다.
대체로 학자들의 일반적인 결론은 요엘서의 연대를 유다왕 요아스 시대(B.C.835-796)로 보는데 호세아서는 여로보암 2세때(B.C.793-753)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런 점들로 미루어 볼때 호세아서가 12소선지서의 첫째 책이 된 것은 그 연대도 고려한 것이겠지만 특별히 그 분량을 생각한 때문일 것이다.

2. 호세아서의 세가지 악

1) 우상 숭배
예배는 종교의 중심이다. 예배를 통해서 사람은 그가 믿는 하나님께 경의를 표하며, 하나님과 의식적인 교제에 들어간다. 예배의 목적은 사람으로 하여금 그 생활을 하나님의 형상으로 만들려는 경험 가운데로 이끄는 것이다. 예배가 부패할때 신앙과 도덕이 부패한다. 호세아는 이 관계를 명확하게 하려는 예언자 가운데 최초의 사람이었다.
당시 이스라엘의 종교 가운데는 이교적 요소가 많이 섞여 있었다. 즉 그들의 신관은 가나안인들의 영향으로 타락했고 여호와와 바알을 동일시했으며 심지어 그들의 하나님을 바알이라고 부를 정도였다(호2:16). 그들의 성소에는 여호와 대신 송아지의 상을 세웠다. 그들의 예배는 장식과 연락에 기울어지고 신령성이 없었다(호2:8-13). 또한 그들은 하나님을 경험하지 못하였고 입술로만 하나님을 불렀다. 호세아는 종교에 대해 하나님을 경험적으로 아는 것이라 주장했다.

2) 계약의 파괴
호세아는 계약의 신성을 무시하는 민족의 멸망을 재촉하고 있다는 것을 명백하고 권위있게 강조하는 예언자들 가운데 첫번째 사람이었다. 이스라엘이 하나님과 계약 관계에 있으면서 하나님만 섬기고 하나님만 믿고 의지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바알 우상을 섬기고 외국을 의존한다는 것은 하나님과 체결된 계약을 파괴하는 것이 된다.

3) 종교 지도자들의 부패
호세아는 이스라엘의 죄악과 책임을 그들 백성에게 두지 않고 그 종교 지도자들에게 두었다. 국가의 급속한 멸망은 그 종교 지도자들이 부패하였을 때에 왔다.

3. 호세아의 공헌

1) 새로운 신관
호세아가 이스라엘 종교에 대해서 한 최대의 공헌은 그의 신관이다. 호세아가 가르친 새로운 교훈은 야훼는 사랑과 자비의 하나님이시라는 관념이었다. 호세아는 야훼와 이스라엘을 사랑의 끈으로 묶으려고 노력하였다. 호세아 이전에는 아무도 하나님과 이스라엘의 관계를 그와 같은 강렬한 사랑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생각하지 않았다. 호세아의 죄의 성질에 대한 심오한 해석과, 구속하시고 신생케 하시는 힘으로써의 하나님 사랑에 대한 관념은 후대 종교 사상에 큰 영향을 주었다.

2) 고난에 대한 새로운 해석
사회적, 정치적 재난은 죄의 결과라는 것은 모든 히브리 예언자들이 인정하는 원리였다. 그러나 호세아는 이스라엘이 당하는 모든 고난은 야훼의 사랑의 표현이라고 해석하였다. 이 고난을 통해서 하나님의 품을 떠난 백성들이 다시 돌아오게 된다는 것이다. 즉 고난은 하나님이 주시는 사랑의 채찍이라고 해석하였다.

3) 야훼를 아는 지식
호세아는 야훼를 아는 지식과 인간을 향한 하나님의 요구가 무엇임을 아는 것이 종교 경험의 불가결의 요소라고 생각하였다. 호세아는 이스라엘의 모든 죄악을 그들의 무지의 결과로 보았다. 즉 백성들의 하나님에 대한 불충성은 무지에서 온 것이라 주장하였던 것이다. 그는 하나님을 아는 지식의 가치를 알았으며, 하나님을 아는 지식이 생명임을 알았다. 의와 사랑과 믿음은 다 하나님을 아는 지식으로부터 온다.

4) 안정의 소재
호세아 시대의 정치 지도자들은 두파로 갈라져 하나는 앗수르와 동맹할 것을, 다른 하나는 애굽과 동맹할 것을 주장하였다. 호세아는 이 두파에 대하여 다같이 경고하고 외국과 동맹하는 어리석음을 지적하였다. 호세아는 이스라엘의 멸망은 군사력의 부족에 기인하지 않고 종교적, 도덕적 부패가 그 원인임을 명백히 하였다. 이스라엘을 강하게 하는 오직 하나의 길은 도덕적 신생뿐이다.

 

출처 : 갓피플 자료&지식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