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호세아서의 문체와 구성방법
호세아서는 아모스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그 구성에 있어서 논리적이지 못하고 단편적인 기사들을 나열해 놓은 것에 지나지 않는다. 이러한 논리의 결핍은 고대의 유명한 저서들이 가지고 있는 일반적인 특징이다.
호세아서의 서론 부분은 이 예언서 전체에 대한 서론으로써의 역할을 다하지 못할 뿐 아니라 이 서론에 이어지는 산문체의 예언의 말씀과도 논리적 연관성이 없다. 그러므로 완벽한 예언서로 구성되었다기 보다는 단편적인 예언의 말씀들을 종합해 한데 모아 놓은 것일 뿐이다. 이 예언서는 마치 파도가 칠때 물결이 반복되는 것과 같은 반복적인 히브리 문학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즉 대담한 선포 랍소디(Rhapsody) 시가 계속해서 반복되어지는 문학 형식을 취하고 있다. 또한 개개의 메시지에서 선포되는 예언 역시 변화 무쌍한 내용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그 속을 꿰뚫고 있는 주제나 말씀은 놀라우리만큼 분명하다. 호세아는 타락한 백성들을 향한 여호와의 열정적인 사랑으로 이 예언서를 기록했기 때문이다. 그가 메시지를 선포했던 방식은 아모스와는 다르다. 아모스는 죄를 범한 자가 백성이든 왕이든 누구에게나 대담하고 강렬한 어투로 비난한다. 그러나 호세아는 하나님의 인애를 가지고 탄원으로 백성들을 설득하려 한다.
2. 호세아 시대에 일어난 일들
호세아가 활동한 시대는 슬프고 비극적인 시대였다. 하늘의 진노가 이 배도한 백성들 위에 쏟아졌기 때문이다. 그 나라는 분단의 고통을 겪었으며, 그것은'이스라엘에게 죄를 짓게한 여로보암'이라는 씻을 수 없는 오명을 남긴 그의 수법으로 인한 것이다. 법적인 의무는 이완되었으며, 종교적 주장은 무시되었다. 바알신은 여호와의 상대가 되었으며, 어두운 숲 깊숙한 곳에서는 이교도적이고 퇴폐적이며 살인적인 의식이 자행되었다. 외국의 침략과 내분으로 시달리게 되자 나라 안은 평화와 번영이 사라지게 되었고, 무력과 살인으로 왕좌를 노리는 다른 나라와의 동맹으로 그들은 우상 숭배에 빠지게 되었다. 이스라엘은 이방 민족의 백성들에게 사로잡히고 온갖 수모를 겪었으며, 온 나라가 완전히 위신을 잃게 되었으나 일부는 영적인 충절을 잃지 않았다.
3. 호세아와 고멜의 결혼에 대한 여러 관점
1) 상징적 관점
이 결혼은 실제로는 결코 발생하지 않았기 때문에 성경에서의 설명은 단순히 환상이나 하나님과 이스라엘의 관계에 대한 상징으로 이해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하나님께서는 예언자에게 부정한 여인과 혼인하라는 명령은 결코 내리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것은 특별히 제사장에게는 금지된 것이다.(레21:7,14). 이러한 관점의 대표자인 영(Edward J.YOUNG)은 만일 호세아가 부정한 여인과 진정으로 결혼했다면 그의 사역은 흔들렸을 것이며, 그의 세자녀들이 태어날 때마다 하나님께서 각각의 이름의 뜻에 관하여 주신 메시지의 내용(호1:4-7-9)은 호세아의 사역중의 메시지와 관련되어 그 의미를 갖기에는 시간적으로 너무 떨어져 있기 때문이라고 이야기한다.
2) 실제적 관점
이 결혼은 실제 발생했으며, 고멜은 단지 결혼 전에 일시적으로 매춘부 역할을 한 부정한 여인이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은 이 이야기를 이해할 수 있는 가장 자연스러운 방법이며, 만일 우리가 다른 방법으로 취급한다면 결코 논리적인 결론에 도달할 수 없다는 단순한 이유이다.
3) 이교도적 관점
비교적 좁게 받아 들여지고 있는 것으로써 이 이야기 속에는 이교도적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는 것이다. 곧 고멜은 호세아 당시에 우상 숭배가 이스라엘에 널리 퍼졌던 것처럼 거짓 신을 숭배했다는 의미에서 부정했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의 이유는 이 설명이 앞에서 드러난 윤리적 관점을 제거시킬 뿐 아니라 성경 자체가 간음 행위를 영적으로 불결한 행위라고 말하고 있기 때문이다.
4) 예언적 관점
이 결혼은 실제로 일어났는데 고멜은 결혼할 당시에는 순결했으나 그 후에 부정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소위 예언적인 관점(Proleptic view)이라고 불리우는 이 관점은 보다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만일 고멜이 호세아와 결혼할 당시에 매춘부가 아니었다면 두번째 관점에 대한 반대 논리는 제거된다. 호세아는 그의 아내가 장차 부정한 여인이 될 것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그의 결혼에 대하여 숙고하고 그것을 실행하기란 어려웠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가정에는 윤리적인 문제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으며, 호세아가 고멜을 지극히 사랑했다는 관점과도 일치한다.
출처 : 갓피플 자료&지식
'호세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구자료] 패역한 이스라엘 (호세아 4~11장) - 2 (0) | 2012.05.12 |
---|---|
[연구자료] 패역한 이스라엘 (호세아 4~11장) - 1 (0) | 2012.05.12 |
[연구자료] 호세아와 고멜 (호세아 1~3장) - 1 (0) | 2012.05.12 |
[연구자료] 호세아 - 2 (0) | 2012.05.12 |
[연구자료] 호세아 - 1 (0) | 2012.05.12 |